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이 지방이 췌장 90%를 제거한 당뇨 흰쥐의 인슐린 분비능과 췌장 베타세포의 양에 미치는 영향

        박선민,박춘희,홍상미,Park, Sun-Min,Park, Chun-Hee,Hong, Sang-M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2

        The prevalence of diabetes has increased to 8% of population. Unlike type 2 diabetes in the western countries, Korean diabetic patients are nonobese and have low serum insulin levels. As the increased prevalence of diabetes and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may be related to dietary fat contents, we determined their effects on insulin resistance, insulin secretion and pancreatic $\beta-cell$ mass in 90% pancreatectomized (Px) diabetic rats in the present study. The rats were provided with low fat diet (LF, 10 energy% fat), moderate fat diet (MF, 25 energy% fat) and high fat diet (HF, 40 energy% fat) for 6 months. HF increased body weight and epidydimal fat pads parallel with increased food intake compared to LF and MF. Fasting serum glucose and insulin levels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were higher in HF, compared to LF and MF, indicating that HF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Rats fed LF and MF diets reduced insulin resistance, but only rats fed MF improved pancreatic $\beta-cell$ mass and insulin secretion capacity, measured by hyperglycemic clamp and in situ pancreatic perfusion. LF had low insulin secretion capacity and pancreatic $\beta-cell$ mass, indicating the increased possibility of diabetic prevalence and progression. MF increased $\beta-cell$ mass by stimulating $\beta-cell$ proliferation and neogenesis and reducing $\beta-cell$ apoptosis. In conclusion, MF is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prevalence and progression of diabetes.

      • KCI등재

        천년초 추출물과 식이유황의 첨가가 계란의 생산성, 품질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선민(Sunmin Park),안일성(Il Sung Ahn),홍상미(Sang Mee Hong),김다솔(Da Sol Kim),권대영(Dae Young Kwon),양혜정(Hye Jeong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2

        천년초에는 유기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항균 효과가 탁월하다는 보고가 있고, 식이유황도 체내 기능을 향상시켜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란계에게 천년초와 식이유황을 사료에 첨가한 기능성 사료를 산란계에게 급여할 때 계란의 생산성과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은 35주령의 Lohmann Brown 산란계 총 640마리를 4 처리 8 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임의배치를 하여 1) 천년초 0.12%, 2) 식이유황 0.1%, 3) 천년초 0.12%+식이유황 0.1% 또는 4) 물(대조군)을 사료에 골고루 혼합하여 5주 동안 급여하였다. 산란율, 계란 중량, 중량별 계란 생산량, 사료효율은 세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파란율은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 이러한 차이는 난각두께와 난각강도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 계란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Haugh unit, 난백과 난황의 점도도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천년초군이 식이 유황군보다 신선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았고 천년초+식이유황군도 천년초군이나 식이유 황군과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른 계란의 신선도도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훈련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반숙난백과 난황에 대한 관능검사를 하였을 때도 난백과 난황에서 모두 질감, 달걀 특유의 비린맛, 느끼함 등에 대한 선호도가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결과적으로 천년초 추출물 0.12% 또는 0.1% 식이유황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였을 때 산란계의 파란율을 감소시키고 저장기간 중에서도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등 계란의 품질을 향상시켜 간접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천년초 추출물과 식이유황을 함께 첨가 하였을 때 추가적으로 생산성이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는 않았으므로 천년초 추출물 0.12%이나 0.1% 식이유황을 산란계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계란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겠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untia humifusa (OPH) extracts and methyl sulfonyl methane (MSM) supplementations on the laying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eggs in hens. Six hundred forty, 35-wk-old Lohmann brown, laying h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1) water (control), 0.12% OPH extract, 0.1% MSM, and 0.12% OPH extract+0.1% MSM. They were mixed into the feed and given for 5 weeks. Egg production rates, egg weight, feed demand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However, OPH or MSM decreased broken egg rates by increasing thickness and firmness of egg shell but they did not show the additive effects. In addition, OPH or MSM enhanced Haugh unit, an indicator of freshness of egg, and viscosity of egg white and egg yolk. OPH or MSM maintained the freshness of eggs better the control during their storage for 10 day at 4℃. However, OPH+MSM did not show additive effects in their freshness. Sensory test revealed that OPH or MSM decreased fishy taste and greasy flavor and they improved texture. Overall OPH or MSM enhanced the preference of eggs. In conclusion, the supplementation of either OPH or MSM enhances egg freshness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but they should not be supplemented together due to no additive effects.

      • SCOPUSKCI등재

        In vitro에서 길경 추출 분획물의 항당뇨 효과 조사

        고병섭(Byoung Seob Ko),권대영(Dae Young Kwon),홍상미(Sang Mee Hong),박선민(Sunmin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6

        민간요법에서 항당뇨 및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길경의 항당뇨 효과가 있는 지 여부를 in vitro에서 조사하기 위해서 길경을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메탄올과 물을 섞은 용액으로 단계별로 XAD-4 column으로 분획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3T3-L1 섬유아세포와 지방세포에서 길경의 추출 분획물이 인슐린처럼 작용하는 인슐린성 물질이거나, 2)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물질이거나, 또는 3) 포도당 자극에 의한 인슐린 분비를 향상시키거나, 4) 베타세포의 기능과 양을 증가시키는데 관여하는 유전자인 IRS-2, glucokinase, PDX-1의 mRNA 발현을 향상시키거나, 5) α-glucoamylase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작용하는 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길경 추출 분획물은 인슐린성 물질로 작용하지 않았다. 반면에 0, 20와 100% 메탄올층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자극에 의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켰다. 이 분획층 중에서 특히 0%과 100% 메탄올 분획층은 분화 유도 물질의 작용을 향상시켜 3T3-L1 섬유아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 및 중성 지방의 축적을 증가시켰다. 그러므로 이들은 PPAR- γ agonist로 작용하는 물질을 함유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인 Min6 세포에서 포도당 자극에 의한 인슐린 분비를 향상시키는 지 여부를 조사하였는데 20, 80 그리고 100% 메탄올층은 포도당 자극에 의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켰다. 그 기전은 인슐린 분비와 베타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IRS-2, glucokinase 그리고 PDX-1의 mRNA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결론적으로 길경은 지방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물질,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물질 그리고 베타세포의 기능과 증식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 및 아시아의 사람들에서 많이 유발되는 비만을 동반하지 않은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성의 치료와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i-diabetic effect of Platycodi radix (PR) extract fractions was determined in vitro by investigating insulinlike action, insulin sensitizing action,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gene expression related to β-cell function and mass, and α-glucoamylase suppressing action. Insulin-like activity was not promoted by the treatment of PR methanol factions in 3T3-L1 fibroblast. However, treatment with 0, 20 and 100% PR methanol fractions along with 1 ng/mL insulin increased insulin-stimulated glucose uptake in 3T3-L1 adipocytes. In addition, the treatment of 0% and 100% methanol fractions along with differentiation inducer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fibroblasts to adipocytes. These fractions may contain insulin sensitizer. The 20%, 80% and 100% methanol fractions enhanced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in Min6 cells, insulin secreting cell line. This was related to the mechanism to promote glucose sensing and β-cell proliferation, which was regulated by the induction of IRS-2, glucokinase and PDX-1 genes. As expected, 20, 80 and 100% methanol fractions increased mRNA levels of IRS-2, glucokinase and PDX-1 genes. However, PR fractions did not affect the α-glucoamylase activity in vitro. These data suggested that PR extract fractions have anti-diabetic actions through improving insulin sensitization,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and β-cell proliferation. Therefore, PR extracts can be beneficial for anti-diabetic treatment in lean diabetic patients.

      • KCI등재

        헛개나무 열매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새로운 처방이 알코올 분해 및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고병섭(Byoung-Seob Ko),장진선(Jin Sun Jang),홍상미(Sang Mee Hong),김동화(Dong Wha Kim),성소라(So Ra Sung),박혜려(Hae Rae Park),이지은(Ji Eun Lee),전원경(Won Kyung Jeon),박선민(Sunmi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7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열매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두 종류의 혼합물들(NHDT-1과 NHDT-2)이 알코올 및 아세트 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시켜 숙취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지 여부와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복용시켰을 때 간손상 및 지방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NHDT-1 은 헛개나무열매에 진피, 창출 및 감초를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NHDT-2는 NHDT-1에 홍삼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NHDT-1과 NHDT-2의 조성 차이는 홍삼임에도 불구하고 백서에게 투여하였을 때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와 간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에는 차이가 있었다. 홍삼이 함유되어있지 않은 NHDT-1은 급성 알코올 실험에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촉진시켜 혈청농도를 저하시켰으나, 홍삼이 함유된 NHDT-2는 혈청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저하시키지 못했다. 급성실험과는 반대로 장기간 알코올을 투여한 실험에서는 NHDT-1은 NHDT-2에 비해 알코올로 인한 간의 손상과 지방간 발생을 억제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간기능이 좋은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복용하는 경우에는 NHDT-1이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하여 숙취해소에 효과적이지만, 간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기간동안 NHDT-2를 복용하여 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음주 후 숙취제거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whether two?kinds of mixture (NHDT-1 and NHDT-2) mainly composed of Hovenia dulcis Thunb had beneficial actions for alcohol and acetaldehyde degradation in acute alcohol treatment and liver protection from fatty liver induced by chronic alcohol administration. In acute alcohol degradation experiment,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exhibited lower 1, 3 and 5 hours after taking 3 g ethanol per ㎏ body weight in NHDT-1 treated rats, but not NHDT-2 including ginseng. On the contrast to the acute effect on alcohol degradation, the long-term alcohol administration revealed that NHDT-2, not NHDT-1, protected the increase in serum concentration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sferase and γ-glutamyl transferase indicating preserved liver damage induced by alcohol. In addition, NHDT-2 improved triglyceride metabolism similar to the rats not consuming alcohol, leading to decreased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blood and liver. In liver morphological study, NHDT-2 preserved the regular hepatocyte morphology, decreased fat accumulation and reduced sinusoidal leukocyte infiltration in hepatocytes. In conclusion, NHDT-1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cohol and acetaldehyde degradation without protecting liver damage while NHDT-2 works as hepatocyte protector from alcohol mediated damage.

      • KCI등재

        한약박에서 재배한 느타리버섯의 성장 및 저장 중 품질 특성의 비교

        전중호(Jung Ho Jun),고병섭(Byoung-Seob Ko),김주호(Ju Ho Kim),남상필(Sang Pil Nam),엄영란(Young Ran Um),홍상미(Sang Mee Hong),황학수(Hak Soo Hwang),박선민(Sunmi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2

        일반적으로 폐기 처분하거나 비료로 재활용하는 한약을 추출하고 남는 한약박을 발효하여 영양분으로 첨가하는 팰릿 대신 폐면과 섞어 균상배지로 사용하여 느타리버섯을 재배할 때 수확량과 저장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또한, 한약박은 불특정 한약재들이 섞여 있으므로 이로 인해 문제가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한약박의 성분이 느타리버섯으로 전이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한약박 70%나 100%에서 느타리버섯을 재배할 때 질병이 생겨 고사되는 버섯의 수도 적었고, 성장속도도 빨라서 수확량도 많았다. 폐면과 펠릿을 이용한 대조군과 한약박을 배지에서 재배한 처리군들의 HPLC chromatogram에 차이를 전혀 나타내지 않았고 지표물질로 사용한 glycyrrhizin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즉, 한약박의 성분 자체가 그대로 전이되지는 않았고, 한약박에 함유된 성분을 영양소로 이용하여 버섯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한약박을 70%나 100%를 사용한 배지에서 재배된 느타리버섯의 저장성이 향상되어 저장기간 동안 중량 감소가 가장 적었고, 갓과 자루의 경도의 저하도 가장 적었다. 그러나 외관의 품질을 나타내 주는 색도의 변화는 배지 종류에 영향이 적었다. 결론적으로 한약박을 70% 이상을 배지로 사용하였을 때 한약성분의 직접적인 전이는 없어서 버섯의 상품성을 저하시키지 않았으며 성장률이 빠르며 수확률도 많았고, 조직이 치밀하여 저장성도 향상시켰다. 그러므로 한약박을 느타리버섯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버섯 재배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Pleurotus ostreatus (oyster mushroom), cultivated in various ratios with herbal extract remnants instead of cotton supplemented with nutrients (the control), improved mycelial growth, mushroom yields and longevity during storag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transfer of medicinal herb components into the mushrooms since they contained non-specific medicinal herbs and their composition could not be controlled. Mushrooms cultivated with 70% and 100% medicinal herb remnants had faster growth rates, higher yields and less failure in the development of the fruit body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HPLC chromatogram among the methanol extracts of Pleurotus ostreatus in all groups. In addition, glycyrrhizin, an indicative compound of licorice which was a major herb among the herbal remnants,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extracts. Pleurotus ostreatus that was cultivated with 70% and 100% herbal extract remnants had improved storage longevit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They exhibited the least weight loss during storage among the groups and they maintained firmness in the stipe and pileus. However, the sources of media did not alter the color difference of the stipe and pileus or the quality index of the outward appearance during storage. In conclusion, cultivating media that contained over 70% of medicinal herb extract remnants increased the growth rates and yields of Pleurotus ostreatus. In addition, these mushrooms had enhanced storage longevity due to their firmness. Therefore, medicinal herb extract remnants should be utilized in the cultivating media of various mush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