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은하의 남도깁수건춤 무보의 특징 : 허순선의 무보틀에 의한 표기

        허순선 한국무용연구학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2

        1950-1960년대에 사회에서 활발히 활동한 광주 지역의 춤 선생으로는 조모안, 한진옥, 이명석, 이상준, 박은하가 있었지만 현재 생존해 있는 분은 박은하 뿐이다. 그러므로 김금옥 - 조모안 - 박은하로 이어져 온 남도깁수건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본 연구에서는 박은하의 남도깁수건춤 무보를 기록하는데 목적을 두고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단은 살풀이장단 119장단 - 자진모리장단 84장단 - 살풀이장단 9장단으로 구성되어 형식은 A-B-A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맘결은 느린 장단에서는 깁 수건을 이용하여 한의 감정을 표현하고 빠른 장단에서는 신명의 감정표현을 변화 있게 나타내고 있다. 셋째, 숨결은 첫 박에 주로 강하면서 들멈춤숨으로 춤을 춘다. 반 장단을 하나 … 여섯 으로 센다면 하나에서 넷까지는 주로 들숨과 들머뭄숨, 그리고 들멈춤숨으로 춤을 추고 다섯과 여섯은 날숨과 날머뭄숨으로 춤을 추며 가끔 한 장단의 둘째 박에서 강하게 날멈춤숨을 이용하여 춤을 춘다. 넷째, 춤사위는 팔 동작에서 팔이 들려 있을 때 주로 뒤쪽에 놓인 팔은 높게, 앞쪽에 놓인 팔은 낮게 든다. 발사위는 주로 발돋움사위 보다 발디딤사위를 사용하고 걸음사위는 디딤걸음, 모둠걸음, 까치걸음사위를 주로 사용한다. 춤사위의 표현은 여성스러우며 직선적 움직임 보다는 곡선적 움직임을 더 사랑하고 있다. 특히 춤사위의 강하고 약함, 길고 짧음, 크고 작음의 표현이 음악 흐름에 충실하다. 다섯째, 춤 길은 혼자 추는 홀 춤이므로 주로 중앙에서 춤이 이루어지고, 몸의 방향은 사선을 즐기며 무대를 구석구석 사용함도 잊지 않고 있다. Namdo Gip Soogan Chum is a kind of Salpuri Chum and has been inherited through Keumok Kim, Moan Cho and Eunha Park. Today only Park is still alive but old. To keep her traditional and original Gip Soogan Chum it's urgent to record her dance. This paper notates Eunha Park's Namdo Gip(rough silk) Soogan Chum using Soon-Sun Heo's Korean Dance Notation Frame. Namdo Gip Soogan Chum is notated emphasiz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beat is composed of 119 Salpuri beats, 84 Jajinmori beats and again 9 Salpuri beats are followed. Second, Mamgyeol(Emotion) is expressed Han(sadness) in the slow beats, using Gip Soogun, and changed into Sinmyung(joyfulness) in the fast beats. Third, as for Soomgyeol(breath), in the first beat Deulmumchumsoom is taken. In a half beat Deulsoom, Deulmeomumsoom, Deulmeomchumsoom, Nalsoom and Nalmeomumsoom are taken in order. Sometimes in the second beat, the strong Nalmeomchumsoom is used. Fourth, in the Palsawi(the motion of arms), when arms are lifted on, one in the back is higher and the other in the front is lower. Baldidimsawi(the motion of feet) is used more than Baldoteumsawi. For Geuleumsawi(walking motion) mainly use Didimgeoleumsawi, Modeumgeoleumsawi and Ggachigeoleumsawi. Fifth, This Chum is danced alone, so Chumgil is mainly in the center of the stage. The dancer's body enjoys the diagonal line.

      • 朴琴瑟 韓國舞踊 用語 硏究 : 韓國無踊 用語 定立을 위하여

        許順善 광주대학교 1984 광주개방대학 논문집 Vol.1 No.-

        I have established the technical terms of Korean dancing and have recorded the basis and dance composition of Korean dancing, if the leader(coach) tells learners the terms, they may be able to make motions. I have studied the book, that is terms of Korean dancing which was published by Park Geum-Seul, and found that there are many technical terms of the spirit of traditional dancing of Korean people and furthermore there are scientific coined word and method, I think that these words should be evaluated high, and the traditional and spirit of Korean dancing which might have been forgotten in our memory will be continued remaining forever, I think.

      • KCI등재후보

        박금슬의 입춤 연구

        허순선 韓國舞踊敎育學會 2008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omponent elements of the Introductory Dancing[Lipchoom] Of Pak Keum Seul who has been influenced by Jung So-San, who was a professional royal Gisaeng of late Joseon Dynasty, and Jung Ja-Sun, who was the dancing teacher of Honam region and to discuss and derive the most appropriate appelation on the basis of reference literature and my experience by surveying the range of the Introductory Dancing[Lipchoom]. Pak Keum Seul classified the dancing gestures[Choomsawi]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arranged the terms which have been described stepwisely as the introductory ground dancing[Lipbatchoom], the introductory naked-hand dancing[Lipmaensonchoom] and the introductory towel dancing[Lipsoogunchoom]. In a narrow sense the Introductory Dancing[Lipchoom] refers to the naked-hand dancing which is an adjusted form of the ground dancing[Batangchoom] which controls the body according to the rhythm or beat of tunes for an exorcism[Gootgury]. In a wide sense the Introductory Dancing[Lipchoom] refers to any basic dancing which has the nature of basic dancing regardless of the rhythm or beat. From now on in case that any dancing has the nature of basic dancing it is desirable to add 'Introductory' to the appelation of any dancing.

      • 靈山齋作法의 着服舞에 關한 硏究 : 茶偈 着服舞를 中心으로 Focused on the method of Dakai

        許順善 광주대학교 1988 論文集 Vol.5 No.-

        Among the Buddhist dances in Youngsanjae Chakbokmoo(the dance in robes) consists of the method of Doryangkai through which a dancer admires Buddhist magnanimity, the method of Dakai, which he offers a tea and the method of Wunshimgai, which he makes an offering of a meal. In the robe the long sleeves of Paldai Changsam(a Buddhist monk's robe attached eight scraps) express fins of a fish, the hat expresses a head of a fish, the foot expresses a caudal fin and the body expresses a body of a fish. Pompai consists of double sound composed by Pagatchimi and Anchimi. These kinds of Chakbokmoo are handed down by some monks of Taegojong but the initiating system and study seem to be insufficient. This paper trys to arrange preferentially the method of Dakai for students to learn to learn correctly.

      • 靈山齋作法의 着服舞에 關한 硏究Ⅲ : 運心揭 着服舞을 中心으로

        許順善 광주대학교 1989 論文集 Vol.6 No.-

        Yongsanjae chakbokmoo(the dance in robes) consists of Doryangkai, Wangsangai, Dakai, Wunshimgal, Okongrang, Samkyeu, Giokgo, Mokranchan, Hyanghwakai and Chekyeu. Nun's robe means Budda, the long sleeves mean the fins of a fish, the hat means a head of a fish, The foot means a caudal fin and the body means a body of a fish. Bompai consists of double sounds, Pagatchabi and Anchabi. These Chakbokmoos are handed down by only some monks in the temple, and the initiating system and study seem to be insufficient. This paper trys to arrange the method of Wunshimagai for students to learn the dance correctly.

      • KCI등재

        박은하의 민승무 중 법고무 연구

        허순선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19 No.-

        박은하는 광주 지역의 원로 춤꾼으로서 담양 출신의 조모안과 목포 출신의 이매방을 스승으로 춤을 다져 1960년대 초부터 춤꾼들을 많이 길러온 인물이다. 1950~1960년대에 사회에서 활발히 활동한 광주 지역의 춤 선생으로는 조모안, 한진옥, 이명석, 이상준, 박은하가 있었지만 현재 생존해 있는 분은 박은하 뿐이다. 김금옥, 조모안, 박은하로 이어진 민법고무는 김금옥, 박영구, 이매방으로 이어진 민법고무와 조금 다른 특징을 지닌다. 그러므로 박은하의 민법고무를 기록으로 남김도 의의가 있다고 생각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무보를 창안하여 표기 하였다. 민법고무의 무보는 가락보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는 수타보(手打譜), 구음보(口音譜), 밑몸길(발과 무릎의 움직임)을 표기 하였고 위쪽으로는 맘결(감정), 숨결(호흡), 윗몸길(머리와 몸통의 방향)을 표기 하였다. 박은하의 민법고무 무보를 표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채보된 가락보에서는 긴 가로선 위와 아래에 음표와 쉼표를 그렸더니 가락의 길고 짧음과 쉼을 알 수 있었고 음표의 머리를 달리 표기하였더니 ‘면타’ ‘테타’ ‘채타’를 구분 할 수 있어 음의 높고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음표 위에 여러 기호를 표기함에 따라 가락의 강하고 약함과 어떤 손이 위로 가서 겹쳐 치는지를 알 수 있었다. 수타보에서는 ‘왼’, ‘바’, ‘양’의 표기, ‘채타’의 번호 표기, 채의 모양을 표기 하였더니 어떤 손으로 북의 어느 위치를 어떻게 치는지를 알 수 있었다. 구음보에서는 왼손(궁,구,그,덩,떠,더,쩍,쩌,저), 오른손(둥,두,드,당,따,다,짝,짜,자), 양손(쿵,쿠,크,텅,터,티)으로 ‘면타’ ‘테타’ ‘채타’를 구분 할 수 있는 구음을 정간보에 장단, 고저, 강약을 나타내보았더니 더욱더 신명나게 북을 칠 수 있었다. 밑몸길에서는 발 놓은 모양을 그려놓고 몸의 중심 이동을 표기 하였더니 북을 칠 때 발을 정(丁)자 또는 팔(八)자로 놓고 치는지와 몸의 중심 이동이 어떻게 이동 되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었다. 무릎굽힘과 무릎폄을 기호로 표기 하였더니 주로 무릎굽힘은 ‘면타’를 무릎폄은 ‘채타’를 침을 알 수 있었다. 윗몸길에서는 몸통과 머리의 방향을 화살표로 그려 보았더니 몸통과 머리가 올라가는 손 쪽을 바라보며 몸의 중심은 올라가는 손의 반대쪽에 또는 몸통과 머리가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쪽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맘결에서는 북을 칠 때의 마음의 정서를 글로 간결하게 표기 하였더니 춤꾼이 북을 칠 때의 느낌에 도움을 주므로써 더욱더 정성을 다하여 북을 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숨결에서는 아랫배숨에 바탕을 둔 ‘들숨’ ‘날숨’ ‘멎숨’을 꺾은선으로 표기 하였더니 주로 ‘테타’는 들숨에서 ‘면타’는 날숨에서 이루어지고 멎숨은 ‘면타’ ‘테타’ ‘채타’에서 골고루 이루어지며 멈춤숨은 두 손이 다 멈추기 직전 즉 쉼표가 있기 전에 북을 친 박 끝에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밑몸에서 표현된 무릎굴신에서는 무릎을 굽히면 날숨이 되고 무릎을 펴면 들숨이 되며 멎숨은 무릎을 굽혔을 때와 폈을 때 다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윗몸에서 표현된 몸통과 머리의 방향은 중심이 낮아지면 날숨에서 시선이 내려오고 중심이 높아지면 들숨에서 시선이 올라감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dance score of "Beopgomu"(Buddhist Big Drum Dance) in Pak Enuha's "Minsungmu"(Folk Buddhist Dance) which has been handed down by the oral tradition and its performances, in order to understand its fundamental character, and to analyze "Beopgomu" in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way. Pak Enuha's "Minsungmu", especially "Beopgomu", has several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other Buddhist Big Drum Dances. In this aspect, it is worthwhile to record Pak Eunha's " Beopgomu" in dance notation. A recorded dance score may be used as the basic data in the further study of Buddhist Big Drum Dance. The dance score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Garakbo"(the melody score) in the middle part, 'sutabo"(the hand-hit score) and "Guumbo"(recitation score) in the lower part, and "Mamgyeol"(feeling), "seumgyeol"(breathing) and "Yutmomgil"(the direction of the head and the body) in the upper part. "Garakbo" is shown on and beneath the middle long line. "sutabo" is made up with "Oeun" (left hand) and "Ba"(right hand). "Gueumbo" has "Myunta"(hitting the surface of the drum), "Taeta"(hitting the rim of the drum) and "Cheta"(hitting the drum sticks), which follow the similarity of their sounds. "Mitmomgil" uses signs of foot shapes, knee bendings, and the center of the body. "Mamgyoul" displays the feeling with some simple sentences. "seumgyoul" makes use of slashes to expose inhalation, exhalation, and caesura. Finally, "Utmongil" brings in pointers to show the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head.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performance of "Beupgomu" can be achieved by virtue of the instant glimpses on the score here which shows how to find expression of the outer and inner body simultaneously.

      • KCI등재

        한국무용 기본춤사위의 구조와 용어

        허순선 ( Soon Sun Heo ),오레지나 ( Regina Oh ),김옥희 ( Ok Hee Kim ),양서정 ( Seo Jung Yang ),이유진 ( Yu Jin Lee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3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4 No.2

        Korean dance is handed down the type of pedigree and background ideas and occurs depending on the region. The term has been referred to variously as much as Various types of dance. Korea dance moves of culture and ideology holds, the term itself, you can experience the Korean sentiment. Korean dance of efficient practical training and systematic theory in this study to cleans up the term of a term that can complement existing dance. Korean dance move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structure was divided into the lower body and upper body, the whole body. The dancing in the breathing, breathing and dancing to match the dance 6. Lifting, opening, and extension is represented by inhalation to dance, dance by exhalation down, closed, is represented by the movement of the bend. The upper body by breathing is open, firmware, and down, closed, bending that are common in the lower body and upper body choreography. The dance term for a variety of South Korea on the type of dance that can be accepted for this study to propose and Korean dance choreography cultural values as a practical education than Korea Dance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it can forward theoretical research that can be sustained by expectations shou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