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어문 교육과정 내 읽기 텍스트 목록에 대한 분석

        형재연 ( Hyeong Jae-yeo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8 漢城語文學 Vol.39 No.-

        This study examined reading lists in the language curriculum of Chinese primary and middle elementary schools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reading text lists, in order to understan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have received in their homeland. Analysis lists of reading texts include lists suggested by the language curriculum standard of Chinese primary, middle elementary and high schools and reading texts in language textbooks. The number of works determined by each grade, materials of works and characteristics of texts were analyzed. An analysis on reading text lists of language curriculum shows that recitation is emphasized in each grade. Students should be able to recite the determined number of works for 12 years: they do not memorize a lot of poems at a time, but learn them by accumulating them, as they go up in grades. Second, the whole lists of reading texts consist of Chinese literary works. Third, reading is emphasized i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reading’ is stressed, among language skills: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hearing. Fourth, the common reading text lists are predetermined by each level, different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lists are not recommendation but should be commonly included in all textbooks. It can be found that the education of them have been conducted enough for all students to recite them.

      • KCI등재후보

        리포트 쓰기를 위한 시각 자료의 해석 단계 연구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형재연 ( Hyeong Jae Yeo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2 漢城語文學 Vol.31 No.-

        This study was subjected to establish interpreting steps of visual aids for writing a report. It suggested plans that lead learners to interpret data and grasp structure of article through understanding and analyzing and inferring visual aids which supported their grounds for an argument. The interpreting steps of visual aids could be categorized as understanding, analyzing, inferring. First, in the step of understanding, learners would classify and identity the types of visual aids, and judge the appropriacy of visual aids,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visual aids, and then extract the core of visual aids. Second, in the step of analyzing, they would re-create evidentiary materials by connecting the schema of them and the core of visual aids. Third, in the step of inferring, they would cognize accurately situation under problems, and pass to seek relevant reasons and alternative plans, and finally approach to decision to have an idea what direction they are headed. As above, this study established interpreting steps of visual aids and sought plans of grasping structure of article. I hope that this study is to be a small light of further research, which help learners improve their capacities which support their grounds for an argument, in writing a report, in preparing an article which requires proficiency of higher thought.

      • KCI등재후보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분석 연구 -교양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형재연 ( Jae Yeon Hyeo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5 漢城語文學 Vol.34 No.-

        이 논문은 국내 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내에 있는 학문 목적 한국어 강좌를 살펴보고 현황을 분석한 후 도출된 문제점을 기반으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자들의 학문 목적의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을 세우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본고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는 “대학(원)에서 수학에 필요한 학업 기술을 비롯하여 학문 문식성(Academic Literacy)능력의 향상을 위한 전반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 강좌는 매우 다양하다. 그중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에 해당하는 강좌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앞서 정의한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에 따라 ‘언어’와 ‘학문적 문식성’을 목표로 하는 강좌를 선정 기준으로 삼았다.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KAP)의 교육과정은 교양 한국어(KGAP)와 전공 한국어(KSAP)로 나뉜다. 교양 한국어는 크게 교양 국어, 한국어 기능별, 한국어 내용별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학 내 교양 교육과정의 학문목적 한국어 강좌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양 국어의 영역에 해당하는 강좌는 14개 대학 중 9개 대학이 외국인을 분리한 강좌를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분리된 강좌의 대부분이 전공 계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외국인으로만 구성된 경우가 많았다. 둘째, ‘한국어 숙달도’와 관련된 강좌의 수는 51개로 가장 많았다. 한국어 숙달도 향상에 목표를 둔 강좌는 어학기관에서 선행되어야 하며, 대학 교양 과정에서 언어 숙달도 향상을 위한 강좌가 많은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셋째, ‘한국어 기능’ 영역 강좌의 체계화가 부족했다. ‘한국어 기능’ 영역은 학문 목적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의 기능으로 구분되고 유학생들이 대학 생활에 필요한 기술과 내용을 배우는 강좌인데 모든 기능 영역을 다룬 학교는 많지 않으며, 아예 교육과정에 없는 곳도 있었다. 넷째, 몇몇 대학교의 경우 대학 교양교육기관이 아닌 부설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한국어교육센터에서 강의가 이루어졌다. 마지막, ‘한국어 내용’ 영역의 개설 강좌는 총 6개로 가장 적었다. ‘한국어 내용’ 영역은 전공 진입 전에 전공 지식과 관련된 내용을 선행 학습하는 것으로 유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지만 많은 대학에서 한국어 내용 영역에 해당하는 강좌는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esent of the clas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in the local college and find an improvements of it on basis of a derived problems. So, this study started from a step to organize and formulate concept for the purpose of study of the leading researchers. This study define that Korean for academic purpose is inclusive of an overall contents for improvement of Academic Literacy including the academic skills for study in the college(graduate school). There are various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college. Of that, there is need for standards which to classify the Korean for academic purpose of international students. A standard of selection is the class aimed at “Language” and “Academic Literacy” according to the concept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which is defined previously. A curriculum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KAP) is divided into the Korean curriculum as liberal arts(KGAP) and the Korean curriculum as major(KSAP). Korean for academic purpose can be divided largely into Korean as liberal arts, functional and contents field of Korean. The results, review the Korean for academic purpose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in the colleg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9 of 14 colleges operated the divided clas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field of the Korean as liberal acts. But most of divided classes were only for international students without a major field. Second, The number of classes for Korean proficiency were the highest with 51 classes. Korean language courses which aimed to improve the communicating ability should be preceded in the language institute, and it is not desirable to open the liberal arts courses to improve the ‘language proficiency’ in the university as same goal of the language institutions. Third, systematization of in the field of “Korean function” wasn``t enough. The field of “Korean function” is classified into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for an academic purpose, and course to learn a skills and contents for the necessities in college life of the foreign students. But there are a few colleges which are dealing with all function categories, and some college never had it in the educational course. In case of some college, the lecture was given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attached institution no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liberal arts in the college. Finally, The number of classes for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were the least with total 6 classes. The filed of “Content of Korean Language” is a prior leaning course before enter into the major so that the foreign students can reduce the burden for the major. But, There are no class for “Content of Korean Language” in many colleges.

      • KCI등재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텍스트에 대한 대조 수사학적 분석 연구

        형재연 ( Hyeong¸ Jae-yeon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본 연구는 대조 수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적·문화적 배경이 학습 과정에서 생산한 쓰기 텍스트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분석하고, 한국인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두 집단이 생산한 설득하는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대조 수사학(Contrastive rhetoric)은 제 2 언어 필자들이 작문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제 1 언어에 대한 수사적인 전략에 대한 영향을 관련지어 이들을 해명하려는 연구이다. 대조 수사학적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관점에 영향을 주어 교사가 학습자들이 쓰기 텍스트 생산에서 겪는 어려움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것을 해결하는 데에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 대학생(N1)과 중국인 유학생(N2)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이 생산한 설득 텍스트 자료를 ‘설득 텍스트의 구조’, ‘설득 텍스트의 도식’, ‘설득 텍스트의 표지’의 분석 틀에 준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득 텍스트의 구조’의 도입 부분에서 무브(Move) 제시 순서, 결론 부분의 구성, 논거를 제시하는 데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설득 텍스트의 도식’은 N1 집단에서는 ‘귀납적 예시’가 주를 이루고, N2 집단은 ‘비교 도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설득 텍스트의 표지’는 문제 제기 및 배경 설명을 나타내는 표지와 자신의 입장을 얼마나 직관적으로 표현하느냐에 따른 표지의 차이, 근거 제시하기의 표지, 상호 작용의 표지의 사용 양상에서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Korean language learners’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are reflected in the written texts produced by them in their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contrastive rhetoric theory an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suasive texts produced by two group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ontrastive rhetoric i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problems second language writers face in composition concerning the impact of rhetorical strategies for the first language. Contrastive rhetorical research affects teachers’ view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llows them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the learners have in the production of written texts and to play a role in resolving the difficulties. This study chose Korean university students (N1)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N2) as subject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suasive text materials produced by them based on the analysis frame of ‘structures of persuasive texts’, ‘schemes of persuasive texts’, ‘markers of persuasive texts.’ As a resul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he order of the presentation of ‘Move’ in the introduction of ‘structures of persuasive texts,’ composition of the conclusion pat, and presentation of arguments. For the ‘schemes of persuasive texts,’ ‘inductive examples’ featured the N1 group while the N2 group used ‘comparison schemes’ much. As for the ‘markers of persuasive texts,’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markers of presenting problem-posing and background explanation and how intuitively they made expressions, and the aspects of the uses of the markers of providing evidence and the markers of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