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유정 문학의 자기 서사와 자기 돌봄의 윤리

        홍단비(Hong Dan-bi),심재욱(Sim Jae-uk)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90

        본고는 나르시시스트의 시대, ‘자기 돌봄의 필요성’과 ‘글쓰기의 역할’에 주목하고, 글쓰기를 통해 자기 돌봄, 나아가 타자 돌봄을 실천한 인물로 작가 김유정을 조망한다. 김유정은 스물아홉 해의 짧은 생을 사는 동안 늑막염과 폐결핵, 치질 등의 신체적 질병과 염인증(厭人症), 대인기피증, 우울과 말더듬 등의 심리적 증상에 시달렸다. 그에게 글쓰기는 ‘생존’과 등가를 이루는 것으로, 끊임없이 자신과 관계 맺음으로써 자신을 수양하고 ‘변화’시키기 위한 매일 매일의 실천이었다. 김유정은 질병 서사를 통해 병든 육체를 자신의 일부로 끌어안으면서도, 병자, 약자, 동정의 대상이라는 사회적 규정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방식으로 살아가는 실존적 존재로 자신을 재규정한다. 또한 자신의 가족 서사를 다양한 형식으로 소설화함으로써 자신에게 주어진 삶의 시간을 긍정하며, 가족과의 관계에 강력하게 붙들려 있는 자신을 지속적으로 돌본다. 마지막으로 애정결핍에 시달렸던 김유정은 일면식도 없는 여인에게 연서를 쓰거나 구애 사건을 자전 소설로 발표하는 등 이질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사랑을 돌보고자 했다. 타인과의 무조건적인 관계 맺기로 요약되는 김유정의 사랑은, 연애가 스타일로 전락해가던 근대에 타인에게 기괴함으로 다가오지만, 한편으로는 타인들의 자기 동일성에 균열을 가한다. 이것이 바로 김유정이 말하는 ‘위대한 사랑’이며, 타자 돌봄으로 나아가는 자기 돌봄의 윤리일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ity of self-care’ and ‘the role of writing’ in the era of narcissists, and looks at writer Kim Yu-jeong as a person who practiced self-care and further care for others through writing. During Kim Yu-jeongs short life of 29 years, he suffered from physical diseases such as pleurisy, pulmonary tuberculosis, and hemorrhoids, as well as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hatred of people, social phobia, depression, and stuttering. For him, writing was equivalent to ‘survival’, a daily practice for him to discipline and ‘transform’ himself by constantly relating to himself. Through his illness narrative, Kim Yu-jeong embraces his sick body as a part of himself, while redefining himself as an existential being who lives in an subjective way, breaking away from the social definitions of the sick, the weak, and the object of sympathy. He also fictionalizes his own family narratives in various forms, take a positively the time in life that has been given to him and continuing to care for himself as he remains powerfully attached to relationship with his family. Lastly, Kim Yu-jeong, who suffered from his lack of affection, tried to take care of his love in heterogeneous ways, such as writing a love letter to a woman he had never met or publishing his courtship incident in an autobiographical novel. Kim Yu-jeongs love, which can be summarized as his unconditional relationship with others, appears grotesque to others in modern times when romantic relationship is reduced to a style, but on the other hand, it causes a crack in the self-identity of others. This is the ‘great love’ that Kim Yu-jeong speaks of, and the ethics of self-care that lead to his care for others.

      • KCI등재

        초연결시대 독서의 의미와 치유적 활용 가능성 -초연결시대의 특징과 병리성을 중심으로-

        홍단비(Hong, Dan bi) 한국독서치료학회 2021 독서치료연구 Vol.13 No.1

        본고는 초연결시대의 특징과 현대인의 주체성 및 병리성 등을 살펴보고, 초연결시대의 독서가 지녀야 할 의미와 가치, 치유적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초연결시대의 독서가 지니는 의미와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고 절실하다. 강한 연결 속에서 집중력과 주체성을 빼앗긴 현대인들에게, 디지털 세계에서 소외되고 외로운 현대인들에게 ‘종이책 독서’는 강한 연결로부터 분리되어 오로지 자기 자신의 내면세계와만 연결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초연결시대의 독서는 피로와 우울, 불안과 강박 등 초연결로부터 겪는 자신의 신체적․심리적 증상을 스스로 깨닫고 의지적 필요성과 선택에 의해 디지털 세계와 분리되는 과정이자, 혼자만의 시간을 확보하는 과정이다. ‘책’이라는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공간에서 혼자만의 고독한 시간을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것, 의도치 않은 연결망 속에 사로잡혀 여기저기 휩쓸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생각에 잠겨 주체적으로 유영(遊泳)할 수 있다는 것은 초연결시대에 독서라는 행위가 가져다주는 가장 큰 장점일 것이다. 자신의 지적인 능력과 오감을 활용한 ‘수고로운 독서’는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우리를 초연결시대의 능동적인 주체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늘 내가 빠져있는 사이버세계의 정보들 속에서 소외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만들어낸 사유들을 통해 나의 존재성을 끊임없이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초연결시대의 독서가 지닌 가장 큰 매력일 것이다. 나아가 주체적인 사고를 통해 세상의 변화와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 초연결의 상황 속에서도 중심을 잃지 않고 유연하게 반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힘을 길러내는 것, 이것이 바로 초연결시대의 독서가 지니는 치유적 힘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per-connected era and the subjectivity and pathology of modern people.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meaning and value of reading in the hyper-connected era, and the possibility of reading for therapeutic use were explored. The meaning and role of reading in the era of hyper-connectivity are more important and desperately needed than ever. For the modern people who are deprived of concentration and subjectivity in strong connections, who are marginalized and lonely in the digital world, paper book reading provides separation from the strong connection and allows one to connect with one’s own inner world. Reading in the hyper-connected era involves a process of self-awareness of one’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experienced from hyper- connection including fatigue, depression, anxiety and compulsion, separation from the digital world by volitional necessity and choice, and a process of securing time alone. In the hyper-connected era, being able to focus only on one’s inner world through alone time in a separate and independent space called ‘books’, and being able to think independently are the greatest benefits of the act of reading. A laborious reading, using one’s own intellectual abilities and five senses, enriches our lives and establishes us as active subjects. The biggest attraction of reading in the hyper-connected era is that one can constantly check one’s existence through subjective thinking rather than being alienated by the information of the cyber world. Creating changes and differences in the world through subjective thinking and cultivating the power to adapt flexibly without losing focus, even in hyper-connected situations, will be the healing power of reading in the hyper-connected era.

      • KCI등재

        2000년대 소설을 활용한 자기탐색 글쓰기 교육 방안

        홍단비(Hong, Dan-Bi)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대학에서의 교양 글쓰기가 취업으로 이어지는 예비 사회인을 육성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면, 실용적 글쓰기 교육은 취업준비생들의 고득점을 위한 기술이나 요령 터득 등의 도구적 측면을 강조하기 보다는 학생들의 사회적응력 향상과 자기정체성 강화를 위한 길을 모색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취업준비생 및 대학생의 이야기를 다룬 2000년대 소설을 글쓰기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취업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나 자기를 탐색할 수 있는 치유의 시간을 갖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제시한 자기탐색 글쓰기 교육 방안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소설 속 주인공들의 일상과 내적 고백을 학생들에게 발췌하여 제시 한 후, 이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자기서사를 써 보게 한다. 학생들은 현재 자신의 삶의 모습과 내면에 대한 이야기를 솔직하게 써 내려감으로써 스스로 현재의 상태를 진단해 볼 수 있으며, 자기를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고 내면의 상처를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기 정체성을 잃어가거나 사회의 부조리한 모습을 꼬집는 소설의 구절을 제시한 후,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서술해 보도록 한다. 소설 속 주인공처럼 직업에 대한 사명감이나 흥미 없이 사회적 흐름에 따라 꿈을 좇고 있지는 않은지, 이 과정에서 나 자신을 속이거나 윤리성을 잃어버리지는 않았는지 등을 서술함으로써 학생들은 스스로를 반성하고, 비판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차가운’ 냉장고에 세계의 다양한 재료들을 집어넣어 ‘따뜻한’ 카스테라를 만들어 내는 박민규의 소설을 학생들에게 제시한 후, 이를 은유적 알레고리를 통해 ‘나’라는 냉장고(자신의 성향과 능력)와 ‘직업’이라는 카스테라(내가 꿈꾸는 직업)로 치환하여 글을 쓰도록 한다. 문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이와 같은 글쓰기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도록 하며, 앞으로 직업을 선택하는 데 있어 은유적 지표가 될 것이다. If cultural writing at the university can nurture a nascent social person into later employment, then rather than emphasizing the technical aspects such as skills and tips for job scouting, practical writing education should seek ways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students and strengthen their identity. This paper, which aimed to investigate this problem, utilized novels from the 2000s with stories of job-seeking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in writing education to encourage students to allocate time for “healing.” This paper proposed three main ways of teaching self-exploratory writing. First, the teacher presents the students’ daily routines and samples of inner confessions in the novels and then requests them to write their own narratives based on them. Students will be able to diagnose their current condition by honestly writing down their lives and their inner lives. Because of that, they can understand themselves more deeply and examine their inner wounds. Second, after presenting a novel passage on themes about losing identity or detailing the absurdity of society, students are encouraged to describe their thoughts using critical thinking. The students can then self-reflect critically and recover their wounds exponentially through their exploratory descriptions of whether or not there is influence of social trends (as in the case of the character in a novel) and sense of duty or interest in the pursuit of their dreams and whether there is self-deception or loss of ethics during such pursuit. Third, after presenting a novel by Park Min-gyu, who creates “warm” casteras by putting various materials from the world into “cold” refrigerators, using metaphorical allegory, students write their narrative by replacing “I” as the refrigerator (my tendency and ability) and “job” as the casteras (my dream job). Such writing activity that is based on literary imagination will allow students to think about their own identity and become a metaphorical indicator of future career choices.

      • KCI등재

        초연결시대, 복수 정체성에의 욕망과 문학적 상상력

        홍단비(Hong, Dan-B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9

        사물과 인간의 연결 포인트가 급증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극복되는 초연결사회에서,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부캐’의 유행과 복수 정체성에 대한 현대인의 욕망은 필연적인 현상이다. 그렇다면 가상과 현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세계를 넘나들며 시간과 일상을 다양하게 쪼개어 살아가는 초연결시대의 우리는 어떠한 삶의 방향성과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인가. 본고는 윤이형의 소설 「굿바이」, 「쿤의 여행」, 「결투」를 중심으로 초연결사회 복수 정체성에의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함정, 주체의 해체와 재구성 방식, 분인(分人)으로서 우리가 나아갈 방향성과 그 가능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는 자본주의와 자아찾기의 함정을 깨닫고, 초연결이 만들어낸 기존의 자리들에 자신을 여러 개로 쪼개어 들어가는 방식이 아닌, 없는 자리들을 새로이 창조해나가는 생산적인 ‘분인-되기’를 지향해야 한다. 강한 연결들을 통해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만능인간으로 거듭나는 것이 아니라, 초연결시대의 분인-되기는 끊임없이 결여를 통해 주체적인 관계, 인간적인 의미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어야 한다. 더불어 주변적이고 이질적인 존재로 거듭남으로써 다수-지배자의 시선에 안주하거나 그것들이 제공하는 감각적 쾌락에 매몰되지 않는 대신, 유동적이고 창의적인 실천을 통해 초연결시대, 복수 정체성으로서의 새로운 인간의 역할을 실천해 나가야 한다. In a hyper-connected society where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objects and humans are rapidly increasing a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re overcome, the trend of ‘Bukkae’ that allows multitasking, and the desire of modern people for multiple identities are inevitable. In the era of hyperconnectivity, we live by dividing time and daily life into various worlds, crossing virtual and real, online and offline. Then, what kind of life direction and attitude should we have as a multiple identity? This paper has examined the desire for multiple identity and the trap of ideology in a hyper-connected society, the method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subject, and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that we will move forward as dividual focusing on Yoon Yi-hyung’s novels 「Goodbye」, 「Khun’s Travel」 and 「Dueling」. As a result, we must realize the trap of capitalism and self-discovery. And we should aim for a productive ‘Dividual-becoming’ by creating new places that do not exist, rather than dividing oneself into several existing places created by hyper connection. In the hyper-connected era, ‘Dividual-becoming’ should not be reborn as an all-rounder capable of multitasking through strong connections, but it should be to create subjective relationships and human meanings through constant lack. And, rather than being settled in the gaze of the majority-dominator or being buried in the sensory pleasures they provide, we must be reborn as a marginal and alien being. Through fluid and creative practice, we must practice the role of a new human being as a hyper-connected era and multiple identities.

      • KCI등재

        천운영 「엄마도 아시다시피」에 나타난 주체의 증상과 애도의 양상

        홍단비(Hong, Dan-B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3

        천운영의 단편 소설 「엄마도 아시다시피」는 50대 가장이 마주하게 된 ‘어머니의 죽음’이라는 인생의 통과제의(喪)에서 주체에게 발현된 여러 가지 증상과 애도의 실패 과정을 그리고 있다. 「엄마도 아시다시피」의 주인공은 평온하게 눈을 감은 어머니의 죽음을 확인한 후 절차에 따라 어머니의 장례식을 치름으로써 ‘제의’의 형식을 수행하지만, 타자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병리적 증상에 고착됨으로써 망자의 그늘을 ‘통과’하지 못한다. 어머니로 둔갑한 대상과 환상에 완전히 잠식되어 버린 것이다. 이처럼 「엄마도 아시다시피」는 기존에 천운영이 보여준 작품 경향에서 벗어나 여성만이 겪을 수 있는 특수한 사건이나 소재가 아닌, ‘어머니의 죽음’이라는 보편적 사건을 소재로 삼고 있으며, 자궁, 젖가슴 등 여성의 전유물이나 여성성으로 대표되는 신체의 일부가 아닌 법과 질서를 상징하는 ‘목소리’가 소설의 화두로 던져진다. 뿐만 아니라 이 소설에서 사건을 이끌어 가는 화자는 여성이 아닌 남성이며, 이야기의 전개는 여성 주체가 아닌 남성 주체의 행동과 심리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된다. 따라서 본고는 남성과 여성의 공통분모이자 절대적 존재인 ‘엄마’, 그 중에서도 ‘어머니의 죽음’을 소재로 하고 있는 천운영의 소설 「엄마도 아시다시피」를 분석함으로써, 죽음의 통과제의에서 병리적 증상에 고착되어 성숙한 인간으로 거듭나지 못하는 주체의 모습을 고찰해 보았다. Passage offer initiation story is a type of story which a main character whose recognition of ego and the world is immature goes through a series of pain and hardship so that he moves forward to become a more mature human than the previous stage and combines to achieve ontologistic change. Like this, definition of passage offer initiation story is focused on human beings go through passage offer process to be ‘a born again mature human.’ However, as we all know, all the passage offers a human experience during one’s life do not necessarily guarantee internal mature and spiritual development. Maybe the meaning of passage offer involves that in order to get in to public order ‘one should be mature’ which is a obligatory forcing and one-sided violence. Therefore, in this article, previously suggested meaning of passage offer will be questioned and consider the appearance of the main agent who does not become a born again mature human due to set in pathological symptoms or experiencing negative change of awareness during the process of passage offer. In this article, a short story 「As you know mother」 written by Chun Un Young. 「As you know mother」 is a story about a head of household in his fifties who happen to encounter ‘the death of his mother’ and his psychological conflict and symptoms because of it. ‘Death of someone you love’ is a passage offer of life that everyone has to undergo while living in this world. We suffer from extreme grief, guilt and anxiety when someone you love leaves the world but by praying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and mourning, we should escape from the spiritual pain. That is, by accepting the fact that the deceased does not exist in this world we should come back to reality from the shock of loss. However, the main character in as you know mother fulfills the form of ‘offer’ checking peacefully lying mother’s death and conduct a funeral service but could not accept the death and set in pathological symptom and did not ‘pass’ the shadow of the dead. The first symptom that the main character who lost his mother encounters extreme anxiety and psychological regression. Then, what is the fundamental thing that caused his anxiety? That will be the loss of object a represented as mother. object a represents loss of others and means absence itself rather absence of certain target. Loss of object a causes him psychological distress, ‘anxiety’, and extreme anxiety also causes the symptom of ‘regression.’ The second symptom that the main character shows while suffering from anxiety is ‘illusion (auditory hallucination).’ Due to loss of object a, when his anxiety hits the limit he calls illusion in his unconsciousness and delude himself into being together with the dead and tries hard to ignore his crack. Later, he give a birth to his mother through his throat and become a complete main agent who does not feel any crack. He is eaten into by object a with mother’s appearance. Every human being experiences variety of life passage offers whether one intends or not. Therefore, humans undergo psychological conflict or acute mental stress like the main character in the story, and such suppression is revealed as pathological symptom.

      • KCI등재

        김주영(金周榮) 소설(小說)에 나타난 이질적(異質的) 타자(他者)로서의 여성(女性)과 (탈(脫))근대성(近代性) -1970年代 소설(小說)을 중심(中心)으로-

        홍단비(洪단비) ( Hong Dan-bi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1

        본고는 ‘동일성’으로서의 근대성에서 벗어나 이질적인 근대성, 즉 ‘차이’로서의 근대성에 주목하여 1970년대 김주영 소설을 다시 읽음으로써 김주영 문학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김주영의 소설에 등장하는 이질적 타자로서의 여성에 주목하였다. 민중, 민족, 민주, 자본, 이성 등의 근대적 인식 틀을 벗어나 ‘이질성’, ‘타자성’으로서의 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김주영의 소설을 다시 사유할 경우, 김주영의 소설은 실패, 연민, 현실도피의 차원을 넘어, 부정의 생명력을 지닌 해방과 무위의 서사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김주영의 글쓰기에 내재되어 있는 ‘어머니’에 대한 억압된 무의식을 발견할 수 있으며, ‘타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라는 김주영 문학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Kim Joo-young’s novels are based on criticism and the sense of resistance to the secular properties of industrialized society in the 1970s. Kim Joo-young is a writer who actively depicts the story of the villagers’ failure to enter the world of urban people and the growing narrative of the villains against the symbolic order through the techniques of satire and reversal. Kim’s novels have sufficient problem consciousness, but his novels tend to be exclude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odernization discourse in the 1970s. This paper will reread Kim Joo-young’s novels in the 1970s, focusing on modernity as ‘difference’, not modernity as ‘identity’. Through this, I will redefine the status of Kim Joo-young literature and explore new possibilities inherent in it. To this end, this paper focused on women as heterogeneous others in Kim's novels. As a result of rethinking Kim’s novels, focusing on women as ‘heterogeneity’ and ‘otherness’ beyond the modern recognition frame of people, democracy, capital, and reason, Kim's novel is not a novel of failure, compassion, and escape, but it is a liberation and floating narrative. Furthermore, we can find the suppressed unconsciousness of ‘mother’ inherent in Kim Joo-young’s writing and confirm the value of Kim Joo-young literature called 'Listen to the voices of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