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초고압처리에 의한 동치미의 미생물, 효소 및 조직감의 변화

        홍관표,박지용,Hong, Kwan-Pyo,Park, Ji-Yong 한국식품과학회 199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0 No.3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microorganisms, pectin enzymes and texture of dongchimi (pickled radish roots) were investigated. Dongchimi was pressurized at $200{\sim}686\;MPa$ for 5 min when its pH reached to 4.0. Total aerobes, initial concentration of $4.05{\times}10^8\;CFU/mL$, were completely inactivated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at 600 MPa. Lactic acid bacteria, yeasts and molds, initial concentration of $3.25{\times}10^8\;CFU/mL\;and\;3.55{\times}10^4\;CFU/mL$, respectively, were completely inactivated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at 400 MPa. Leuconostoc mesenteroides appeared to be the most barotolerant lactic acid bacteria because it was the sole bacteria survived at 380 MPa. Pectinesterase (PE) and polygalacturonase (PG) activities increased after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Residual PE activity was 193 after pressurization at 500 MPa, and residual PG activity was 191 after pressurization at 686 MPa when the initial enzyme activity of control was set to 100. The hardness of pressurized dongchimi was higher than control. 비열처리공법 중 하나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초고압 처리를 동치미에 적용하여 미생물의 살균정도, 효소 활성과 hardness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제조한 동치미를 $30^{\circ}C$ 배양기에서 발효 적숙기라고 판단되는 pH 4.0까지 발효시킨 후, 이를 시료로 사용하여 $200{\sim}686\;MPa$ 범위의 압력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무처리군의 균체수는 호기성 세균, 젖산균, 효모 및 곰팡이가 각각 $4.05{\times}10^8,\;3.25{\times}10^8,\;3.55{\times}10^4\;CFU/mL$ 존재하였으나, 호기성 세균은 600 MPa, 젖산균과 효모 및 곰팡이는 400 MPa 이상에서 완전히 살균되었다. 젖산균의 압력에 따른 내압성을 관찰해 본 결과 380 MPa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유일하게 검출되어 가장 강한 내압성을 나타내었으며, 김치의 주 산패균으로 알려진 Lactobacillus plantarum은 300 MPa로 처리한 시료에서도 발견되지 않아 압력에 약한 균주로 판단되었다. 조직감에 관계하는 효소인 pectinesterase (PE)와 polygalacturonase (PG)는 압력에 의해 모두 활성이 증가하였다. 초고압 처리를 하지 않은 시료의 효소 활성을 100으로 했을 때, PE는 500 MPa에서 193으로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PG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서서히 증가하여 686 MPa에서 191이었다. 동치미에 있는 무의 조직감은 초고압 처리했을 때 hardness가 증가하여 400 MPa에서 5분간 처리한 시료는 무처리군에 비해 약 0.065kg이 높았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소년사법제도 개선을 위한 관련 법령 검토

        홍관표(Hong Kwan-pyo)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1

        유엔 아동권리위원회는 우리나라가 제출한 국가보고서를 심의한 후 제시한 최종견해를 통해, 국내 소년사법제도를 소년사법에 관한 국제기준에 완전히 부합되도록 할 것을 요구하는 권고를 반복해왔다. 소년사법에 관한 국제기준을 고려하면서, 소년사법 관련 국내 법령에서 소년사법제도의 목적 · 이념의 충실한 구현을 저해하는 장애요인과 개선방안을 확인하고자 한다. 아동은 성숙해가는 과정에 있어 잠재적 개선가능성이 크기에, 아동이 범죄나 비행을 저지른 경우라도 형사적인 제재를 가하기보다 보호조치를 함으로써 그 건전한 성장을 돕고 사회에 잘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소년사법제도의 목적이 있음을 염두에 두고, 소년사법 관련 법령에서 ‘보호’라는 명목으로 형사처분의 대상이 되는 성인에게 당연히 보장될 권리나 절차적인 이익을 소년사법제도의 적용을 받는 아동에게는 허용하지 않거나 오히려 과도한 제한을 허용하고 있는 경우는 없는지, 소년사법제도 관련 국내 법령들을 형사절차 및 교정 관련 법령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소년사법에서 피해자 보호가 소홀해지는 점은 없는지도 함께 검토한다. 법령 비교 검토를 위해 소년사법제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뿐만 아니라 훈령 및 예규의 내용까지 그 대상으로 하되, 논의의 집중을 위해 이 글에서는 소년사법제도 중 ‘소년보호사건 심판’과 ‘보호소년 등의 처우’에 관한 법령에 한정하여 살피기로 한다.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has repeatedly recommended in its concluding observations to the Republic of Korea that the State party bring the system of juvenile justice fully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juvenile justice standards. In consideration of the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article reviews existing legal issues that may hamper full realization of the purposes of Korea’s juvenile justice system within its domestic legislation. Juveniles are in the process of maturity. Juveniles in conflict with the law have high potential for behavioral betterment. Therefore, the juvenile justice system is intended to provide protective measures to ensure sound fostering and rehabilitating of them. With that purpose in view, this article examines that there are legal provisions, which deny or reduce juveniles in conflict with legal rights or procedural benefits guaranteed in criminal and correctional procedure under the pretext of protection, by comparing the juvenile legislation in Korea to other domestic legislations relating to criminal or correctional procedures. Additionally, it is checked if there is any case of neglect for the protection of victims in the laws and regulations relevant to juvenile justice. As for comparative reviews on the existing legislation, this article covers a wide range of acts, enforcement decrees or ordinances, directives, and regulations concerning juvenile justice. Meanwhile, its main focus is limited to the subjects of “trials on juvenile protection cases” and “treatment of protected juveniles.”

      • KCI우수등재

        과거사 사건의 소멸시효와 신의성실의 원칙 문제 -대법원 판결의 입장 변화를 중심으로-

        홍관표 ( Kwan Pyo Hong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2

        Past incidents for truth and reconciliation can generally be understood based on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Framework Act on Clearing up Past Incidents for Truth and Reconciliation”, which states the scope of historical truth that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Korea needs to clarify. Among the stated past incidents of human rights violation, what concerns the right to demand national compensation are: 1) mass illegal victimization of civilians from August 15, 1945 to the Korean War period; and 2) incidents of death, injury or disappearance, and other major act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cluding politically fabricated trials, that were committed through illegal or seriously unjust exercise of state power, such as violating the constitutional order, from August 15, 1945 to the end of the authoritarian regimes.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past human rights violation incidents is limited to the two aforementioned types of cases in relation to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right to demand national compensation. According to Article 96, paragraph 1 and 2 of “the National Finance Act”, a right of the States to payment of money or a right to claim payment of money against the State, may lapse by extinctive prescription, if it has not been exercised for five years, unless otherwise provided for by any other Act. Since the dates of occurrence or ending of the past incidents of human rights violation have long past five years, the right to demand national compensation for them is considered to have completed. Nonetheless, for certain cases, the court has rejected a plea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nd has ruled in favor of victims. However, on 16 May 2013, the Supreme Court of Korea issued its Grand Bench decision 2012Da202819 with which it changed the existing standards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ithout a reasonable explanation to judge whether to accept the plea of extinctive prescription by the State in a case of demanding national compensation with regard to the past incidents of human rights violation. As a result, victims of the past human rights violations have limits in finding a remedy to the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This study reviews the changes in the Supreme Court’s rulings on the cases of State Compensation for the past human rights violation and their rationality.

      • KCI등재

        국제인권조약을 원용한 법원의 판결에 관한 검토

        홍관표(Hong Kwan-pyo)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49

        대한민국은 7개의 핵심 국제인권조약을 가입?비준했고, 헌법에 의하여 체결?공포된 조약은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는 대한민국헌법 제6조에 따라 우리나라가 가입?비준한 조약은 별도의 입법절차 없이 국내적으로 구체적인 사건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법원이 국제인권조약을 원용하여 판결하는 것은 국제인권조약의 내용을 국내법으로 통합하는 것과 함께 국제인권조약이 국내적으로 이행되는 주요한 통로가 된다.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적용 양상과 관련하여 종래 이를 직접적용 방식과 간접적용 방식으로 구분하고, 특히 직접적용가능성 내지 자기집행력이 인정될 것인지에 관하여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국제인권조약을 원용한 국내 법원의 판결들을 대상으로 국제인권조약이 실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법원은 국제인권조약을 원용하면서 그 규범력의 측면에서 국내 법률과 동일한 위상을 부여하여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국제인권조약을 원용한 구체적인 판결에서는 국내 법률의 적용에서는 나타날 수 없는 여러 문제점들이 발견되는데, 이는 국제인권조약의 규범력 확보를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가 가입?비준한 7개 핵심 국제인권조약이 원용된 주요 판결들을 대상으로 하여 국제인권조약이 국내 법원의 판결에서 원용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법원이 국제인권조약을 원용함에 있어서 나타나는 일련의 문제점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토대로 법원의 판결을 통한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이행이 보다 활성화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전될 수 있기 위해서 필요한 고려 사항들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Republic of Korea has signed and ratified seven key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so far, and these treaties are supposed to be applied directly to domestic court cases according to Article 6 of the Korean Constitution, which prescribes that “treaties duly concluded and promulgated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generally recognized rules of international law have the same effect as the domestic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As for internal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whether the treaties concerned can be invoked before and are directly enforced by the courts in actual cases as much as whether they are incorporated into the domestic legal system. Regarding the national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the existing literatures distinguish between the direct and indirect ways of application and discuss whether the treaties are directly applicable or self-executing. However, currently,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on actual cases in Korea referred to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how the treaties are invoked. While the Korean courts are supposed to acknowledge the regulatory power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the same as that of national regulations, some court cases reveal a series of problems in applying those international norms for judgement that are not common in applying domestic laws. In order to secure the regulatory power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the current situation needs to be chang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reviews the court cases invoking the seven key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categories the ways of application of the treaties in the Korean courts. With this approach, this article verifies a series of problems in applying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makes suggestions to consider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such treaties in domestic cases. By doing so, it could contribute to a progressive change of the Korean courts to secure the legal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법원 판결을 통해 살펴 본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이행 -국제인권조약의 적용 여부가 문제된 사례를 중심으로-

        홍관표 ( Kwan Pyo Ho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2 No.1

        As for internal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whether the treaties concerned can be invoked before the courts in actual cases as much as whether they are incorporated into the domestic legal system. Many guidelines for preparing a country report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stress the need of including cases where the courts have quoted the concerned treaties as a trial norm. It is also considered quite seriously in the process of reviewing such reports. Article 6 of the Korean Constitution prescribes that “treaties duly concluded and promulgated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generally recognized rules of international law have the same effect as the domestic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Accordingly, any international treaties that Korea has signed and ratified can be applied to a domestic court case without legislation. However, apart from such legal grou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have been invoked only in a limited number of cases, and therefore researches analyzing those cases have never been enough so far.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internal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court rulings, this study finds relevant cases through a keyword search based on seven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that Korea has signed and ratified among the Core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mentioned on the website of the UN Office of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OHCHR) and tries to categorize the said cases by issue and type of application. With this approach, this article verifies a series of issues in applying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by the courts and makes suggestions to consider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such treaties in domestic cases. By doing so, it could contribute to inducing a progressive change of the courts in Korea to secure the legal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국가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과 소멸시효 : 과거사 사건을 중심으로

        홍관표(Hong, Kwan-pyo)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9 No.2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consistently declared the national compensation liability from the first Constitution of 1948, and the current Constitution also guarantees the right to claim for state compensation (hereinafter “the right”) in the Article 29, Paragraph 1, Subparagraph 1.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is provision does not merely mean a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but that it guarantees the right as a fundamental human right of claim. However, the fact that the right is guaranteed as a fundamental human right to claim beyond property rights does not mean that it must be guaranteed indefinitely. To the case of the righ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n which the exercise of rights is limit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may apply, and such appli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on the right itself can not be regarded as a violation of Article 37,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which defines the limit of restriction on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State Compensation Act, which specifies the right, stipulates that the right is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e Civil Code or other laws, without separately specifying the extinctive prescription for it. Accordingly, the provisions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Civil Code and the National Finance Act shall apply to the case of the right. The right for the liability of the state with a constitutional obligation to guarantee fundamental human rights, which caused damages against people by the illegal acts of public officials, should be more faithfully guaranteed than general private rights. But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Civil Code and the National Finance Act, a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right is shorter than or equal to the period applied to the private right of claim for damages. On this issue, a number of constitutional complaints have been filed,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repeated its decisions that application of such provisions to the right to the state is not unconstitutional. However, on August 30, 2018,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a part, which Article 166, Paragraph 1 and Article 766, Paragraph 2 of the Civil Code are applied to the so-called ‘past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is unconstitutional. Such provisions are related to the objective starting point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is meant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decided to put a brake on the Supreme Court s attitude of restricting the exercise of the right regarding the past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It has appeared through a series of rulings of the Supreme Court, since its en banc decision on 2012DA202819 case in May 16, 2013. This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very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reaffirmed the state obligation to identify and guarantee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under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In this article, I will review the existing preced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relation to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right, identify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and their problem regarding the past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and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n August 30, 2018. In the last place, I will consider the remaining issues after the decision. 우리나라 헌법은 1948년 제헌헌법에서부터 일관되게 국가배상책임주의를 선언하여 왔고, 현행 헌법 역시 제29조 제1항 제1문에서 국가배상청구권을 기본권으로 보장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이러한 헌법 규정이 단순한 재산권의 보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배상청구권을 청구권적 기본권으로 보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렇지만 국가배상청구권이 재산권 보장을 넘어 청구권적 기본권으로 보장된다는 것이 국가배상청구권을 무제한적으로 보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국가배상청구권에 대하여도 일정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권리의 행사가 제한되는 소멸시효제도가 인정될 수 있고, 국가배상청구권에 대한 소멸시효제도 인정 그 자체가 기본권 제한의 한계를 규정한 헌법 제37조 제2항 위반이라고 볼 수는 없다. 국가배상청구권을 법률 단위에서 구체화하여 규정하고 있는 「국가배상법」은 국가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하여 별도로 규정하지 않은 채, 「민법」이나 다른 법률의 규정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배상청구권에 대하여는 「민법」과 「국가재정법」의 소멸시효 규정이 적용된다.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에 대하여 기본권을 보장할 헌법상 의무를 지닌 국가가 배상책임을 지는 국가배상청구권은 일반 사법상 권리보다 더 충실히 보장되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민법」과 「국가재정법」의 소멸시효 규정에 따라 민법상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과 같거나 오히려 그보다 더 짧은 소멸시효기간의 적용을 받게 된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종래 그 위헌성을 주장하는 다수의 헌법소원이 제기되었으나 헌법재판소는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결정을 반복해왔다. 그런데 지난 2018년 8월 30일 헌법재판소는, 이른바 ‘과거사 사건’과 관련하여, 소멸시효의 객관적 기산점에 관한 「민법」 제166조 제1항, 제766조 제2항 중 ‘과거사 사건’에 적용되는 부분은 헌법에 위반된다는 결정을 하였다. 이는 대법원이 2013년 5월 16일 선고한 2012다202819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 일련의 판결을 통해 ‘과거사 사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권의 행사를 제한해 온 태도에 제동을 건 것으로, 헌법 제10조에 규정된 국가의 인권 확인 및 보장 의무의 의미를 재확인한 매우 의미 있는 결정이라고 생각된다. 이 글에서는 국가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기존의 결정례를 되짚어 보고, 과거사 사건에 관한 대법원 판례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확인한 다음, 과거사 사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2018년 8월 30일 헌법재판소 결정의 의의와 남은 문제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KCI등재후보

        감염병예방법에 관한 인권적 측면에서의 검토

        홍관표(Hong, Kwan-pyo)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1 인권법평론 Vol.0 No.26

        2020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를 포함한 지구상의 거의 모든 국가들이 새로운 감염병인 코로나ᐨ19의 영향으로 많은 고통과 변화를 겪었다. 2021년 1월 16일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코로나ᐨ19로 확진된 사람은 9천만 명을 넘어섰고, 사망한 사람도 거의 2백만 명에 이르렀다. 코로나ᐨ19가 발생한지 1년이 되었지만, 아직까지 확실하게 효능이 확인되고 부작용이 충분히 검증된 백신이나 치료제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그리고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손소독제, 비대면ᐨ온라인으로 대표되는 코로나ᐨ19 팬데믹 이후의 삶의 변화는 여러 인권에 대한 보호 및 보장의 수준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코로나ᐨ19에 따른 국가적 위기 상황에 대처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여러 노력도 법치행정의 원리에 따라 법률에 근거하여야 하고, 이러한 감염병에 대한 대응의 근거가 되는 법률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있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은 한편으로 감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여 국민의 건강을 확보하고 일상을 회복하는데 기여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염병의 예방과 방역 그리고 감염병환자의 치료와 관리를 위해 불가피하게 인권에 대한 제한을 수반하기도 한다. 코로나ᐨ19 팬데믹이 발생한 이후,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은 심각한 감염병 위기 상황 속에서 감염병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기존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2020년 한 해에만 4차례에 걸쳐 개정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정에도 불구하고 인권적 측면에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존재하는 문제점과 추가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인권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그 개선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During the year of 2020, nearly all countries on Earth, including Korea, experienced a lot of suffers and changes due to a novel infectious disease, the COVID-19. As of January 16, 2021, through the world, more than 90 million cases have been confirmed to be COVID-19 and nearly 2 million deaths have occurred. It has been a year since outbreak of COVID-19, but there are no vaccines or treatments that have been confirmed its effectiveness and fully tested and verified its possibility of side effects. And the changes in all aspects of life after the COVID-19 pandemic, represented by social distancing, wearing masks, using hand sanitizers, and non face-to-face online, have resulted in weakening the level of guarantee and protection for various human rights. Government-level efforts to cope with and overcome national crises due to COVID-19 should also be based on law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rule of law. The Infectious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Act offers the basis for these governmental countermeasur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The Act, on the one hand, contributes to securing the health of the people and restoring their ordinary lives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and prevalence of infectious diseases, but on the other hand, it inevitably involves restrictions on human rights in accordance of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epidemics. Since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the Act had been amended four times in 2020 alone to enhance the national response capability to infectious diseases in the face of the severe infectious disease crisis and to improve and supplement deficiencies in the operation of existing systems. In this paper, despite these amendments,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problems and issues need to be complemented in the Act in human rights aspects. By doing so, I wish to propose possible improvements.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대응과 아동의 권리

        홍관표(Hong, Kwan-pyo)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1 인권법평론 Vol.- No.27

        2020년 3월 11에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팬데믹이 선언된 코로나19는 2021년 7월이 되어도 그 확산세가 누그러지지 않고 있고, 오히려 여러 변이 바이러스들이 새롭게 나타나 전세계의 모든 사람들의 삶을 계속 위협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자체는 사람을 차별하지 않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져온 영향은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공평하지 않다. 사회적 위기는 더 가난한 나라, 더 가난한 지역, 더 가난한 가정, 더 취약한 환경에 처해있는 사람들, 사회적으로 더 소외된 사람들, 소수자와 약자들에게 더 가중된 영향을 미친다. 이 점은 아동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아동이 어른에 비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위험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아동은 독립적으로 사회・경제생활을 하기 어려우면서 아직 신체적・정신적・정서적으로 발달 단계에 있는 존재이므로, 사회적 위기 상황에 더 취약하고, 자신이 속한 지역, 가정, 환경 등에 따라 더 가중된 영향을 받기도 한다. 유엔은 코로나19 팬데믹이 공식 선언된 직후부터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에 인권적 접근을 요청함과 아울러 코로나19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아동의 권리 향유 및 실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우려하면서, 코로나19 대응에 있어서 어떠한 아동도 뒤처지지 않도록 할 것을 강조해왔다. 이 논문에서는 코로나19와 아동의 권리에 관한 유엔의 주요 활동을 살펴본 다음,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아동의 권리와 관련하여 대두될 수 있는 주요 문제들을 아동권리협약 상 아동의 권리 영역별로 유엔이 제시하는 요청사항들과 함께 검토하고 그 시사점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COVID-19, which was declared a pandemic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on March 11, 2020, has not abated even in July 2021, and rather several variants continue to threaten the lives of all people around the world. The COVID-19 virus itself does not discriminate against people, but the harmful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is not distributed equally to all members of society. Social crises have a more aggravated impact on poorer countries, poorer regions, poorer families, people in more vulnerable situations, more marginalized people, and the minorities and disadvantaged. This is also true for children. Although children are at a lower risk of corona virus infection than adults, children are more vulnerable to social crises because they are still in their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do not lead social and economic life independently. Depending on their situation, including community and family, to which they belong, they may be more affected. The United Nations requested a human rights approach to the response to COVID-19 immediately after the COVID-19 pandemic was officially declared. The UN has concerned about the impact of COVID-19 on children and its negative effects on the enjoyment and realization of children s rights. The UN has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ensuring that no child is left behind in the response to COVID-19. In this paper, I will take a look the main activities of the United Nations on “COVID-19 and children s rights.” Then, I would like to review the major issues that may arise in relation to the rights of children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long with the requests made by the United Nations for each area of the children s rights under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check its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