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생시 태아혈액내 Matrix Metalloproteinase-8 및 Interleukin-6의 농도와 제대염 및 양수내 감염과의 관련성

        허달혁 ( Heo Dal Hyeog ),문진성 ( Moon JIn Seong ),고은미 ( Ko Eun Mi ),박만철 ( Park Man Cheol ),이용우 ( Lee Yong U ),윤보현 ( Yoon Boh Hyoun ),신희철 ( Shin Hui Chul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7

        자궁내 세균감염은 조산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태아감염을 유발하여 태아 패혈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산전에 자궁내 감염을 진단하고 예측하고 방법으로는 양수천자나 제대천자를 통한 검체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산모 질분비물, 출생시 제대혈액, 신생아 기도흡인액 등을 이용하고 진단법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만 후 제대혈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8 (MMP-8) 및 IL-6의 농도를 측정하여 태반과 제대의 조직학적 소견, 양수내 감염 및 주산기 예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20주에서 36주 사이에 조산한 산모 83명 및 그 조산아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1) 제대염의 빈도는 21.7% (18/83)이었으며, (2) 제대염의 소견이 있었던 산모에서 제대혈내 IL-6의 농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1), MMP-8의 농도는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22). (3)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유무에 따른 결과 역시 제대혈내 IL-6의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5), MMP-8의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33). (4) 제대염이 있었던 산모에서 임상적 융모양막염과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각각 P<0.05, P<0.001). (5) 제대혈내 IL-6의 농도가 6.34 ng/ml를 초과할 때, 조직학적 제대염의 진단에 있어 민감도는 77.8%, 특이도는 75.4%이었다. (6) 제대혈내 MMP-8과 IL-6의 농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7) 제대혈내 MMP-8 농도는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r=0.20, P=0.07), 조산의 원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8) 신생아 이환 발생 여부에 따른 제대혈내 MMP-8 및 IL-6 농도를 비교해보면, 선천성 신생아 패혈증이 발생한 군에서 MMP-8 및 IL-6의 농도가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본 연구를 통해 조직학적 제대염과 제대혈내 IL-6의 농도 및 융모양막염과의 연관성은 확인되었으나, MMP-8 농도와의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이는 IL-6가 염증반응시 증가하는 특이한 cytokine인데 비해, MMP-8의 농도는 임신주수, 분만진통 등 다른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funisitis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the umbilical cord plasma concentration of interleukin-6 (IL-6) and matrix metalloproteinase-8 (MMP-8), microbial invasion of the amniotic cavity and neonatal outcome. Methods :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esence of funisitis, IL-6 and MMP-8 concentrations in umbilical cord plasma at birth, the results of amniotic fluid culture performed within 5 days of birth was examined in 83 consecutive singleton births (20-35 weeks` gestation). Funisitis was diagnosed in the presence of neutrophil infiltration into the umbilical vessel wall or Wharton`s jelly. The IL-6 and MMP-8 concentration was measured with a specific immunoassay. Amniocentesis was performed in 47 patients within 5 days of birth. Results : (1) Funisitis was present in 21.7% of patients. (2) Patients with funisitis had a significant higher cord plasma IL-6 concentration, bu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d plasma MMP-8 concentration. (3) Clinical chorioamnionitis was more common in patients with funisitis than those without funisitis. (4) A cord plasma IL-6>6.34 pg/ml had a sensitivity of 77.8% and a specificity of 75.4% in the identification of funisitis. (5) No correlation between cord blood plasma IL-6 concentration and MMP-8 concentration was found. (6)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stational age at birth and cord blood plasma MMP-8 concentrations, but there appeared to be a trend to increase of cord plasma MMP-8 concentrations as gestational ages at birth were increased. (7) Neonates with congenital sepsis had a significantly higher cord plasma IL-6 and MMP-8 concentration than those without congenital sepsis. Conclusion : In patient with funisitis, umbilical cord plasma IL-6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without funisitis, but umbilical cord plasma MMP-8 concentration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oup. The umbilical cord plasma IL-6 and MMP-8 can be useful as a predictor of the occurrence of congenital sepsis in preterm inf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