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북목 증후군 환자를 위한 경추보호대 디자인 연구

        형성은 ( Sungeun Hyoung ),천해범 ( Haifan Cen ),김용구 ( Yonggu Kim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2

        연구배경 거북목 증후군(forward head posture, FHD)은 목 전면부의 근육이 늘어나고 목 위쪽 근육이 짧아져 신체에 비해 머리가 앞으로 튀어나온 자세를 일컫는다. 이것은 현대 사회의 잘못된 습관과 자세가 척추 상단부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거북목 증후군 환자를 위한 경추보호대(cervical collar)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실증연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문헌조사에서는 거북목 증후군의 특성과 일반인, 고령자, 장애인 등 누구나 사용 가능한 평가 방법(Product Performance Program, PPP)을 조사하였다. 실증 연구는 설문조사와 디자인 개발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거북목증후군 자가진단 평가에서는 앉는 자세>스마트폰>컴퓨터 순으로 연관이 있었고 눈 피로도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과 관련성이 높았다. PPP 평가에서는 전체적으로 심미성, 경제성, 직관성, 사용성, 기능성 순으로 영향력이 높았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제품의 형태적 요소'는 단순/복잡, 통일성, 조화가 관련이 있었으며 '창의적 디자인 요소'는 독창성(새로움), 실용성(기능성, 실현 가능성)이 관련 있었다. 결론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도 의료기기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대중적인 질환인 거북목 증후군 환자를 위한 경추보호대를 연구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실증연구를 진행하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Background Turtle forward head posture to the posture in which the muscles in the front half of the neck are elongated and the muscles in the upper half of the neck are shortened, and the head protrudes forward compared with the body. This is the wrong habit and posture of modern people, which aggravates the pressure on the upper spine.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the design of cervical protective belt for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Method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literature survey and empirical research. The literature survey investigated the patients with characteristics of forward head posture and the evaluation of product performance program that can be used by anyone. The empirical research was divided into questionnaire survey and design development. Results The results of self diagnosis and evaluation of forward head posture showed that the order of sitting posture > smartphone > computer was related, and eye fatigue was related to the use of computer and smartphone. The influence of PPP evaluation is aesthetics, economy, intuition, usability and functionalit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roduct form elements are related to (simplicity / complexity, unity and coordination), and creative design elements are related to originality (novelty) and practicability (functionality and realizability). Conclusion In recent years, people pay more and more attention to medical devices design due to concerning of health .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the research and design of cervical protective belt for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which is a popular disease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꽃 주얼리디자인의 관여도에 따른 선호와 감성요인에 관한 연구

        형성은 ( Sungeun Hyoung ),조광수 ( Kwangsoo Cho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2

        연구배경 꽃을 소재로 한 주얼리디자인은 소비자의 감성과 니즈를 반영할 수 있는 주제 중 하나이다. 특히 자연의 요소 인 꽃은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친숙한 대상이며 아름다운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꽃 주얼리디자인의 관여도에 따른 선호도와 감성요인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조사방법은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문헌조사에서는 국내 꽃 주얼리디자인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기초설문과 본 설문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종합 문헌조사 결과 디자인과 공예 분야는 이론과 작품 연구가 많았고 전체적으로 소비자 조사와 연구가 부족하였다. 기초설문 조사 결과에서는 꽃과 식물이 주얼리디자인의 적용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설문의 회귀분석 결과는 가격(저렴함/비싼), 브랜드(일반/명품), 기능(기능적/장식적), 차별성(평범한/특별한), 형태(단순/복잡), 활동성(조용한/활동적인)의 항목이 관련이 있었다. 결론 꽃 주얼리디자인을 기존 문헌조사에서 제시한 감성적 측면과 연관지어 살펴보면 제품의 재료, 디자인, 브랜드와 관련된 특성과 미적가치, 개성의 표현 등과 연관되어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꽃 주얼리디자인 있어서 이러한 소비자의 감성을 적용하여 개발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Jewelry design by taking flowers as design material is one of the themes that reflect consumers' emotional and need. In particular, the flowers in natural elements are easy to touch around. They are familiar objects and bring beautiful feelings to peopl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flower jewelry design that reflecting consumers' emotional well. Methods The survey methods were divided into literature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related research of domestic fancy jewelry design was analyzed in literature survey. The questionnaire part was divided into basic questionnaire and this questionnaire. Comprehensive The literatur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es on theories and product design was rich in the field of design and technology, but lacked of monolithic consumer investigation and research. The results of the basic questionnaire showed that flowers and plants were suitable for jewelry design.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is questionnaire were related to the items of price (low / expensive), brand (ordinary / famous brand), function (function / decoration), difference (ordinary / special), form (simple / complex) and activity (quiet / active). Conclusion The characterristics related with material, design and brand interplayed the aesthetic value and personality so much by combining the perceptual aspects and relationship of flower jewelry design that proposed in the literature survey. Therefore, in the future, the emotional of consumers should be used into development of fancy fower jewelry design.

      • KCI등재

        브랜드 주얼리디자인의 소비자 의식 조사 연구

        형성은 ( Sungeun Hyoung ),조광수 ( Kwangsoo Cho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1

        연구배경 국내주얼리 시장에서 브랜드주얼리는 시장 규모가 과거에 비해 감소하고 있지만, 아직도 전체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찾이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의식 변화와 가치에 맞는 주얼리디자인의 연구는 미래 불확실성이 높은 주얼리 시장에서 디자인의 새로운 전략을 세우는데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브랜드 주얼리 제품의 가치, 소비자 의식, 라이프스타일의 구매성향 등 소비자 의식과 관련된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연구는 1차 조사에서 소비자의 내부적/외부적 요인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소비자의 개인적/사회적 인식수준을 평가하였다. 연구종합 1차조사의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인자(주변사람 의식, 브랜드의 우수성, 개인만족, 브랜드 가치)로 조사되었다. 2차조사는 3개의 인자(주얼리의 긍정이미지, 주얼리의 부정이미지, 주얼리의 일반적 이미지)로 조사되었다. 결론 기존 연구결과물인 주얼리디자인의 전형성 평가 연구 결과와 함께 종합해보면 주얼리 브랜드의 전형성 요소는 “시대성, 상징성, 기능성의 요인이 관련이 있다. 그리고 브랜드와 소비자 인식은 “주변사람 의식>브랜드 가치>브랜드의 우수성>개인만족” 순으로 관련성이 높았다. 또한 주얼리의 의식수준에 관련된 인자로는 주얼리의 긍정이미지>주얼리의 일반적 이미지>주얼리의 부정이미지“순으로 관련이 있었다. Background Although the market scale of brand jewelry is smaller than before in the domestic jewelry market, it still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in the whole market. Therefore, the research on jewelry design in line with the change of consumer awareness and value will become a reference for formulating new jewelry design strategies in the future jewelry market that with high uncertainty.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s’ value of brand jewelry, In order to understand jewelry well, the brand jewelry market, Jerry brand strategy and jewelry brand strategy were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survey. In the first the study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nternal / external factors was analyzed. The second survey evaluated the personal / social awareness level of consumers. Comprehensive The factor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survey showed four factors ( awareness of surrounding people, brand excellence, personal satisfaction and brand value). Three parameters (positive image of jewelry, negative image of jewelry and general image of jewelry) were investigated in the second survey . Conclusion Together with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of the jewelry design evaluation, the typical elements of jewelry brands are related to the factors of the “times, symbolism and functionality”. The brand and consumers' awareness have high correlation in the order of “peripheral awareness > brand value > brand excellence > personal satisfaction” . In additi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level of jewelry awareness are the “positive image of jewelry > the general image of jewelry > the negative image of jewelry”.

      • KCI등재후보

        실버세대를 위한 치유(治癒)디자인 요소 추출에 관한 기초 연구

        신윤진(Shin, Yoonjhin),형성은(Hyoung, Sungeun),홍정표(Hong, Jungpy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4

        최근 노인을 대상으로 치유를 접목한 디자인들이 제작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은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버세대를 위한 치유디자인 요소 추출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실버 치유디자인의 개념을 정의하고, 실버 치유디자인을 제작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를 추출하여 향후 실버 치유디자인 제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버 치유디자인의 기초적인 토대를 수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 조사를 통해 실버 치유디자인 요소를 추출하고, 실버 치유디자인 사례를 통해 실버 치유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실버 치유디자인을 함에 있어 감안하여야 할 물리적 환경 요소는 ‘색채’, ‘형태’, ‘빛’, ‘자연이미지’이며, 인지적 환경 요소는 ‘사인시스템’이며, 사회적 환경 요소는 ‘사회적 교류’이며, 심리적 환경 요소는 ‘편안함’, ‘안정감’, ‘친근감’이며, 기능적 환경 요소는 ‘안전성’, ‘편리성’, ‘단순성’이다. Recently, designs which combine healing are being produced targeting on the aged. However, the systematical and theoretical approach to this has not been performed up to no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healing design for the aged as a fundamental study on extraction of healing design elements for the aged. This study also aims to find elements which should be applied when producing healing designs for the aged, to organize basic data and establish the basic foundation so that those can be used for the healing design for the aged in the future. This study deducted elements which can affect the healing design for the ag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es and interview researches on experts and increas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healing design for the aged through cases of the healing design for the aged. Physical elem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producing healing designs for the aged are "color", "shape", "light", "nature image". Cogntive element is "sign system". Social element is "social interaction". Psychological elements are "comfortability‘, "stability", "familiarity". Functional elements are "safety", "convenience", "simpl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