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의 삶, 자기성찰, 그리고 통합교육과정

        허창수 ( Chang Soo Hur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4

        내 삶의 일상 속에 통합교육과정은 한쪽 구석을 차지하고 앉아, 다양한 관계의 입장 변화와 함께 진화되어 왔다. 본 논문은 내 삶 속에서 통합교육과정이라는 의미가 어떠한 경험을 통해서 재현되어 왔는가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는 하나의 성찰 과정으로써 많은 질적 연구자들이 일상 속에 재현되는 다양한 기호들의 의미와 그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과 상통하는 논의방법이다. 이를 통해 통합교육과정이 가진 진정한, 정당한, 그리고 타당한 의미는 무엇인지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그것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통합교육은 특정 이론에 의해 계획되고, 편성되며, 실행되는 교육과정, 즉 설계된 교육과정의 의미로서의 역할은 매우 미흡하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또한 통합교육은 모든 교육적 실행의 일상이며, 그 실행이 어떠한 의미와 개념을 통해 통합적으로 재현되는지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는 교육과정이라는 것을 이해하였다. 즉 현성적인(emerging) 교육 실행으로서의 교육과정이라는 것이다. 이는 통합교육과정은 계획된 교과나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교사의 교육 현상에 대한 이해와 실행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에 타당성을 제공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나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통합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방향성에 기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Curriculum integration always posits in my everyday life and has been evolving within various relational positionality changes. I attempt firstly to discuss how the meaning of curriculum integration has been represented through my life experiences in this article. As it is a process of self-reflection and an essence of research methodology, many qualitative researchers try to understand essences and meanings of various symbols in every day lives. Through it, I try to understand authentic, fair, and reasonable meanings of curriculum integration and make an effort to look for its essence in the sense of phenomenology. It implies that curriculum as planed, organized, and performed through a particular theory has relatively low relations to the meaning of actual and practical integration. Rather, integrated education is a reality and every day lives in the classroom. Thus, integration should be the way of a praxis in the middle of performing while understanding those realities and everyday lives, making meanings of them, and conceptualizing them. That is, it is a curriculum of emerging educational praxis. It justifies that curriculum integration should focus more on teachers` praxis through understanding educational phenomenon rather than planed and organized curriculum as a educational process. Lastly, I attempt to make suggestion for future orientations to have to be progressing.

      • KCI등재
      • KCI등재

        Wee스쿨 교사 체험을 통해서 본 경계지성의 실존적 가능성 탐구

        허창수 ( Hur Chang-so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2

        최근 들어 공교육에서도 경계를 넘어 대안 교육을 표방하는 다양한 정책과 교육과 정이 시도되고 있다. 대안 교육이 시작되면서 경계 넘는 실행들이 가진 의미들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반면 아직도 그 의미에 대해서 공교육 경계 내에서는 다소 미온적이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와 해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일환으로 하나의 다른 지향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를 목적으로 본 논의를 하였다. 해석을 위한 대상은 Wee스쿨 참여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인식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주 자료는 일정 기간 수집한 것이지만 베르그손의 ‘지속’ 개념에 따르면, 과거 관련된 연구자의 경험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경험 중 논의를 위해 기억에 있는 이미지들을 가져와서 활용하였다. 논의의 시각으로 경계지성과 경계교육학, 하이데거의 가능성을 사용하였다. 해석은 경계를 중심으로 하였고, 그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지성으로 이해하였다. 이에 기초한 교육은 경계교육학이다. 아울러 경계 밖에 던져진 실존에 대한 이해를 위해 존재론의 가능성에 대한 개념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논의는 경계지성을 가능성으로 재개념화 하였으며 그를 통해 교사가 인식하지 못했던 스스로의 존재에 대한 실존적 질문에 던져졌고 그로부터 교사로서의 현존재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ums have been recently attempted in Korean public schools to promote alternative education crossing over the borders. There has been much debate over the implications of these boundaries. However, it still has a somewhat lukewarm sense of meaning within the public education bounda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active discussion and interpretation, and as a part of this discussion, I made an attempt to provid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The analysis used is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Wee school. The data are collected for a certain period, but according to Bergson's concept of 'duration,' it also includes experiences related to my own past experiences. Therefore, I took ‘image-remembrance’ and used it for discussion. The concept of discussion used border intellectuals, border pedagogy, and Heidegger’s possibility. The interpretation for the discussion is centered on the borders, the teacher 's perception can be understood as intellectuals, and education on it is border pedagogy. In addition, the concept of the possibility of ontology was needed to understand the existence that was thrown outside the borders. Therefore, the discussions showed that the border intellectuals was re-conceptualized as possibility and it was thrown into the existential question about the existence of the self, which the teacher did not recognize, and it became the occasion to understand the ‘Dasein’ of teacher.

      • KCI등재

        진로 찾기 위한 대안 교육과정 경험 이야기: "낯선 길 앞에서 희망을 노래하다"

        허창수 ( Chang Soo Hur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1

        선행연구에 의하면 대안교육의 성공사례를 이해하고 그것이 가진 함의를 공교육 차원에서 논의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주장해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 대안학교에서 구성한 교육과정 프로그램인 `낯선 길 앞에서 희망을 노래하다`가 가진 진로와 자치 교과로서의 의미와 그것이 가진 특성을 표출함과 함께 그것이 가진 교육과정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그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소개하고, 이를 교육과정 재개념 패러다임 관점으로 논의하며, 시류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의 사례로 선정된 대안학교에 약 6개월 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과거 1년간 진행한 프로그램에 대한 문서기록을 살펴보았고, 반 구조화된 이야기 형식을 사용하여 교사와 학생들을 면담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각종 사건, 주제 등을 중심으로 분석과 해석하여 이야기 형식으로 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 대안학교에서 설계한 특정 프로그램인 `낯선 길 앞에서 희망을 노래하다`를 학교 밖 아이들이 경험하면서 자서전적 방법과 성찰을 통해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잃어버린 조각들에 의해 단절되어 있는 과거,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문해와 해방적 존재로 성장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introduce one of alternative schools` curriculum programs, called `Singing Songs on the Strange Road` and also discuss its implications to public school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and autonomy subject matters. For this purposes, I firstly introduc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nd secondly discuss meanings for public school curriculum in terms of curriculum reconceptualization paradigm. To describe them, I have looked over their documents about the program implementations and interviewed teachers an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Especially, I have interviewed them under semi-structured and narrative styles. I analyzed and interpreted them based on narrative in which I describe and represent them under themes, events, and so on. During this process, I observe that students, getting rid of from public schools, improve their self-respects and esteems, which have been lost in their life for a while, through autobiographical narrative texts and reflections, and integrate among their past experiences, future hopes, and present realities to reborn and grow themselves as literacy and emancipatory existences. Lastly, I suggest certain meanings of practical, realistic, specific school implementations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and autonomy subject matters.

      • KCI등재

        탈식민주의 이론과 실제의 꼴라주

        허창수 ( Chang Soo Hur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3

        끝나지 않은 식민주의를 해체할 수 있는 탈식민주의는 학문 분야에서 최근 부각되고 있는 담론이다. 국제적으로는 1960년 대 이후 서구의 선진국 뿐 아니라, 아시아, 아프리카와 인도 등에서 활발하고 점차적으로 발전해 왔던 반면, 한국의 경우는 그 논의가 크게 진행되어 오지 않았다. 그나마도 이론적인 담론을 소개하고 논의하는 수준에서 연구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탈식민주의는 실제에 대한 논의이다.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전해지고, 숨겨지며, 진행되는 다양한 실행과 보편성에 연구가 되어야 하는 데 그에 대해서 한국은 매우 초보적인 단계에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탈식민주의의 이론, 방법론, 교육, 그리고 실행(praxis)적 측면에서는 어떠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지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가지고 있다. 특히 일상적 텍스트를 대상으로 탈식민주의 시각에 의해 어떻게 의미가 해석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적 텍스트 내 탈식민주의는 어떻게 개념화 될 수 있는가? 둘째, 탈식민주의에 적합한 이론과 방법론적 배경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적 맥락에서 탈식민주의의 적용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이에 대한 답변을 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영화, 소설, 대중적 역사 서적, 선행 연구, 탈근대주의 관련 서구의 연구방법론 서적 등을 선택하여 그것들이 가진 의미를 탈근대주의, 질적 연구, 교육이라는 주제들로 개념화하였다. Post-colonialism is currently raising up in academic field as a big grounded-theory to be able to deconstruct unended colonialism in the world. It has been gradually developing very actively in the western as well as Asia, Africa, and so on since 1960. Whereas, Korean scholars have discussed very rarely in this field. Although they have studied, they mostly introduced theoretical frameworks and textbook analysis in post-colonialism. Post-colonialism is a discussion of the practical. Scholars should discuss on transferring, hiding, and processing practices and taken-for-granted in the life-world in terms of post-colonialism. In this aspect, Korean academic field, especially educational field posit on naive level. Thus, I purport to discuss how studies have effort to construct theoretical, methodological, educational, and practical frameworks in term of post-colonialism. Specially, I would like to focus on life-world texts. And, how are those texts interpreted in meaning of post-colonialism.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llowing: 1) How are those life-world text conceptualized in terms of post-colonialism?, 2) what kind of methodology are appropriate? and 3) How are we applying post-colonialism for educational field? To answer these questions, I collect data from novels, films, historical assay, literature review, and so on and try to understand their meanings in terms of post-colonialism.

      • KCI등재

        국제자원활동이 가진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한 활동가의 경험 이야기

        허창수 ( Chang Soo Hur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3

        한국 사회에서 국제자원활동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반면 그것이 가진 교육적 효과나 의미를 논의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자원활동은 청년들의 전환학습을 위한 장으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인정을 구체적으로 입증해 보기 위해서 한 자원활동가를 선택하여 그가 참여하게 된 계기부터 현재 진행 중인 활동까지 전체 과정을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 과정이 가지고 있는 교육과 정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원활동가를 면담하고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야기 방법을 사용하여 그 의미를 추적하였다. 결과는 경험적으로 인정하고 있었던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는데, 그 세부적인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스로의 삶을 이해하는 과정이 되었다. 이는 파이너가 주장하는 자서전적 텍스트로서 교육과정을 연상시켜 주었다. 둘째, 우선 자원활동가가 가진 개인적 특성이 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특성은 자원활동을 통해 전환의 기회를 갖기도 하였다. 그 중 교육과정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은 가정 배경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타협을 기초로 한 중재적 의사소통의 태도가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는 현 공교육의 현실은 이러한 특성들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따라서 국제자원활동은 영 교육과정의 하나로서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장하였다. Interests on international volunteering have been emerging up in South Korean society. Whereas, studies have been rarely discussing its educational effect and meaning. Regardless of academic evidences, international volunteering would be assumed a place for transformational learning. I attempt to prove this taken-for-granted assumption. Thus, I choose an activist and review his/her experience from motivations to the present activities focusing on its process. Also, I try to look for educational meaning. For this process, I collected data from interview and observation, and use narrative method to interpret the data. As others presumed, I find several educational meanings, and they are the following. 1) Volunteering is a place for understanding the activist life and others as well. It reminds me curriculum as auto/bio-graphical text. 2) The activist`s characteristics influence to the important conditions for successful volunteering and also these characteristics have a chance to transform toward a bigger picture. These characteristics based on educational meanings are founded as the importance of parents` influences and mediating communications attitude based on compromise. I also discuss these results further to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in South Korea. If current education in public could not provide opportunities to construct these characteristics, some other programs could take roles of it. Therefore, in this aspect, international volunteering emerges up as an important null curriculum.

      • KCI등재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제언

        허창수 ( Soo Hur Chang ),장인실 ( In Sil Chang ),박철희 ( Cheol Hee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4

        본 논의는 2009년 12월부터 2010년 1월 중 전국 8개 대학(교)에서 교사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것이 가진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교과 과목과 내용 측면에 초점을 둔 예시적 교육과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첫째, 각 대학(교)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자료집 내용은 어떤 교육 영역으로 나눠지는가? 둘째, 장인실(2008)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교육과정 모형에 의해서는 어떻게 분석되는가? 이에 대한 답변을 위해서 본 연구는 각 대학(교)이 연수를 위해 제작한 자료집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세 가지 결론으로 귀결되었는데 첫째, 강사 인구로부터 다양한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핵심 내용 분석을 통해 결정된 8개의 교육영역에 대한 결과 또한 교육과정 차원에서 특정 영역에 치우쳐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장인실(2008)의 교사 연수 교육과정 모형을 적용해본 결과 단계 1인 인종, 민족, 문화, 성별과 관련된 지식과 단계 5인 교육과정 변화를 위한 실천에 대부분의 대학(교)들이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근거하여 미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은 기본형과 심화형으로 나누어 것에 대한 필요성과 교육과정의 예시를 제공하고 있다. We purport firstly to analyze and understand current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pened from December 2009 to January 2010. We also attempt to provide examplary curriculum of future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understandings. For this purpose we have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1) how can we categorize content matters of 8 college level programs based on textbook analysis?, 2) According to Jang(2008)`s curriculum model for teacher education, how can we conceptualize the content matters?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specifically focus on analyzing the textbook content matters in depth. We have found three conclusions. First, we understood that there can be various directions based on teacher population distribution for developing curriculum. Two, we found 8 different educational field. However, content matters were unbalanced among those fields. Some field, such as knowledge based content matters, were relatively weighted. Third, according to Jang(2008)`s model, content matters were also relatively emphasized on level 1 which is knowledge about race, ethnicity, culture, gender and so on, and level 5 which is practices to change content matters in curriculum. We finally suggests two exemplary curriculum based on those resul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일상 속 숨겨진, 당연시 여기는 폭력들

        허창수 ( Chang Soo Hur ),이주욱 ( Joo Wook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2

        우리는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다양한 폭력을 경험한다. 본 논의는 이와 같은 일상 속 숨겨진, 당연시 여기는 작은 폭력들을 논의하고 있다. 본 논의를 위해 사용한 방법론은 브리콜라주이다. 이는 본고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주제를 재현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마치 짜깁기 하듯이 구성한 방법론을 말한다. 특히 본 논의에서는 탈근대주의 성격의 몽타주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의를 위한 자료는 면담, 관찰, 참여, 학문적 자료 고찰, 영화 읽기 등을 통해서 수집되었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순환적인 자기성찰과 성찰을 통해, 일상 속 숨겨진 당연시 여기는 폭력들이라는 주제 아래 분석과 해석되었으며, 이로부터 나타나는 다양한 관련 소재들을 재현하였다. 본 논의가 가지고 있는 의미는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이러한 폭력들의 주장을 위해서 필자들은 서로의 일상들을 성찰적인 태도로 이해하고 설명, 그리고 해석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로부터 스스로의 성장 과정을 경험하였다. 둘째, 본 논의는 또한 이러한 과정을 독자들에게 보여 줌으로서 독자들 역시 스스로의 일상에 대해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데 커다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People have been commonly experiencing on unheeded violences in our daily lives without recognizing them. This article discusses these hidden, taken-for-granted violences. To expose these violences, we make efforts to understand, explain, and interpret daily lives in the sense of reflective attitudes. To achieve this exposure, this study utilizes a bricolage as postmodern style methodology. We especially use a montage method in which we try to bring several situations up to show and emphasize our major themes. We attempt to use data from daily life texts rather than a particular data collection from a current methodological approach.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interviews, observations, academic reviewing of journals, interpreting movies, photographs, and so on. We try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data through circulations of self-reflection and reflection as well. Through those processes of reflection, we also attempt to represent the meanings of daily life with respect to violences. We assume that this reflection and self-reflection on daily lives implies a growing-up process with respect to education. In this process, as a major meaningful performance,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audience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on daily life on their 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