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

        홍일희 범한철학회 2018 汎韓哲學 Vol.90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 characteristic of Dewey's naturalistic aesthetics. Experience, nature, and art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complicatedly in the thought of Dewey. If a understanding for the naturalistic thought of Dewey is the only purpose, the work of necessity is just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xperience and nature. But if a understanding for the naturalistic aesthetics of Dewey is the purpose, we should unravel a complicated problem in art as well as experience and nature. This present the unconventional aspect of Dewey's naturalistic aesthetics. It is as in the following. In the first, Dewey investigates a continuity of experience and nature. According to Dewey, on the one hand nature is a objective base of experience, but on the other, nature implicates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Furthermore, an experience has the same sense as that of art. This is because of aesthetic structure. Dewey said an experience that constructs through the aesthetic structure is an aesthetic experience or a work of art. And the aesthetic structure has come to a completion through series of process. What is crucially important is that the base of aesthetic structure is nature. And the subject of experience ultimately interacts with nature through the perception. And then the nature and the perceptional reaction of the subject form the abundant content of Dewey's naturalistic aesthetics. But this senses take on complex and profound aspects in Dewey's words, so to speak, rhythm, form, and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naturalistic rhythm intrinsic in nature, the aesthetic rhythm reflected the perceptional reaction of the subject, and the perceptional form which determinately completes an experience through the possession of the rhythm ar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Dewey's naturalistic aesthetics. 이 글은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이 갖는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듀이의 사상에는 경험, 자연, 예술이라는 세 개념이 뒤얽혀 있다. 단순히 듀이의 자연주의 사상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경험과 자연의 관계 분석으로도 충분하지만, 자연주의 미학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경험과 자연뿐만 아니라 예술까지 뒤얽혀 있는 실타래를 풀어나가야 한다. 이는 듀이의 자연주의적 사상이 미학의 범위 내에서 색다른 면모를 갖춘다는 것을 뜻한다. 먼저 듀이는 경험과 자연의 관계를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규명한다. 듀이에 따르면 자연은 경험의 객관적 토대일 뿐만 아니라 주체와 상호작용하는 관계에 있다. 나아가 경험은 예술과 동일한 의미로 간주된다. 듀이가 두 개념의 공통점으로 보고 있는 것은 미적 구조이다. 듀이는 미적 구조를 갖춘 경험을 미적 경험이라고 하며, 이것은 예술 분야에서 보면 예술작품이라고 말해지는 것과 같다. 미적 구조는 하나하나의 경험 또는 예술작품 속에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완결에 이르게 된다. 이때 미적 구조를 갖추는 데 있어 기본 토대가 되는 것은 자연적 배경이며 경험 주체는 지각을 통해 자연과 상호작용한다. 결국 듀이 자연주의 미학의 풍부한 내용은 자연과 주체의 지각작용 사이에서 만들어진다. 다시 말해 자연에 내재해 있는 자연적 리듬으로부터 주체의 지각작용이 반영된 미적 리듬 그리고 리듬의 보유를 통해 결정적으로 경험을 완성시키는 지각적 형식 등이 듀이 미학에서 볼 수 있는 자연주의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 비교

        홍일희 한국미학회 2019 美學 Vol.85 No.4

        This paper is aimed at comparing Nietzsche and Dewey's naturalistic aesthetics. The concept of 'naturalism' and 'aesthetics' not only carries the critical meaning of traditional philosophy from Nietzsche and Dewey's point of view, but is also being tried in a new way to convey the message through art, not philosophy. For them, nature is an organic life world that constantly repeats change and creation, and art is universal and at the same time a form of supreme zenith that refers to actively creating human life and experience. But when we examine Nietzsche and Dewey's naturalistic aesthetics closely, we come to a tipping point, so Nietzsche and Dewey have different aesthetic cont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first examine the common ground of Nietzsche and Dewey's aesthetics through concepts of art and nature, and further argue their ideological differences through a comparison of biological personality that is based on the will to power and natural and human interaction that is forms an experience. Through these discussion, we can estimate possibility for a point of contact of thought between Nietzsche and Dewey. 이 글은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을 비교고찰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연주의’와 ‘미학’이라는 개념은 니체와 듀이의 관점에서 보면 전통철학에 대한 비판적 의미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철학이 아닌 예술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들에게서 자연이란 변화와 생성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유기적 생명세계이며, 예술이란 인간의 삶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창조해 나가는 것을 가리키는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최정점의 형식이다. 그러나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을 면밀히 고찰해 나가다 보면 분기점에 다다르게 되고, 결국 두 사람의 서로 다른 미학적 내용을 발견하게 된다. 이 글은 니체와 듀이의 미학이 갖는 공통된 지반을 예술과 자연 개념을 통해 먼저 확인하고, 나아가 힘에의 의지에 입각한 생리학적 개체성과 경험을 형성하는 자연 및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비교를 통해 니체와 듀이의 사상적 차이를 논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니체와 듀이의 사상적 접점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해 볼 수 있다.

      • 나로우주센터 발사관제시스템 실시간 발사관제 모의장치의 센서 신호간 연관성 해석을 위한 퍼지-칼만필터 공분산 분석

        홍일희,김양모,Hong Il-Hee,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Yang-MoKim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2 No.4

        나로우주센터 발사관제시스템 실시간 모의장치의 데이터를 퍼지-칼만 필터의 오차 공분산으로 후처리 분석하여 센서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을 시나리오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유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추된 연관성은 시나리오 상의 관계와 정확히 일치하였다. 퍼지-칼만 필터의 최적화 성질을 역이용하여 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다중의 센서 시스템이 존재하는 한국형 우주발사체와 탑재 유상하중 그리고 지상지원 시스템에 대한 신호분석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We had research to conduct interrelationships between sensors using postprocessing analysis with the Fuzzy-Kalman Filtering Auto-Correlation about Real Time Simulator data of the NaroSC LCS in case of a fully blind situation scenario. The conducted interrelations are same harmony with relations in scenario. We had analyzed signals of sensors reverse-using a optimization character of Fuzzy-Kalman Filter. As our research conclusion, We had recognized possibilities of signal processing about the KSLV-1, on-board payloads, general equipments of ground support which apply to multi sensor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니체와 에코페미니즘

        홍일희 범한철학회 2004 汎韓哲學 Vol.33 No.2

        Das Denken des Nietzsche und Ökofeminismus beansprucht die Möglichkeit der neuer Erkenntnis über das Weib und die Natur. Um die neue Erkenntnis über das Weib und die Natur zu behaupten, das Denken des Nietzsche und Ökofeminismus von der Naturwissenschaft und Technik distanziert. Das Bemerkenswerte an der dadurch geschaffenen Situation aber bestehen darin, daß gerade durch Diskurz über das Weib und die Natur das Bedürfnis lebendig wird, über die geschaffene Kluft hinweg mit neuem Bewustsein die Welt des Lebens herzustellen. Durch das Denken und die neue Erkenntnis über das Weib und die Natur zeigt Nietzsche und Ökofeminismus, daß der Mensch sein ursprüngliches Vertrautsein mit der Natur nicht vergessen hat und daß er sich trotz der durch die männliche Wissenschaft herbeigeführten Entfremdung von dem Weib und der Natur des Bedürfnis der gedanklicher Wendungen gewiß ist. Daher ist es nötig, daß wir das Weib und die Natur nicht nach dem Modell des männlichen, naturwissenschaftlichen, technischen Beherrschens, sondern nach dem Modell des Leben-Schaffen auslegen. 니체와 페미니즘에 대한 논구들은 페미니즘을 매개로 하여 두 사상이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입장을 서로 달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보면 니체사상은 안티페미니즘적 경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니체적 관점에서는 니체철학의 페미니즘적 경향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있다. 본 논문은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는 두 사상의 접점을 에코페미니즘에서 찾고자 한다. 에코페미니즘은 생태학과 페미니즘의 접목을 시도하며, 그 논의는 여성과 자연에 대한 공통된 이해에 기초해 있다. 물론 페미니즘 진영 내에서도 에코페미니즘은 자연주의 또는 본질주의라 하여 비판받기도 하지만 생태학과 페미니즘이 당면과제를 안고서 해결의 출구를 찾고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 에코페미니즘의 시사적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니체 역시 페미니즘 자체에 대해서는 상당히 부정적 발언들을 많이 하고 있으면서도 우리에게 또 다른 해석의 여지를 만들어 주고 있다. 그것은 그의 자연관에서 나타나는데, 니체는 자연을 여성과 동일한 원리로 이해하며 자신의 근대 비판적 사유를 펼쳐나간다. 에코페미니즘의 여성과 자연에 대한 이해에 기반을 두고 페미니즘과 니체철학을 연관시키는 논구는 구체적으로 생명중심의 사상에서 그 견실한 내용을 갖는다. 에코페미니즘은 여성적 원리의 존귀함과 정당성을 생명의 존재기반인 자연과의 유사성에서 찾고 있으며, 니체철학 역시 논쟁의 여지가 많은 페미니즘적 언급들에도 불구하고 자연과 연관해서 만큼은 여성적 의미를 의심의 여지없이 긍정적으로 검토한다. 니체철학에서도 자연과 여성은 곧 생명의 세계이며 생명의 기반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생명중심의 두 사상은 생명윤리의 토대구축에 있어서도 입장을 같이한다.

      • KCI등재

        니체: 예술적 보편성과 철학적 독자성

        홍일희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4 No.3

        Nietzsche's philosophical concern is not a philosophy for philosophy based on a notional recognition but a philosophy for life. Hence his philosophical study is relative to a inquiry to which he deal with a problem of the more good life and a happiness to a human being. A art is both a new paradigm for this philosophical concern and the will to life. On the other hand Nietzsche's philosophy of art consists of contents which have a philosophical meaning and a general meaning about the art together. Especially, a creativity which is a most important notion in discussion related to the art implies this meaning of the art. A account for the creativity in Nietzsche's philosophy of art needs a criticism about modern reason, a new interpretation of nature, and a physiological or biological point of view. But these contents which are necessary to Nietzsche's philosophy can find also in a usual argument about the art which takes theoretical contents in psychoanalysis, evolutional aesthetics, artistic anthropology etc. Thus we can grasp that Nietzsche's philosophy of art has a common vein with the popular argument in the art and simultaneously a philosophical originality. 니체의 철학적 관심은 개념적 인식에 기반을 둔 철학을 위한 철학이 아니라 삶을 위한 철학이었으며 인간의 더 나은 삶과 행복이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한 철학적 탐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술은 이러한 철학적 관심과 탐구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작용하고 있으며 삶에의 의지와 다름없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니체의 예술철학은 단지 철학적 범위 내에서만 소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술에 관한 일반적 논의들과 소통될 수 있는 내용들을 가지고 있다. 특히 예술과 관련된 논의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창조성은 그것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니체의 예술철학에서 창조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근대적 이성에 대한 비판, 자연에 대한 새로운 해석, 생리학적 또는 생물학적 관점, 힘에의 의지 등에 대한 논구들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니체의 철학에서 필요한 이러한 내용들은 예술에 관한 일반적 논의에서도 정신분석학, 진화미학, 예술인류학 등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니체의 예술철학이 예술에 관한 일반적 논의와 공통된 맥락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철학적 독자성을 함께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