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차(地方差)와 "고립(孤立)한 멘델 집단(Mendel集團)": 두 "중심부" 과학과 나세진의 혼종적 체질 인류학, 1932-1964

        현재환 ( Jae Hwan Hyun ) 한국과학사학회 2015 한국과학사학회지 Vol.37 No.1

        Recent critical studies of the history of physical anthropology view Sejin Rha’s (1908-1984) research on Korean populations (hanminjok) after World War II as a continuation of prewar Japanese colonial science. Taking into account the so-called revolution of physical anthropology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these studies have maintained that Rha’s research program only repeated traditional Japanese colonial anthropology without engaging the new revolutionary development in the field. This article challenges current understandings of Rha’s studies of Korean populations, chiefly his article in 1964, by considering his peripheral position between two metropolitan sciences: prewar Japanese colonial science and postwar US international science. By tracing the changing scientific contexts during the 1930s-1960s to which Rha belonged, this article argues that Rha produced a hybrid physical anthropology program. In particular, he sought to identify Korean populations as those of a biologically unitary nation (danil minjok). To do this, he selectively amalgamated theories, methodologies, and data from both the traditional Japanese colonial anthropology and the seemingly new US physical anthropology into his research program. This case study offers a critical examination of physical anthropology as a way to consider the so-called scientific dimensions of Korean scientists such as Rha who received Japanese colonial education. By situating a Korean scientist between two intellectual traditions, this article contributes to scholarship of the history of science in postcolonial Korea.

      • KCI등재후보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현재환(Hyun, Jae Hwan),홍성욱(Hong, Sung Ook) 한국과학기술학회 2012 과학기술학연구 Vol.12 No.2

        이 논문의 첫 번째 목표는 참여적 전환이라는 최근 STS의 흐름 속에 미묘한 차이를 가지는 여러 입장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STS에서 논하는 과학기술 거버넌스와 위험 연구자들이 발전시킨 위험 거버넌스의 여러 모델 사이의 차이와 공통점, 그리고 접점을 모색해 보는 작업을 위해 매우 중요한 선행 작업이 될 수 있다. 이 논문의 두 번째 목표는 그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2000년대가 아니라 1970년대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당시 STS의 서로 다른 방법론들이 만들어지면서 나타났던 이론적인 차이가 2000년대 이후의 참여의 문제에서 상이한 입장의 근거가 되었음을 보이는 것이다. 모든 사상과 이론은 역사성을 가지고 있고, 실타래처럼 엉켜있는 그 역사적 과정을 풀어 헤쳐 보는 것은 지금의 차이의 연원을 이해하고, 궁극적으로 그 차이를 좁힐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STS 참여적 전환의 ‘역사적 인식론’(historical epistemology)에 대한 것이며, 그 목표는 STS가 공유할 수 있는 미래의 정치적 인식론(political epistemology)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This paper first aims to reveal that, in the current trend of "the participatory turn" in STS, there are divergent positions sub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se divergent positions can be significant to study the differences, similarities and interfaces between the various models of scientific governance discussed in STS and those in risk governance developed by risk studies. Secondly, this paper shows that theoretical differences among STS scholars on scientific governance and public participation goes back to the 1970s and 1980s, during which they first laid down the conceptual basis of STS. All ideas and theories have their own historicity. This article is about the "historical epistemology" of the participatory turn of STS, and is to seek "political epistemology" that can become a shared vision of STS.

      • KCI등재

        논문 : 유전체학, 새로운 "인종"과학, 그리고 과학학의 대응

        현재환 ( Jae Hwan Hyun ) 한국과학철학회 2014 과학철학 Vol.17 No.2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가 종결된 이후, 과거 사회적 구성물로 이해되던 인종범주가 과학적으로 유용하다는 주장과 함께 인종 차이에 대한 유전체학 연구들이 급증했다. 이 새로운 인종과학은 과학에 대한 철학적, 역사적, 사회학적 연구를 꾀하는 과학학에 새로운 도전으로 다가왔다. 이 글은 과학철학과 과학기술학을 중심으로 인종 관련 유전체학 연구들이 야기한 문제들에 대한 과학학의 대응을 검토한다. 과학철학자들은 생물학적 인종 개념의 구제와 실재론 논쟁과 같은 작업에 몰두한 반면, 과학기술학자들은 인종 차이에 대한 유전체학 연구를 순수한 과학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대신 그러한 과학연구가 일어나게 된 배경과 그러한 ‘인종’과학의 효과를 검토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글은 현재과학학의 여러 연구들이 이처럼 각자 다른 분석틀을 활용하여 독자적인 대응을 해나가고 있지만, 이들 여러 분석틀을 사용한 연구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면, 과학에 대한 철학적 연구와 역사-사회학적 연구 양측이 유전체학에서 나타난 인종 개념에 관한 발전적 이해를 얻을 수 있다고 제안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과학기술학의 경험연구가 과학철학의 실재론 논쟁에 도움을 줄 수있는 방향과 과학철학의 인종 범주 분류 체계가 다양한 과학 활동들에서 인종범주가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돕는 도구가 될 수 있는 경우를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는 페미니즘 과학학 영역에서 이뤄진 과학철학과 과학기술학의 생산적 협업이 다른 주제에 관해서도 일어날가능성을 타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Human Genome Projec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racial categories has been reassessed by scientists, especially in the field of genomics. The number of scientific studies on genomics and on racial differences has increased radically in recent years, although at one time scientists regarded the concept of race as a ‘social construct.’ This new racial science has become a kind of challenge to scholars of science studies, who attempt to focus on the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aspects of science. This paper examines the responses of these scholars, specifically focusing on philosophers of science and STS scholars, to the new challenge of the science of race. Philosophers of science, on the one hand, are engaged in the work of saving the biological concept of race and the debate about the biological reality of race. On the other hand, STS scholars have favored a contextual approach to this subject by tracing the socio-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emerging new racial science and criticizing its contested effects in practice. This paper argues that these scholars would better comprehend the use of racial categories in genomics by taking into account both philosophical studies and historico-sociological studies of this phenomenon in view of a synthesis between them. This study will be a part of a larger effort to promote generative collaboration between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STS.

      • KCI등재후보

        미국의 PSA 진단검사 논쟁과 유연한 근거중심의학

        현재환(Hyun, Jae Hwan) 한국과학기술학회 2013 과학기술학연구 Vol.13 No.1

        현재 의료체계의 주된 변화로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 EBM)의 전지구적확산을 꼽을 수 있다. 최근 STS 연구들은 EBM이 실제 의학 실행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작동하는지에 대한 검토를 수행했는데, 이 글은 이러한 맥락 속에서 전립선암 특이항원(Prostate-specific Antigen: PSA) 의 조기진단 검사 도구 사용 여부를 둘러싸고 미국에서 벌어진 논쟁을 추적한다. 본 연구는 EBM이 PSA 검사 조기진단의 지지자와 반대자 양측에서 논쟁의 자원으로 이용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확고한 과학적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던 EBM의 과학적 증거 위계가 행위자들의 의도에 따라 사실상 ‘유연하게’ 해석되고 동원되었음을 보일 것이다. 나아가, 이 글은 현재 EBM이 PSA 검사 반대자를 지지하는 것처럼 보이는 일은 삶의 질이라는 가치가 EBM의 체계 내에 주요한 변수로 부상하는 역사적 맥락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임을 드러낼 것이다. 본 사례 연구는 EBM 시대에 의료기술에 관한 논쟁을 검토하는 연구자들이 EBM이라는 대상을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기 보다는 논쟁 속에서 맥락화하여 논쟁과 함께 분석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global diffusion of Evidence-Based Medicine (EBM) is changing the landscape of medicine and the healthcare system. STS scholars have shown how EBM works when put into practice. In continuing to add to the literature of previous scholars, this paper traces the historical process and debate over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testing as an early screening test for prostate cancer in the U.S. This study will reveal that both pros and cons of the testing using EBM as a crucial resources of the debate, and in the process both ‘flexibly’ interpret and mobilize the hierarchy of scientific evidence for EBM despite the fact the hierarchy is imagined to being scientific criteria that is rigid. Furthermore,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is phenomenon, for which EBM currently seems to support the cons side of PSA screening, was constructed in the context of appraisal of the value ‘quality of life’ in the EBM system. This case study proposes that those who study the debate of medical technology in the EBM era should contextualize and analyze EBM as part of this debate rather than simply taking EBM for granted.

      • 안정적인 리튬 금속 전지 개발에 대한 연구

        현재환 ( Jae-hwan Hyun ),이민정 ( Min-jeong Yi ),허성호 ( Sung Ho Huh ),유승호 ( Seung-ho Yu ) 한국공업화학회 2022 공업화학전망 Vol.25 No.3

        현재 휴대 전자기기와 전기차 등의 모빌리티 분야의 성장으로 고용량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전지의 연구가 검토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음극재로는 리튬 금속이 각광받고 있다. 리튬 금속 전지는 1980년대 브리티시 컬럼비아대의 몰리 에너지(Moli Energy)에서 노트북 및 휴대폰용으로 상용화된 바 있으나 1989년 일본에서 휴대전화에 불이 나는 등 안전성의 문제로 전량 회수한 역사가 있어 사용이 잠시 중단되었다가 다시 최근 고용량 차세대 이차전지의 수요를 맞추기 위한 음극재의 후보군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리튬 금속 음극은 불균일한 리튬 이온 전착에 따른 리튬 수지상 성장과 리튬 금속의 낮은 표준환원 전위에 의한 전해질의 분해로 생성되는 전극-전해질 계면의 불안정성에 의해 낮은 쿨롱 효율과 내부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해질 특성, 계면 제어, 전극 디자인 등 최신 리튬 금속 전지 연구 동향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 전략을 통한 안정성의 개선이 리튬 금속 전지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맞춤의학’ 담론에서 발견되는 기표-정치(signifiant-politics)에 관한 연구

        이준석(Lee, June-Seok),현재환(Hyun, Jaehwan) 한국과학기술학회 2014 과학기술학연구 Vol.14 No.1

        지난 이십여 년 간 한국의 전문가 집단과 시민사회는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의 실현 여부와 그 효용을 둘러싸고 갑론을박을 벌여왔다. 이러한 논의들은 주로 맞춤의학이 실현가능한 약속인지 아니면 단순한 과장광고(hype)인지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는데, 이 글은 이러한 논의들이 ‘맞춤의학’이라는 용어의 ‘통시적 혼종성’과 ‘공시적 다의성’을 놓치고 있음을 지적한다. 본 연구는 맞춤의학을 행위자들에 의해 이용되는 수사적 도구(rhetorical device) 혹은 수사적 존재(rhetorical entity)로 보기를 제안하는 선행 연구를 좇아, 1998년부터 2013년까지 이루어진 약 9천 건의 국내 언론 보도 내용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는 "맞춤의학"이라는 용어가 기술과학 발전의 역사적 맥락에 맞추어 서로 다른 사회세계에 속하는 행위자들에 의해, 건강기능식품, 의료정보제공, 원격진료, 재생의학, 줄기세포연구, 환자중심진료, 질병중심임상처방, 사상체질의학을 가리키는 것으로 끊임없이 재정의 되어 왔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맞춤의학 거버넌스에 대한 정책적 제언과 이론적 기여의 두 가지를 시도한다. 정책적 제언과 관련해서 이 글은 현재 정책 연구들이 역사적 다의성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 각기 다른 대상들을 맞춤의학으로 설정하고 분석을 전개하고 있으며, 맞춤 의학을 보편적인 과학적 실재로 가정함에 따라 미국의 ELSI 연구 결과들을 한국 상황의 분석에 그대로 적용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론적 기여와 관련해서 이 글은 맞춤의학과 같은 신기술에 결부되는 정치적 함의를 검토할 수 있는 도구로 ‘기표-정치(signifiant-politics)’의 개념을 제시한다. 하나의 용어ㆍ단일한 기표가 다양한 의미체계 안에서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현상은 이전에 세상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기술과학이 혁신을 통해 등장하였을 때 관찰되는 것으로, 그를 지시하는 기표로서 언어가 갖는 본질적 결여가 파생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신기술 분야에서 정책결정과 거버넌스가 중요한 것은 이 이유 때문이다. 신기술정책은 바로 이러한 기표의 무한한 흐름과 미끄러짐을 정박(碇泊)시키는, 의미의 고정점이자 기표의 누빔점(point de capiton, quilting point)이 된다는 점에서 상징계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이 사례연구에서 볼 수 있었듯이, 기술정책 등의 사회적 합의가 누빔점을 제공하기 이전까지 신기술의 기표가 갖는 의미의 미끄러짐을 활용하는 행위자들의 특징을 기표-정치(signifiant-politics)라고 부를 것을 조심스럽게 제안하고자 한다. For the past 20 years, expert groups and citizens in Korea have debated on the usefulness of personalized medicine. These debates were mainly focussed on the possibility of the promise ? people mainly discussed whether it was a probable future or if it was just a hype. Following Hedgecoe and Tutton(2002) who argue that it is only a ‘rhetorial device’, we will analyze about 9,000 news media coverages that deal with personalized medicine. With these data, we will show that the same terminology of personalized medicine have been used ver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 and people who use it. Our research will show that this term has both diachronic heterogeneity and synchronic equivocality. This has happened because of the innate lack that exists in our symbolic system. Policy and governance regarding new technology is important because they provide quilting point to those slippery term/signifiant. Also we would like to carefully suggest that we might be able to call this phenomena as signifiant-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