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죄와 벌』에 나타난 자기 인식의 패러다임으로서의 자기 비하

        허선화(Huh Sun Wh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1

        이 글에서 필자는 『죄와 벌』의 세 등장 인물 마르멜라도프와 까쩨리나 이바노브나, 라스꼴리니꼬프의 자기 인식의 패러다임을 심리적인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들이 자신을 인식하는 양상은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은 각기 다를지라도 자기 비하의 패러다임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을 통해 드러난다. 마르멜라도프는 자신을 인간이 아닌 돼지, 짐승이라고 생각한다. 짐승의 이미지를 통해 자신을 보는 마르멜라도프의 자기 인식은 지독하게 자학적인 자기 비하의 양상을 띤다. 그의 자기 비하는 지독한 가난과 아내 까쩨리나 이바노브나에 의해 있는 모습 그대로 받아들여지지 못한 결과 초래된 비극이다. 까제리나의 자기 비하는 그녀의 첫 번째 남편이 죽고 나서 극도의 빈곤에 처해지면서부터 시작된다. 그녀의 자기 비하는 두 가지 양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 첫째는 현실이 아닌 공상 속으로 도피하여 그 속에서 자존감을 유지하고자 애쓰는 것이고 두 번째는 마르멜라도프에게 모든 책임을 돌리는 것이다. 고단한 삶과 지독한 자기 비하는 그녀의 육체적 질병 뿐 아니라 정신적 질병을 야기하며 결국 까쩨리나는 마르멜라도프만큼이나 비참하고 애처로운 죽음을 맞는다. 라스꼴리니꼬프의 자기 인식의 패러다임으로서의 자기 비하는 그의 범행 동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그는 자신이 그의 관념 속의 범인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며 자신을 이라고 여기는 극단적인 자기 비하로 떨어진다. 그의 범죄는 그러한 자기 비하의 해소 혹은 출구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소냐의 권유에 따라 자수를 하고 유형지에 가서도 그의 자기인식의 패러다임은 변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에필로그의 마지막 부분에서 그에게 결정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라스꼴리니꼬프의 점진적인 갱생은 자기 인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수반하게 될 것이다. 인간은 결코 그 누구도 이가 아니며 모두가 귀중하고 가치있는 존재라는 단순한 진리를 그가 깨닫고 받아들이게 될 때 그는 비로소 스스로를 가둔 자기 비하의 감옥에서 해방되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problem of self-humiliation as a paradigm of self-recognition in The Crime and the Punishment of F. M. Dostoevsky. The three characters of this novel, Marmeladov, Katerina Ivanovna and Raskolnikov,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of self-recognition in common, which we can call self-humiliation. Marmeladov humiliates himself through the images of a pig, a beast. His act of self-humiliation is caused by abject poverty and the attitude of Katerina Ivanovna towards him, who does not accept him as he is. He wants to humiliate himself more and paradoxically, at the same time restore himself as a man by drinking. He craves for compassion, for compassion can restore him as a man. But nothing works because he cannot forgive himself by accepting compassion and forgiveness of Sonya, who is an agent of God's forgiveness and mercy. Consequently, he perishes tragically, not being able to affirm himself as a man. Self-humiliation of Katerina Ivanovna begins when her first husband dies and she is placed in abject poverty. Her self-humiliation manifests itself in two prominent aspects. Firstly, she tries to maintain her self-esteem by escaping to fantasy in the past or future. Secondly, she blames Marmeladov, imputing her unhappiness only to him. Continual self-humiliation causes not only her physical disease, but also mental disorder, finally leading to miserable and pitiful death. Self-humiliation of Raskolnikov is closely related to the motive of his crime. He falls into extreme self-humiliation, suspecting himself to be a louse, that is an ordinary person according to his ideas. His committing a crime is a kind of solution or a way out of self-humiliation. Even after surrendering himself to the police and going into the exile, the paradigm of his self-recognition is not changed. However, in the final part of epilogue a decisive change occurred inside him. Raskolnikov's promised gradual regeneration is expected to be accompanied by the fundamental shift in his self-recognition. Only when he realizes that a man is not a louse no matter how worthless he looks and that everyone is a valuable being, he will be freed from the prison of self-humiliation in which he locked himself.

      • KCI등재

        톨스토이와 프로테스탄티즘

        허선화(Huh Sun Wha)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1

        톨스토이가 프로테스탄티즘에 대한 이해를 갖게 된 것은 1870년대 페테르부르그 귀족 사회에서 발생했던 영적각성 운동 덕분이었다. 그 당시 영국인 전도자 로드스톡 경은 예수 그리스도가 인류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죽었으며, 인간은 그를 믿음으로 구원을 받게 되고 구원에는 어떤 행위도 필요하지 않다는 내용의 설교를 통해 많은 이들을 회심시켰다. 로드스톡의 전도 활동이 페테르부르그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게 된 톨스토이는 자신의 작품들 속에 그 사회의 영적인 분위기를 묘사하며 프로테스탄티즘에 대한 자신의 평가를 반영한다. 『안나 카레니나』 에서 백작 부인 리지야 이바노브나와 안나의 남편 카레닌은 프로테스탄티즘을 대표하는 인물들로 등장한다. 그들의 믿음에 진실성이 결여된 것을 간파한 작가는 그들을 전혀 호감을 주지 못하는 인물들로 제시한다. 또한 그들과 오블론스키 사이의 논쟁을 통해 작가는 그의 눈에 비친 프로테스탄티즘 교의의 거짓을 폭로한다. 『참회록』 에서 톨스토이는 프로테스탄트들을 비롯해 삶이 그들의 믿음과 일치되지 않는 신자들을 비판한다. 기독교 교회들의 연합을 가로막는 서로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에 실망한 그는 어떤 교회에도 속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마지막 소설 『부활』에서 톨스토이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전사들인 키제베테르와 영국인이 설교하는 속죄의 교의에 강한 적대감을 드러낸다. 톨스토이에게 러시아에서 전파된 프로테스탄티즘은 중요한 사회적 의의를 지니는 사건으로 경험되지 못한다. 그는 프로테스탄티즘의 교의가 개인들의 정신과 삶에 미친 영향을 묘사하면서 줄곧 부정적인 평가를 유지한다. 프로테스탄티즘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톨스토이는 교회의 전승을 거부하고 진리의 판단을 자신의 이성에 의존함으로써 그의 ‘종파주의적’ 정신을 노출한다.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비롯해 모든 교회를 거부했지만 역설적이게도 그의 정신적 특성 속에서 프로테스탄티즘 정신과의 모종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백치』에 나타난 수치심의 메커니즘

        허선화(Huh Sun Wh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수치심이라는 감정은『백치』의 등장인물들의 복잡 미묘한 심리의 바탕에 깔려있는 감정으로 인물들의 성격과 행동양식,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인자(因子)로 기능한다. 자신을 더럽혀졌다, 순결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치심의 가장 주된 뿌리로서 나스따시야 필립뽀브나의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그녀의 억압되었던 수치심은 결혼이라는 사회적 제도 속에서 그녀를 평가하는 타인들의 눈, 세상의 평가 앞에 모습을 드러낸다. 그녀의 구혼자로 등장한 므이시낀은 순결하고 깨끗한 나스따시야, 즉 그녀의 현실적인 자아가 아닌 이상적인 자아에 호소함으로써 그녀의 수치심을 더욱 가중시킨다. 므이시낀과 함께 있을 때마다 나스따시야는 그녀가 믿고 받아들이고 싶은 이상적 자아와의 괴리를 경험하게 되고 그녀는 그것이 견딜 수 없는 지점에 다다를 때마다 그에게서 도망친다. 한편, 로고진은 나스따시야의 자기 비하와 자기 공격성을 구현하는 인물이다. 나스따시야는 로고진의 손을 빌어 자기처벌로서의 죽음을 자행한다. 로고진은 나스따시야를 최초로 만나는 순간에 자신의 비천한 신분과 보잘 것 없는 처지를 가시화하는 옷차림 때문에 수치를 느낀다. 로고진의 수치심은 그를 동등한 인간으로 대우하지 않는 나스따시야의 모욕적인 태도로 인해 더 심화된다. 그는 나스따시야를 보복 살해함으로써 그의 수치심을 분출한다. 이볼긴은 몰염치와 망상 속으로 도피함으로써 자신의 수치심을 은폐한다. 그는 사람들이 그의 거짓말을 믿지 않을 때 더 큰 수치를 느끼는데 그가 더 이상 거짓말 속으로 숨는 것이 불가능해지자 그가 은폐해왔던 수치심은 무너진 방어기제를 뚫고 폭발하기에 이른다. 그는 의식의 표면으로 부상한 수치심을 도저히 감당할 수 없어 그 수치심으로부터 도주를 감행하여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다. 수치심이 강한 사람은 자신이 타인에게 우습게 보이는 것에 대해 매우 예민한 반응을 나타낸다. 그리고 우습게 보이지 않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게 되는데 때때로 그것은 수치심을 보상하기 위한 오만함과 거만함으로 외면화되기도 하고 과장되고 연극적인 행동으로 더 큰 웃음을 불러오는 역설적인 효과를 가져 오기도 한다. 아글라야의 거만한 성격은 아주 작은 수치도 견디지 못하는 수치에 대한 민감성을 키우고 그 수치심을 가리기 위해 더욱 거만한 행동양식을 발달시킨다.자신에 대한 입뽈리뜨의 수치심은 결국 스스로를 수치스럽게 만드는 상황으로 자신을 몰고 감으로써 역설적으로 그가 그토록 두려워하는 타인의 웃음을 초래하며 이런 식으로 그의 수치심은 해소되지 못하고 더욱 심화되고 깊어진다. 수치심을 가진 인간은 자신을 타인과 동등한 가치를 지닌 존엄한 인격으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 결과 그는 자기 자신과도 타인들과도 조화로운 관계를 맺지 못하고 스스로에게 해를 입히며 타인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수치심은 반드시 치유되어야 하는 마음의 질병이다. The feeling of shame lies at the bottom of the complicated psychology of many characters in The Idiot, determining their behavior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feeling of “I am defiled and not pure” is generally one of the major causes of shame, from which Nastashia Fillippovna suffers badly. Her suppressed shame discloses itself before the eyes of others, in the estimation of the world, while confronting the social system of marriage. Myshkin, professing himself to be a suitor for Nastashia, addresses to her ideal self, which is pure and chaste Nastashia, and thereby intensifies her shame. Everytime she is with Myshkin, she experiences sharp discord with the ideal self which she wants to believe in and accept. She flees from him whenever she cannot bear it any longer. Rogozhin embodies her self-humiliation and self-denunciation. Nastashia kills herself as an act of self-punishment, using Rogozhin's hands. Rogozhin feels shame because of his low birth and his clothes at the very moment of coming across Nastashia Fillippovna. His shame is considerably deepened by the insults he suffers from Nastashia, who does not treat him as an equal. Consequently, his shame explores and he revenges himself Nastashia by killing her. Ivolgin too covers up his shame, escaping into apparent shamelessness and fantasy. When it becomes impossible for him to hide himself in lies any longer, the defence mechanism of his shame collapses. He cannot manage to put up with his shame, which rises to the surface of his consciousness. He flees from it and in the end perishes with the outburst of his shame. A person who strongly feels shame is very sensitive to others' laughter. Therefore they try desperately not to cause it. Sometimes their efforts appear as arrogance, which compensates for their shame (in case of Aglaja), and sometimes paradoxically causes more laughter by exaggerated and unnatural manners(as in case of Ippolit). Shame prevents a person from accepting himself as an equal with others. As a result he is unable to get along with himself and others. He mostly harms himself and affects the lives of others negatively. Shame is a mental disease which must be cured if we want to live a healthy and peaceful life.

      • KCI등재

        도스또예프스끼 후기 소설 속의 그리스도

        허선화(Huh Sun Wh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8 노어노문학 Vol.20 No.3

        도스또예프스끼의 후기 장편들에서 그리스도는 성서를 비롯한 텍스트 속의 텍스트를 매개로 하거나 실제 회화, 혹은 언어 회화, 그리고 인물들의 말을 통해 텍스트 속으로 진입한다. 소설의 다양한 인물들은 이러한 다각적인 경로를 통하여 그리스도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와 태도를 드러내며 그 과정에서 작가와 충돌하거나 작가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스또예프스끼의 그리스도론의 핵심에는 부활의 주제가 놓여있다.『죄와 벌』에서는 나사로의 부활에 대한 성서 텍스트를 통해 부활의 능력을 가진 그리스도에 대한 소냐의 단순하고 열렬한 믿음이 그려지며 라스꼴리니꼬프의 부활의 가능성이 암시된다. 이후『백치』에서는 홀바인의 그림을 통해 과연 그리스도에게 가공할 자연의 힘인 죽음을 극복할 부활의 능력이 있는가의 문제가 로고진과 입뽈리뜨를 통해 제기되며 소설 속에서 그 문제는 긍정적인 답을 얻지 못한다.『악령』에 이르러 끼릴로프는 그리스도조차 자신의 부활에 대한 허위적인 기대에 속은 인간으로 묘사한다. 마지막 소설『까라마조프의 형제들』에서는 천국의 연회를 주재하는 그리스도를 묘사함으로써 그리스도가 부활했음을 최종적으로 긍정하며 또한 모든 인간이 부활할 것이라는 기독교의 메시지가 소설 곳곳에서 울려 퍼지고 있다.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과 불신의 공존은 모든 소설들에서 다양하게 변주된다.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단순히 믿고 고백하는 인물들이 있는가 하면 믿음과 불신 사이에서 흔들리며 고뇌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소냐, 쁠리헤리야 알렉산드로브나. 리자베따 쁘로꼬피예브나, 소피야 안드레예브나 등의 여인들과 『까라마조프의 형제들』의 빠이시, 조시마, 알료샤 등이 전자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후자에 속하는 인물들 중『백치』의 로고진과 입뽈리뜨는 이미 상실된 믿음을 회복하고자 하나 믿을 수 있는 근거를 발견하지 못하여 절망한다. 『악령』의 스따브로긴은 수학적 진리와 그리스도 사이에서 분명한 선택을 내리지 못하며 신인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확신하지 못한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의 용서를 믿지 못하여 자살하고 만다. 끼릴로프는 믿고자 하는 강한 열망은 있으나 믿을 수 없는 궁지에 처해있으며 그 궁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역시 자살을 선택한다.『까라마조프의 형제들』의 이반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인간에게는 불가능한 이상이라는 신념과 그리스도의 인류에 대한 사랑이 대다수 인간이 필요로 하는 사랑이 아니라는 의심으로 인해 그리스도를 믿지 못한다. 도스또예프스끼는 카톨릭 교회와 정교회가 서로 다른 그리스도를 전하고 있으며 오직 정교회에서만이 순수한 그리스도의 형상이 보존되고 있음을 그의 소설들에서 줄곧 역설한다. 『백치』의 므이시낀, 『악령』의 샤또프,『까라마조프의 형제들』의 빠이시와 조시마는 이러한 작가의 확고한 믿음을 전달하는 일종의 대변인 역할을 수행한다. In the late novels of F. M. Dostoevsky Christ comes into the texts through the text in the text including the Bible, pictures or verbal pictures and the words of characters. Various characters in the novels through these diversified ways reveal their understanding of or attitude to Christ, sometimes colliding with the author or acting as his spokesmen. The problem of resurrection is placed in the center of Dostoevsky's Christology. In Crime and Punishment is illustrated Sonya's fervent trust in Christ who owns the power of resurrection and i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Raskol'nikov's spiritual resurrection. In the next novel The Idiot Rhogozin and Ippolit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Christ really owns the power to overcome death, using Holbein's picture. In The Devils Kirillov describes Christ as a man who is deceived by hope of his own resurrection. In the last novel The Brothers Karamazov Christ presides over the Heavenly feast, affirming his own resurrection and the message of universal resurrection governs the atmosphere of the novel. Coexistence of faith and disbelief is varied throughout all the novels. Some women including Sonya and Arkadii's mother, Paisii, Zosima and Alesha simply confess their faith in Christ as their Savior. Others waver in agony between faith and disbelief. Among them Rhogozin and Ippolit strive to restore their fallen faith but they can't find grounds for believing. Stavrogin don't choose between mathematic truth and Christ and can't be convinced of his faith in God-man Christ. Kirillov has strong desire to believe but he is stuck in dilemma of being unable to believe on logical grounds. Ivan can't believe in Christ because of his doubt that Christlike love is unattainable ideal for man and love of Christ for mankind is that kind of love that most of people don't really need. Dostoevsky asserts throughout his novels that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Orthodox Church believe in different Christ and only in the latter is preserved the pure image of Christ. Myshkin, Sharov, Paisii and Zosima play the role of spokesmen for the author, delivering his firm conviction on this matter.

      • KCI등재

        『전쟁과 평화』를 통해 본 타자의 죽음

        허선화 ( Sun Wha Huh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3 문학과종교 Vol.18 No.1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how the characters of Tolstoy`s novel War and Peace experience the death of the others. After the death of his wife, Andrey feels very guilty, for he abandoned her, preferring his social ambition to the happiness of his family. Andrey`s life in seclusion is the means by which he punishes himself and is itself his social and spiritual death. He is called again to life only after he meets Natasha, the symbol and embodiment of life in this novel. Maria goes through the process of grief after her father`s death. Retrospection turns out to be a vital element in the process of grief. After she successfully detaches herself from her deceased father, she meets Nicholas, her future husband and she returns to a normal life. Another heroine of the novel, Natasha also undergoes the process of grief after the death of Andrey, her former fiance. But life brings her back to itself by arousing love towards her family in her. Pierre learns from Karataev the lesson that everything happens according to God`s will or fate and one must receive everything as it happens. He receives Karataev`s death as natural, not even grieving over him. Karataev remains in his memory as an embodiment of goodness, truth and simplicity.

      • KCI등재

        기독교 금욕주의 전통과 고골, 도스또예프스끼

        허선화(Huh Sun-Wha)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0 슬라브학보 Vol.25 No.2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life and the works of two Russian writers, N. Gogol and F. Dostoevsky in respect to the tradition of Christian asceticism. The rigorous ascetic motives of the Egypt-Syrian tradition are dominant in the earlier works of Gogol- the struggle against evil spirits, entire seclusion from the world, perpetual penance etc. After 1840, Gogol's aspiration for ascetic discipline was ever increasing. At that time he showed an interest in the Palestine ascetic tradition, which was a much more moderate and practicable form of asceticism. He also developed a very unique idea, which concerned the relationship of asceticism and artistic creation. He firmly believed that an artist must purify himself and try to attain inner perfection to create art which exercises positive influence on the world. According to his conviction, he tried very hard to practice asceticism in order to prepare himself for creating a literary work which could transform the world positively. However, not being able to meet his own demands, he dies prematurely in the depths of despair. Unlike Gogol, who valued positively both the Egypt-Syrian and the Palestine tradition, Dostoevsky accepted only the latter. It is because he considered the Palestine type of asceticism as the true root of Russian spirituality. Dostoevsky seems to have been warned against a too strict type of asceticism, for it may lead to self-absorption. The ascetics of this type cannot serve the world because of their entire seclusion form the world. The practises of rigorous asceticism do not necessarily guarantee inner transformation, the ultimate goal of asceticism. All negative qualities of this kind of asceticism are embodied in the character of Ferappont in The Brothers of Karamazov. The ascetic ideal of Dostoevsky is portrayed in the character of Zosima, an utterly different type of ascetic. He realizes the Russian ascetic ideal, which combines the quest for God through prayer, meditation, and fellowship with others. Living in seclusion from the world, he never forgets to serve the world. Gogol wanted to come close to this ideal by means of ascetic practices. On the contrary, Dostoevsky did not fall into the temptation of becoming an ideal. He knew and firmly believed that the true calling of artists is not to become an ideal but to create and show the ideal. Not practising himself any kind of asceticism, he nevertheless succeeded in creating one of the most beautiful Christian ascetics in literature.

      • KCI등재

        도스또예프스끼 후기 소설 속의 수도원 공간

        허선화(Huh Sun-Wha)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9 슬라브학보 Vol.24 No.2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kinship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astery spaces in the late novels of F. M. Dostoevsky and historical Russian monasticism. In those novels the semantics of a monastery space undergo a kind of evolution. From Crime and Punishment to The Devils monastery space is depicted somewhat negatively. A monastery is understood as a place of seclusion, where one may hide his own crime or flee from the blame or challenge of society. A monastery represents the space which is cut off from this world and fulfills only negative or passive functions. In The Devils is embodied for the first time the true nature of a monastery, as embracing the world with love and influencing it in a positive way thanks to the presence of Tikhon in the monastery. In The Adolescence a wilderness, an equivalent for a monastery, is also a place, totally cut off from the world. But this time seclusion is not itself an end, but rather an optimal condition for retreating from temptation and the chaos of this world, and seeking only God. In The Brothers Karamazov monastery space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Orthodox Church tradition and fully discloses its true nature. The monastery in this novel is modelled after Optina Pustin', which Dostoevsky himself visited and studied about.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common to both the monasteries is the presence of an elder, whom the common people love and revere ardently. Thanks to the presence of an elder who is venerated by the people as a saint, the monastery turns into a space which brings the world into itself, comforting and healing those souls who are exhausted and hurt by the world. Even though the monastery is a place, distinguished from the world in essence, it copies the world in some way; for example, jealousy and conflict in the monastery as only exposed openly after Zosima's death. It turns out that the physical space of a monastery itself does not guarantee any kind of holiness. Nevertheless, living in a community under the supervision of a spiritual leader, monks can more easily purify themselves from sins through confession and the Sacraments, Monastery has purifying power not only for those monks living in it but also for the world outside its walls. The power flows from prayer, practiced in silence and seclusion for the salvation of the world. The hero of the novel, Alesha, embodies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monastery and the world. The monastery space, recognized by him as light by contrast with the world-darkness, loses i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fter Zosima's death. According to Zosima's order, he leaves the monastery to live in the world as a monk, realizing that the world is God's creation waiting in expectation of transformation, He is c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to serve it, creating in his soul monastery-like space and thereby keeping himself from the influence of the world. He represents the so called "inner monks", personifying one aspect of the modem monastery m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