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광두드러기의 임상 및 광생물학적 분석: 15년간의 후향적 연구

        홍지윤 ( Ji Youn Hong ),이양원 ( Yang Won Lee ),최용범 ( Yong Beom Choe ),안규중 ( Kyu Joong Ahn ) 대한피부과학회 202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9 No.3

        Background: Solar urticaria (SU) is a rare type of photodermatosi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itchy wheals and erythema within minutes after exposure to sunlight or artificial light. Only a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clinical and photobiological features of SU in Asia. Objective: We aimed to analyze the clinical and phot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SU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at the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2005 and October 2020. Results: Of the 52 patients, 43 (82.7%) were men, and 9 (17.3%) were women. The mean age at onset was 17.5 years (5∼47 years), and the mean threshold time was 21.2 minutes. Among the 36 patients who underwent phototesting, the action spectrum predominantly responsible for SU was ultraviolet (UV) A only in 14 (38.9%) patients and visible light (415 nm) only in nine (25.0%) patients. Three patients (8.3%) were induced by both UVA and visible light (415 nm). In eight (22.2%) patients, the symptoms were triggered only by natural sunlight. Serum immunoglobulin E (IgE) levels were measured in 39 patients, and 21 (53.8%) patients showed elevated IgE levels. Oral antihistamine (48.1%) was the most widely used treatment, followed by oral cyclosporine (15.4%) and phototherapy (11.5%). Conclusion: SU is an uncommon type of photodermatosis in Korea, with a greater prevalence in men. In this study, UVA was found to be the predominant action spectrum responsible for SU. (Korean J Dermatol 2021;59(3):206∼ 211)

      • KCI등재

        朝鮮時代 墳墓에 남겨진 喪葬節次

        홍지윤(Hong, Ji-youn)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0

        조선은 성리학적 격식을 중시한 신분제 사회이며, 예서를 통해 그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본고는 조선시대 분묘가 집중 조사된 은평뉴타운 발굴자료를 중심으로 禮書의 상장절차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보고, 치장의 차이에 의해 분묘를 분류하였다. 治葬은 殯 의 기간에 행해지며, 회곽을 조성하는 방법으로 설명되어 있다. 회곽묘와 동일한 과정으로 축조된 목곽토광묘의 존재를 통해 토광묘에서도 회곽묘와 동일하게 의례가 행해졌음 을 알 수 있었다. 분묘를 통한 상장의례의 확인은 유물의 출토위치와 부장양상으로 살필 수 있다. 유물 부장은 편방과 요갱 등 부장 공간을 별도로 마련한 것과 광벽이나 광저, 매장주체부 주변 등 의례와 관련하여 부장된 것으로 구분된다. 편방은 가례의 적용으로 도입되었으며, 회 곽을 조성하면서 소형화된 器物(명기)를 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마련되었다. 요갱에 유물을 부장하거나, 동전이나 철편의 부장은 바닥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땅의 신에 대한 貢獻으로 이해되며, 司后土 및 臨壙奠의 과정으로 보았다. 하관 후 매장주체부 주변에 부장된 청동시저 등은 의례에 나타난 主人贈 의식과 관련하여 부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치장에서 灰의 사용은 극히 제한된 계층에 한정되었으며, 회를 사용할 수 없는 계 층은 회곽 조성과 동일하게 목곽을 조성하고 의례를 행하였는데, 그 유형이 목곽토광묘이 다. 의례가 생략된 하층민이나 근래 들어 殯이 간소화 되면서 묘광에 관을 넣고 주변을 채운 목관토광묘로 변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Joseon was social status system that valued Seongrihak ceremony. It's procedures was processed by propriety and calligraphy. This Study shows how funeral process was adopting from ceremony books, and then classified tomb decoration. The text is based on excavation report which was investigated in EunPyung NewTown. Tomb Decoration was being performed during funeral services. Ceremony books explain how they constructed Hoegwak, we can review the process of tomb construction. Meantime, we learned that Togwangmyo had a same ceremony with Hoegwakmyo because we've found the existence of Mokgwaktogwangmyo that was made in same process with Hoegwakmyo. We can verify funeral ceremony from excavation spot and burial features of tomb. The relics in tomb is classified 2 type. One is buried in separate room such as Pyeonbang and Yogaeng. The other was buried in Walls, floors, Burial space due to ceremony. Performance of Garye brought Pyeonbang and it was for preservation of miniaturized Meongki which was used in Hoegwak construction. Burial in Yogaeng or buried coins, metal pieces was done in the ground. We could guess that means earth's contribution for God and a kind of process for Sahuto and Imgwangjon. We understand Bronze body shops buired around Burial space after depostion coffin was related with Juinjoung ceremony. Plaster for decoration was only used for limited people. People who couldn't afford plaser used wood tomb with the same process of Hoegwak. That is Mokgwaktogwangmyo. we understand that Mokgwaktogwangmyo was for lower class people without ceremony, also for funeral ceremony which was simpler at that time.

      • KCI등재

        傳 尙州出土 韓國式銅劍期 靑銅遺物의 性格

        홍지윤(Hong Ji Youn)(洪志潤) 중앙문화재연구원 2005 중앙고고연구 Vol.0 No.1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출토되는 청동유물은 서북한지역의 정치·사회적 변동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상주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청동유물도 한국식동검문화의 획기 변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상주지역에서 출토된 청동유물은 1922년도 고적조사보고에 수록된 동령류 등의 의기류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의 낙동리 출토 청동일괄품 등이 있다. 이들 유물은 각각 한국식동검문화 I기와 II기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유적 조사에서 확인된 병성동의 초기철기시대 수혈유구와 금흔리의 주머니호 등과 각각 통한다. II장에서 유물의 특징을 보고된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III장에서는 교차편년을 통해 이들 유물이 갖는 대체적인 편년적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 유물의 출현배경과 상주에 이들 유물의 등장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IV장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상주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중 고적조사보고서에 기록된 동모·동검·동령류 세트는 기원전 200~100년 사이의 연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청동유물은 기원전후한 시기를 중심 년대로 설정할 수 있었다. 동령류 등 의기류는 한국식동검문화 I기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으며, 문화적으로 금강유역권과 밀접한 관련하에 등장하였고, 상주가 제정일치 사회의 군장이 거주하였던 핵심지역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청동유물은 한국식동겸문화 II기의 특징을 나타내며, 영남 남부지방과의 교류에 의해 그 문화를 수용하였으며 낙동강을 통한 대외 교류의 단면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e bronze remams excav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ppears in the process of the change in politics and economics of west-northern region of Korea and the bronze remains reported to be excavated in Sang-ju has the same way of epocal change in korean sword culture. For the bronze remams excavated in Sang-ju, there are 의기류 including 동령류 recorded in the paper of 『historical remains research』 in 1992 and the bronze bundle remains excavated in Nakdong-ri in the possession of museum in Ewha-woman's university. These remain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1st period and 2nd period of bronze sword culture in korea and there are the hole remains of the early Iron age in Byeongseong-dong identified in the remains-examination and the pocket knife remains in Geumheun-ri, etc .. In the chapter II , we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ams centering the recorded materials and in the chapter III, through the way of crossing recording we chase the summary place of these remams chronologically. And standing on these things, we try to look into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of it and the meaning of that. We can set up the chronological place of bronze lance, bronze sword and 동령 recorded in the report of historical remains research ,between AD. 200 and AD. 100 and the bronze remains of museum in Ewa woman's university, before and after an apoch. 의기류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1st period of bronze sword culture and that appears intimately associated with the culture of Geum river and we can presume that Sang-ju is the core region where the military funeral of community in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age lives. The bronze remains of museum in Ewa woman's universit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2nd period of bronze sword culture and it is presumed to accept that culture and maintain the system of political organization through the exchange with Youngnam, southern province.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尙州 咸昌 新興里古墳群 築造集團의 性格 ― 新興里古墳群 同穴合葬土壙墓를 中心으로 ―

        홍지윤 ( Hong Ji-youn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2 한국불교사연구 Vol.22 No.-

        본 고는 상주 함창 신흥리고분군의 묘제와 유물을 통해 지역집단의성격 변화를 규명하고자 작성되었다. 집단의 정체성은 중심고분군의 상위 분묘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데, 함창 지역은 신흥리고분군의 합장묘를 통해 축조 집단의 성격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필수 있었다. 신흥리의 토광묘는 목관을 매장주체부로 채용하였으며, 고배가 부장되지 않고 연질발의 부장이 지속된다는 점에서 중원지방과 관련된 문화상으로 이해하였고, 엄격하게 말해 남한강유역의충주지역 집단과의 교류에 의해 그 문화적 배경으로 존속하였다. 신흥리고분군의 동혈합장토광묘는 5세기 전반으로 편년되는데, 동시기 분묘에 고배 등 신라적 유물이 부장된다는 점에서 신라의 영향권에 편입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묘제가 보수성 내지 전통성을 강하게 반영한 것이라면, 유물에 보이는 신라적인 지역양식 토기와 마구류 및 무구류의 부장은 함창분지의 지리적 특수성을 반영한 것으로 지역의 독자성을 용인한 가운데 군사력이나 조공을 전제로 한 간접지배의 한 모델로 이해된다. 결국 신라가 함창지역을 장악함으로써 점촌 문경 계립령을 넘어 남한강유역권으로 진출할 수있는 교두보를 마련하게 되었다. This paper shows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polity who constructed the Hamchang Sinheung-ri Tumuli, by examining their burial customs and relics. High class tombs in a central component gravesite can inform their polity’s identity. For the Hamchang region, joint burial tombs at Sinheung-ri Tumuli offer insights to the ways the polity’s characteristics had transformed. At Sinheung-ri Tumuli, wooden coffins were employed as the main vessel for internment and earthenware bowls continued to be buried along, instead of goblets, which indicate their cultural association to the Jungwon region. More specifically, their exchanges of cultural influences with the polity of Chungju in Namhan River Basin area could be inferred. Wooden coffin joint burial tombs in Sinheung-ri Tumuli dated to the early fifth century, which indicates that the polity was entering into the sphere of Silla’s influence, as evidenced by Silla artefacts such as goblets being buried along in the tombs of the same period. While their burial practices manifest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olity, the presence of buried relics such as Silla-style earthenware, horse tack and armour clearly demonstrate geographical distinctiveness of the Hamchang Basin. It can be understood that, while their unique identity was retained, the polity was taken over by Silla indirectly by military armaments or a tributary relationship. By taking control over the Hamchang region, Silla secured a bridgehead to advance over the Jeomchon Mungyeong Gyeripje Mount to the Namhan River Basic region.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회곽묘에서 확인된 사람 정강뼈에 나타난 톱 자국에 대한 법의인류학적 고찰

        김이석(Yi-Suk Kim),오창석(Chang Seok Oh),김명주(Myeung Ju Kim),기호철(Ho Chul Ki),홍지윤(Ji Youn Hong),김시덕(Shidouk Kim),신동훈(Dong Hoon Shi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1

        우리 나라 회곽묘는 조선시대 중/후기에 주로 조영되었으며 사회경제적 수준이 양호한 사람들(사대부) 사이에 많이 만들어진 무덤이다. 이러한 형태의 무덤은 두꺼운 회곽에 의해 관이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침입이 매우 어렵다. 회곽묘에서는 피장자가 보존상태가 극히 양호한 상태로 많이 확인되어 조선시대 사람의 건강과 질병상태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한편 최근 용인시 발굴 현장 조선시대 회곽묘에서 수습된 조선시대 사람 인골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매우 흥미로운 법의인류학적 손상 소견을 확인하게 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사례는 노년층 여성 뼈대로서 신장은 약 150 cm 전후로 추정되었는데 양쪽 정강뼈에 특이한 모습의 톱질흔이 발견되었다. 여기서는 치유흔을 볼 수 없었지만 발굴 시 확인된 대부분의 뼈가 1차매장 당시의 온전한 형태 그대로 남아있었기 때문에 이 톱질흔은 사망 전후하여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만 이러한 톱질흔이 어떤 연유로 피장자의 뼈에 남게 되었는가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으나 현재로서는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다. 이 조사는 조선시대 회곽묘에서 발견된 인골로서는 매우 희귀한 사례로서 향후 유사한 법의인류학적 검토를 필요로 하는 고고학적 사례를 접하게 될 연구자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이를 보고한다. Tomb with lime-soil mixture barrier (LSMB) was constructed by the people from upper class people of Joseon Dynasty. The coffin of LSMB was surrounded by hard concrete barriers, being successfully protected from outside invasions until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begins. The human remains were extremely preserved well,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health and illness of the people of Joseon dynasty. Recent investigation into human skeletons from LSMB in Yong-in city was another forensic anthropological case that was very meaningful to our research. During the examination on the elderly Joseon female bones, we discovered unusual saw-marks on the shaft of both tibiae. We could not find any osteological evidences suggestive of healed bone process. Considering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findings altogether, the occurrence time of saw-marks was considered to be perimortem period. However, as for why such a saw mark was made on the tibiae, we did not get any information about it. We expect that this report facilitate other researcher to do explore the usefulness of forensic anthropology examination on the similar human skeleton cases identified in various archaeological ruins.

      • 尙州地域 5世紀 古墳의 樣相과 地域政治體의 動向

        洪志潤 嶺南考古學會 2003 嶺南考古學 Vol.- No.32

        5세기대는 신라와 백제, 고구려가 백두대간을 경계로 치열한 각축을 전개하던 시기이다. 신라가 상주를 비롯한 영남서북부지역의 요충지를 점령하게 됨으로써 육상교통로를 확보하고 삼국통일의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 글은 상주지역 5세기 고분의 전개 양상을 통해 영남 서북부지역 정치체의 동향을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신라세력이 상주지역에 진출한 것은 4세기 중엽경이며, 5세기대에 들어오면서 상주분지를 확보하고 금강수계권으로 진출을 모색하였다. 상주지역의 고분은 소지역 단위로 그 문화상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함창분지의 신흥리고분에서는 장방형의 석곽묘와 고배를 배제한 토광묘 이래의 유물부장이 지속되지만, 상주분지 고분군에서는 세장방형의 횡구식석곽묘와 고배를 중심으로 하는 영남 북부지역 양식토기가 부장된다. 이는 상주지역 고분이 토광묘 이후 서로 다르게 전개된 결과이며, 신라 중앙으로부터 지배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한 결과로 파악하였다. 한편, 상주분지의 고분과 청원 미천리지역 고분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신라의 진출에 따른 문화의 확산으로 이해하였고, 5세기 후반에는 신라세력이 금강수계권으로 진출하였음을 살펴보았다. 5th century is the period when Shinla. Paekje and Goguryo were harshly competing and fighting around the border of Paekdoo. As taking essential territories from Sang-ju to western and northern regions in Youngnam, Shinla took charge of the land traffic route, laying stepping shtones for unification of the three countries. It was in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when Shinla forces made their way to Sang-ju, and as the 5th century came., it took possession of Sang-ju Basin as well as finding a way to the Kumkang water system. Sang-gu region shows a distinct line on cultures of tombs between Hamchang and Sang-ju Basin. That is, in Shinheungri tomb in Hamchang Basin artifacts since Pit-tomb have been found except for rectangular rectangular stone lined tombs and Gobe, while tombs in Sang-ju Basin have modes earthenware of northern Youngnam region centered on Gobe and horizontal entrance stone lined tomb of longer rectangular. It is believ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omb-building-method and artifacts excavated from them resulted from the governing discrepancies of Shinla's government. Sungdongri, Byungsungdong, and O'daedong tombs in Sang-ju Basin empoly horizontal entrance stone lined tomb of longer rectangular as a primary tomb, develops the modes earthenware in northem Youngnam, and produces the same line of culture as Ahndongr·Yaecheon·Uisung·and Sunsan, However, the 5th century's earthenware in the Shingheungri tombs in Hamchang Basin shows a strong characteristic of small regions in west and north of Youngnam. It demonstrates that political system in Hamchang Basin maintained long-lasting power of its own. Into the late 5th century that began to construct big scale tombs along the ridgeline of Shinheungri tombs, earthenware of the regional pattern and the sorts based on Gobe, pivoted on big scale tombs, began to be buried, and each of these shows very much of Gyungjoo. From this time on. It seems like that Hangchang Basin was taken under the indirect control of Shinla, setting out into the center of west and north of Youngnam. In the meantime, it has been understood as the distribution of culture resulted from Shinla's advancement, based on similarities of tombs in Sang-ju and the tombs in Meechunri, Chungwon. In the late 5th century. How Shinla went all the way to Kumkang water system was 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