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NS토론에 나타난 논증구조와 SNS토론의 특징-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모바일토론을 중심으로

        홍숙영 예술과미디어학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way for enhancingthe ability of communication and logical thinking of students by makingthem discuss using mobile SNS which is familiar to them. Forthat purpose, I analysed the argumentation structure of their d on theNAVER BAND, a closed SNS. With that work, I found the possibilityof using the SNS as a democratic communication tool, and observedthe development of several abilities of the students by theirself-evaluation. However, their argumentation lacked logical basis. Stillthere were many opinions without showing any proof for that. Thecharacters of SNS debate are rapid searching data, easy sending thatdata and using tool for expressing emotion. The students usually usegraphic and text emoticons as tools for a smooth and emotionalcommunication. The students got the ability of debate, such as theability of communication, criticism, logical thinking, gathering information,understanding the new function of SNS, interest andself-confidence. This first research for my students who took in theclass for the SNS debate needs a vast and thorough study for the effectof SNS debate.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매체인 SNS를 활용하여 모바일 토론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소통 능력과 논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셜미디어 가운데 폐쇄적 SNS의 하나인 네이버 밴드를 이용하여 모바일 토론을 진행한 뒤 토론의 논증 구조를 분석하여 민주적 의사소통 도구로서 SNS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토론 참여자들의 자기 평가를 통해 어떠한 능력들이 향상되었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SNS토론의 논증법에 있어 근거를 제시하기 보다는 근거가 없는 주장이 여전히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SNS토론에 있어 특징은 크게 신속한 자료검색과 제시, 정서적 표현도구의활용을 들 수 있는데, 원활하고 정서적인 소통을 위한 도구로 그래픽 이모티콘과텍스트 이모티콘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토론의 능력과 관련하여 SNS토론참가자들은 소통과 비판력, 논리력, 정보력, SNS의 새로운 기능에 관한 이해, 흥미, 자신감 등을 얻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SNS토론 관련 강의 수강자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향후 SNS토론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보다 광범위하고 철저한 방식의 후속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대시조와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 교육 모델 개발

        홍숙영 한국시조학회 2024 시조학논총 Vol.60 No.-

        이 연구는 현대시조 교육을 통해 고유한 전통 양식을 견인하는 소통 방식으로서 디지털 시대 융합과 창의성 신장의 교육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에 Z세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시조와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 교육을 시행하여 창의성을 향상하고, 이야기 구성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융합 교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매체에 익숙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조의 특징을 알려주고 직접 시조를 창작한 다음 디지털 저작 도구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이미지를 선정하고 포토 포엠(photo poem) 형태의 작품을 제작하는 융합 교육을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과 같이 설계한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학습 과정과 학습 활동, 그리고 자기 평가를 살펴본 결과 수강생들은 시조를 창작한 것이 처음이며, 디지털 저작 도구에 익숙하지 않았으나 융합 교육 방식으로 두 분야를 결합하여 탄생한 작품에 흥미를 느끼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수강생들은 시조의 형식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인식을 하게 되었으며, 창의력을 높일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융합 교육에 참여한 수강생들은 새로운 것을 배우고 창작하며 제작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과 동시에 새로움을 느끼며, 결합과 융합에서 오는 신선함과 조화로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강생들은 시조 창작과 관련해 주제를 정하는 것에 부담을 느꼈으며, 시조 형식을 어렵게 생각하였고, 동시에 융합 창작물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자기 성찰을 통해 발전을 이루려는 욕구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조와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 교육에서 학생들의 걱정거리를 덜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조 창작에 있어 사전에 주제를 제시해 창작에 요구되는 시간적 소모를 줄이는 방식으로 수업 디자인이 변경되어야 한다. 또한, 수강생들이 시조를 어렵게 생각하지 않도록 다양한 예시를 드는 방식으로 시조 형식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알려주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modern sijo education can have an educational effect of convergence in the digital era and promote creativity as a communication method that supports unique traditional styles. Accordingly, the research implements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sijo and digital media for Generation Z learners to improve their creativity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ory composition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college students familiar with digital media were introduc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ijo. The students then created their own sijo and selected visually harmonious images using digital authoring tools, ultimately producing works in the form of photo poems through the convergent education process. The research involved conducting convergent education sessions following the researcher’s designed methodology. Through examining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es, activities, and self-evaluations, the students, though initially unfamiliar with sijo creation and digital authoring tools, were observed to have developed an interest in the works borne from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fields. During this process, students gained an understanding of sijo, formed positive perceptions, and evaluated the potential to enhance creativity. Participants in the convergent education expressed a simultaneous fear and excitement toward learning new things, creativity, and producing works of art. They experienced freshness and harmony arising from the combination and convergence. However, students felt burdened in determining themes for sijo creation and found the sijo format challenging. Simultaneously, they exhibited a desire to progress through self-reflection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their convergent creations. Therefore, to alleviate students’ concerns and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sijo and digital media convergent education, changes in course design are necessary. Providing predefined themes for sijo creation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creation and offering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sijo format using various examples could contribute to achieving these goals.

      • KCI등재
      • KCI등재

        기상캐스터와 성역할 고정관념

        홍숙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Weathercasters and Gender Role StereotypesSookyeong H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uses and alternatives of distorted perceptions of weathercasters and gender role stereotypes. The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incumbent weathercasters and analyzed their narratives.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status, expertise, and gender role stereotypes of weathercasters. As a result, the weathercaster’s job requires expertise in forming parasocial relationships with audiences, delivering weather forecasts, and building trust, but meteorology-related majors are rare. Due to the social atmosphere that emphasizes freelance image and youthfulness and the unfair ambiguous evaluation system, their position is dampened. To break the distorted perception and ensure expertis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hiring practices of broadcasters to verify their qualifications as weather communicators. In addition, since the fair evaluation criteria that respect the abilities and careers of weathercasters depend on the broadcasting system, a paradigm shift is required. Key Words: Weathercasters, Parasocial Relationship, Gender Role Stereotypes, Weather Forecast, Weather Communicator 기상캐스터와 성역할 고정관념홍 숙 영** 연구목적: 이 연구는 기상캐스터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원인 및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기상캐스터 관련 국내외 문헌과 언론 기사 등을 토대로 질문을 구성하여 현직 기상캐스터 6명을 심층인터뷰하고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연구내용: 기상캐스터의 직업적 위상과 전문성,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 결과 기상캐스터는 시청자와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며 일기예보를 전달하여 신뢰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전문성을 요구하지만, 기상 관련 전공자는 드물었으며, 프리랜서라는 위치, 외적 이미지와 젊음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 방송사의 불공정하고 모호한 평가제도가 기상캐스터의 입지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결론 및 제언: 기상캐스터에 관한 왜곡된 인식을 타파하고 전문성을 확보하려면 현행 방송사 채용 기준을 기상 커뮤니케이터의 자질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기상캐스터의 능력과 경력을 존중하는 공정한 평가제도의 마련은 상당 부분 방송사 시스템에 달려 있다는 점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핵심어: 기상캐스터, 준사회적 관계, 성역할 고정관념, 일기예보, 기상 커뮤니케이터 □ 접수일: 2022년 9월 15일, 수정일: 2022년 9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20년 9월 25일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세미나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 한세대학교 교수(Professor, Hansei Univ., Email: paris2@hansei.ac.k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