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LASH를 이용한 3T 복부검사에 있어서 최적의 T1효과를 위한 적정 Flip Angle

        한재복(Jae-Bok Han) · 최남길(Nam-Gil Choi)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본 연구는 FLASH 펄스파형을 이용하여 숙임각(flip angle ; FA)변화에 따른 T1 조영상의 신호강도(signal intensity ; SI)와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 CNR)를 비교함으로써 복부검사에서의 최적의 T1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F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9월부터 12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복부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남 : 12명, 여 : 8명, 연령 범위 : 28~63세, 평균 : 51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상 장비는 3Tesla MR scanner(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였으며, 8 channel body array coil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영상변수는 FLASH 펄스파형과 TR : 120 ms, TE : minimum, FOV : 360×300 mm, Matrix : 256×224, Slice : 6 mm, scan time : 15초로 Breath-hold 기법을 이용하였다. 복부 영상은 물 신호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 관심영역(FOV) 안에 물을 채운 50 ㎖ syringe를 놓고 10°부터 90°까지 10° 간격으로 FA에 변화를 주면서 얻었다. 획득한 영상은 간(liver), syringe내부의 물(water), 비장(spleen), background의 신호강도(SI)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신호강도는 관심영역을 설정한 다음 각 부위에서 3번씩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영상 전체의 평가에서는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적용하여 전체영상의 신호강도 균일도를 알아보았고 통계 분석은 SPSS for window version 17.0을 이용하였다. 간(liver)의 신호강도는 475.54±81.76으로 FA 4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yringe내부의 물의 신호는 475.97±68.98로 FA 20°에서 가장 높았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다른 조직의 신호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다. 비장의 신호는 443.02±55.77로 FA 30°에서 가장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신호가 감소하였다. 조직의 신호강도에서 Liver vs Water와 Liver vs Spleen은 FA30°를 제외한 전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Water vs Spleen은 FA60°, FA70°, FA80°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전체영상의 신호강도는 175.42±57.93으로 FA 1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다가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FA 10°와 FA 20°에서 33.02와 31.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A 10°와 FA 20°는 전체영상의 신호강도 균일도가 다소 떨어지는 영상으로 왜곡이 심하게 나타났다. CNR은 liver-water에서 FA 30°에서 12.7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FA 10°에서 -46.97, FA 80°에서 29.3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ver-spleen의 CNR에서는 FA 10°에서 -3.18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A 80°에서 9.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FLASH 펄스 파형을 사용한 복부 영상에서 최적의 T1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FA 80°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gnal intensity (SI) and CNR with T1 weighted image using FLASH at 3T abdominal MRI by varying flip angle (FA). Totally 20 patients (male : 12, female : 8, Age : 28~63 years with mean : 51) were examined by 3Tesla MR scanner (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 with 8 channel body array coil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08. Imaging parameters were as follows : FLASH sequence, TR : 120 ms, TE : minimum, FOV (field of view) : 360×300 mm, Matrix : 256×224, slice : 6 mm, scan time : 15 sec and Breath-hold technique. Abdominal image, with a 50 ㎖ syringe filled with water placed in the FOV measuring the water signal, were acquired with varying FA through 10° to 90° with 10° interval. SI's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liver parenchyme, water, spleen and background and averaged. The CNR's were measured between the ROIs (region of interest). Statistic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NOVA test using SPSS software (version 17.0). Less than FA 30°, abdominal images were severely inhomogeneity. Especially, T1 effect of water signal was weak. As the flip angle increased, the signal intensity decreased at all the regions. Especially, flip angle of the highest signal intensity was observed with 40° at the liver parenchyme, 20° at water, 30° at the spleen, respectively. The CNR between liver and water was -60.92 at FA 10° and 15.16 at FA 80°. The CNR between liver and spleen was -3.18 at FA 10° and 9.65 at 80°. In conclusion, FA 80° is optimal for T1 weighted effect using FLASH pulse sequence at 3.0 Tabdominal MRI.

      • KCI등재후보

        시각자극과 삼음교 자침으로 유발된 성적 흥분의 대뇌 활성화 영상의 비교

        최남길(Nam-Gil Choi),한재복(Jae-Bok Han),장성주(Seong-Joo J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2

        목 적 : 정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 fMRI)을 이용하여 성적 흥분반응과 관련되는 시각자극과 삼음교(SP6, 三陰交) 경혈자극 의한 대뇌 활성화 영역의 차이점을 밝히고, 나아가서는 성적흥분의 기전을 신경해부학적인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성기능이 정상적인 오른손잡이 여자 21명(19~32세 : 평균 22세)을 대상으로 3.0 Tesla MR scanner를 이용하여 fMRI 영상을 얻었다. 성적 흥분을 유도하기 위한 패러다임은 3분간의 에로틱 비디오 시청과 삼음교(SP6)자침에 의한 자극을 주었으며, 자극 전·후에는 각각 1분간의 휴지기를 두었다. 또한 광명혈(GB37) 후방으로 3 cm 위치에 있는 비경혈점에 자극을 주어 경혈(acupoint)과 비경혈(shampoint) 자침에 의한 대뇌의 활성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획득은 AC-PC line을 기준으로 20개의 횡단면으로부터 총 2,000개의 기초영상을 얻었으며, SPM9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활성화 영상을 얻었다. 결 과 : 삼음교 경혈과 비경혈의 침자극에 의한 비교실험에서 경혈은 비경혈에 비하여 대뇌 신피질에서 평균 5배, 변연계에서 2배 높은 활성화도를 보였다. 비경혈 자극시에 간뇌의 HTHL, 기저핵의 GLO, AMYG, 그리고 두정엽의 SMG 등에서는 활성화 신호가 관찰되지 않았다. 성적흥분과 관련된 대뇌의 해부학적인 영역을 시각자극과 삼음교 경혈자극 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자극간의 평균 활성화율(activation ratio)은 신피질과 변연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반면 평균 활성화도(activity)는 신피질의 경우에는 두 자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변연계의 경우에는 경혈 자극시에 유의하게 더 높은 활성화도를 보였다(p < 0.05). 결 론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을 이용하여 성적흥분과 관련된 시각자극과 경혈 침술자극에 의하여 유발된 대뇌 활성화 양상의 차이점과 신경해부학적 기전의 차이점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방의 경혈, 경락 이론을 과학적인 측면에서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not only to compare the brain activation regions associated with sexual arousal induced by visual stimulation and SP6 acupuncture, but also to evaluate its differential neuro-anatomical mechanism in healthy women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at 3 Tesla (T). Subjects and methods : A total of 21 healthy right-handed female volunteers (mean age 22 years, range 19 to 32) underwent fMRI on a 3T MR scanner. The stimulation paradigm for sexual arousal consisted of two alternating periods of rest and activation. It began with a 1-minute rest period, 3 minutes of stimulation with either of an erotic video film or SP6 acupuncture, followed by 1-minute rest. In addit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brain activation patterns between an acupoint and a shampoint nearby GB37 was performed. The fMRI data were obtained from 20 slices parallel to the AC-PC line on an axial plane, giving a total of 2,000 images. The mean activation maps were constructed and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99) software. Results : As comparison with the shampoint, the acupoint showed 5 times and 2 times higher activities in the neocortex and limbic system, respectively. Note that brain activation in response to stimulation with the shampoint was not observed in the regions including the HTHL in the diencephalon, GLO and AMYG in the basal ganglia, and SMG in the parietal lobe. In the comparative study of visual stimulation vs. SP6 acupuncture, the mean activation ratio of stimul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each other in both the neocortex and the limbic system (p < 0.05). The mean activities induced by both stimul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eocortex, whereas the acupunctural stimulation showed higher activity in the limbic system (p < 0.05). Conclusions :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tial brain activation patterns and the neural mechanisms for sexual arousal, which were induced by visual stimulation and SP6 acupuncture by using 3T fMRI.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the theory of traditional acupuncture and acupoint channel in scientific point of view.

      • KCI등재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에서 64 channel MDCT와 128 channel DSCT의 임상 유용성 평가

        최남길(Choi, Nam-Gil),최재성(Choi, Jae-Seong),한재복(Han, Jae-B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1

        64채널 MDCT(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와 128채널 DSCT(dual source computed tomography)를 이 용한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시 유효선량과 획득한 영상의 질을 평가함으로서 임상에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 였다. 피폭선량은 선량길이곱(dose length product: DLP)에 흉부 조직의 가중치(0.017)을 곱하여 유효선량(mSv)으로 계 산하였으며, 영상 평가는 심장촬영검사 후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5점 Likert 척도(5점 최상)로 평가하였다. DLP 값은 64 채널 MDCT에서는 851∼1277 mGy․cm (평균 유효선량: 17.23mSv), 128 채널 DSCT에서는 82∼110 mGy․cm (평균 유효선량: 1.58mSv)로 각각 분포하였다. 영상 평가점수는 64 채널 MDCT에서 3.31±0.62(4점 이상 34명), 128channel DSCT에서 4.05±0.46(4점 이상 96명)으로 각각 나타났다. 유효선량은 64채널 MDCT에 비해 128채널 DSCT가 1/10 이 상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영상 평가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4점 이상 점수의 빈도는 128채널 DSCT에서 2.8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검사에서는 128채널 DSCT가 64채널 MDCT에 비해 환자가 받는 유효선량은 감소하고 영상 평가점수는 높게 나타나 임상에서 보다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to compare the exposure dose and the imaging quality in coronary CT angiography by using the 64 channe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d the 128 channel DSCT. 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dose length product (DLP) by multiplied the convention factor of chest (0.017). Imaging quality was assessed by radiologists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The DLP was ranged from 851 to 1277mGy․ cm (mean: 17.23 mSv) in the 64 channel MDCT and from 82 to 110mGy․cm (mean: 1.58 mSv) in the of 128 channel DSCT, respectively. The score of imaging quality was respectively 3.31±0.62 in 64 channel MDCT and 4.05±0.46 in the 128 channel DSCT. The exposure dose of 128 channel DSCT has decreased 1ess 1/10. The score of imaging qual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modalities and the frequency (>4 good) in the 128 channel DSCT is about three times than that of the 64 channel MDCT. Therefore, the 128 channel DSCT in coronary CT angiography is clinically more effective modality for both investigators and patients.

      • KCI등재

        입사 표면 선량 계산에 따른 진단용 X-선 촬영시 피폭선량 비교 연구

        한재복(Jae-Bok Han),최남길(Nam-Gil Choi),성호진(Ho-Jin Su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본 연구는 유리 선량계를 이용한 진단용 X선 장치 선량 및 선질의 입사표면선량 값과 선질 계수에 의한 계산 측정법을 바탕으로 비교 평가하여 의료 피폭 선량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제 측정에 의한 ESDs 값이 Mori에 의한 NDD-M 법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Edmonds에 의한 계산법이 가장 적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정류 방식에 따른 실 측정과 선량 계산법 차이는 삼상 정류 방식, 단상 정류 방식, 인버터 방식으로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진단용 X-선 촬영 장치의 사용에 있어 환자의 피폭 선량을 예측하고 검사 조건을 조절하여 의료 피폭 선량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radiation dose in diagnostic X-ray radiography and calculated by different mathematical equation. The result of ESDs direct measurement and that calculated by Mori NDD-M shows the bigges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equation by Edmonds shows the lowest difference of ESDs. Also, Rectification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direct dose measurement and calculation method commutated three-phase, single phase and inverter type, show less difference in the drive way.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expecting radiation dose-exposure and control exposure parameters for the diagnostic x-ray radiography.

      • KCI등재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전자파흡수율 분석

        한재복(Jae-Bok Han),홍성훈(Seong-Hun Hong),최남길(Nam-Gil Choi),성호진(Ho-Jin S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장치의 특성변수인 숙임각(flip angle), 반복시간(repetition time, TR), 에코시간(echo time, TE)을 사용하여 전자파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체중 10 ㎏부터 90 ㎏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검사기법을 적용하였고, 매개변수의 변화에 따른 평균 SAR 및 peak SAR 값을 측정하였다. 체중에 따른 SAR는 TE에서 변화는 없지만 숙임각이 커지고 TR이 짧을수록 증가하였다. SAR 값은 두부 허용 기준치 범위에 포함이 되었고 분절별 체중에 따른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는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SNR은 증가하지는 않았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특성변수를 사용하여 다양한 대조도와 SNR을 얻어 진단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measured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using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flip angle, repetition time (TR) and echo time (TE) at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subject was applied to same scan technique from body weight 10 kg to 90 kg, were measured for the average SAR and the peak SAR valu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arameter . SAR with different body weight levels was not seen a significant change at TE but it increased in the larger flip angle and the shorter TR. SAR value was within the limits of human head acceptable standard and SNR in segmental body weights was not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f body weight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diagnosis by using appropriate parameters which obtained the various contrast and SNR.

      • KCI등재

        조영제 전송장치의 세균 감염 및 업무효율성에 관한 연구

        범희남(Hee-Nam Bum),함인근(In-Guen Ham),한재복(Jae-Bok Han),송종남(Jong-Nam Song),최남길(Nam-Gil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는 단일 조영제 전송장치와 이중 조영제 전송장치를 사용한 양군의 세균오염정도와 업무효율성을 비교·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세균오염정도는 150 ml, 500 ml, 1000 ml에서 각각 평균 6±0.5, 11±0.5, 18±0.5로 나타났다. 세균오염발생정도는 단일 조영제 전송장치는 2.20±2.46 CFU, 이중 조영제 전송장치는 0.60±0.99 CFU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 조영제 전송장치는 CT 조영제 자동주입기 실린지 준비시간을 단축하여, 업무가 증가하는 CT 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직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임상에서 적극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CTS with Dual Contrast transfer Set(DCTS) for bacterial infection and work efficiency. CTSs bacterial contamination was occurred 50ml: 6±0.5, 500ml:11±0.5, 1000ml :18±0.5 respectively. SCTS mean number of bacteria was 2.20 ± 2.46 CFU, DCTS was 0.60 ± 0.99 CFU. At CT room that is increasing CT enhancement scan, because of using DCTS shorten contrast auto-injector charging time, improve work flow and reduce bacterial contamination, we recommend strongly to use DCTS in clinical CT enhancement scan.

      • KCI등재

        4차원 방사선 치료시 Body Fix의 유용성 평가

        김영재(Young-Jae Kim),장영일(Young-Ill Jang),지연상(Yeon-Sang Ji),한재복(Jae-Bok Han),최남길(Nam-Gil Choi),장성주(Seong-Joo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에서는 간암 치료시 Body fix를 이용하여 4DRT를 실시할 경우 종양의 체적, 위치의 변화정도, 종양 및 정상조직의 선량흡수정도를 파악하여 Body fix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사전 연구에 동의한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ody fix의 착용 유무에 따라 각기 다른 4차원 모의치료영상을 획득하여 영상을 바탕으로 종양조직 및 정상조직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종양의 용적을 분석해본 결과 Body fix의 사용이 GTV는 0.17%, CTV와 PTV는 3.2% 정도 체적을 줄일 수 있었으며, 종양의 운동성은 AP방향에서 29.8%, UL방향에서 5.31%의 움직임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종양의 흡수선량 값은 Body fix를 사용한 경우가 다소(1.3%) 높았으며 정상조직(정상간, 위, 우측신장, 척수)의 흡수선량은 5% 정도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간암의 4DRT시 Body fix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fulness of body fix in 4DRT on Liver cancer trying to find tumor tissues volume and located variations, absorbed dose on tumor and normal tissues. Test subjects 23 patients were agreed these test. These patients have a 4 dimensional CT scan. We make an acquisition on patients CT image by two types -put on the body fix or not-. Average tumor volume reduced by 0.17% on GTV and 3.2% on CTV and PTV. Tumors variation reduces 29.8%(anterior and posterior, AP) and 5.31% (upper and lower, UL). The absorbed tumor doses under put on the body fix was a little higher(1.3%) than other. Normal tissues(normal liver, stomach, Rt. kidney, spinal cord) absorbed dose could be reduced approximately 5%. Therefore, using body fix on 4DRT for liver cancer patient is considered effectively.

      • KCI등재

        초음파검사에서 갑상샘 결절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에 따른 분석

        곽종길(Jong-Gil Kwak),한재복(Jae-Bok Han),송종남(Jong-Nam Song),문일봉(Il-Bong Moon),최남길(Nam-Gil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직장건강검진 수검자의 갑상샘 초음파 검사에서 발견된 결절 중 1 cm 보다 큰 결절이거나 초음파상 악성을 시사하는 경우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1군으로, 결절의 크기와 상관없이 초음파상악성을 시사하는 경우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2군으로 나누어 세침흡인세포검사가 필요한 결절 양상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1군에서 15.8%가 악성이었고 2군에서는 28%에서 악성으로 나왔다.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은 양성과 악성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결절의 크기가 1 cm 이상이지만 고위험 인자를 동반하지 않으면서 초음파검사 결과 스폰지(spongiform) 형태 소견을 보일 때에는 거의 대부분 양성이므로 세침흡인세포검사가 불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이러한 초음파 소견의 의미는 갑상샘 결절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현재 갑상샘 결절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 시행은 결절의 크기가 1 cm 이상이면 스폰지 형태라도 환자의 불안감에 편승하여 행하여지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양성과 악성 결절을 감별하는데 있어서 갑상샘 초음파 소견을 정확히 숙지한다면 불필요한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nodules requiring a fine needle aspiration, which were found in thyroid ultrasonography of the employee health check-up examinees. Based on the fine needle aspiration results, over 1 cm nodules or those implying malignancy on the ultrasonography were categorized into the 1st group. Whereas, regardless of the size the fine needle aspiration results implying malignancy on the ultrasonography were categorized into the 2nd group. In the 1st group, 15.8% were malignant, and in the 2nd group, 28% were malignant. The findings implying maligna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even though the nodules were larger than 1 cm, when the nodules were not accompanied by a high risk factor and showed a spongiform structure in the ultrasonographic results, most of them were benign, and a fine needle aspiration was not required.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are important rationales in making a decision on whether or not a fine needle aspiration is required for thyroid nodules. Currently, the fine needle aspiration for thyroid nodules is commonly performed when the size of the nodule is larger than 1 cm, even though it has a spongiform structure, to relieve the patients anxiety. However, if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thyroid are correctly understood in differentiating malignant from benign nodules, unnecessary fine needle aspiration can be avoided.

      • KCI등재후보

        복부 CT 검사 시 이중에너지 기법을 통한 적정한 조영제 양에 관한 연구

        강민(Min Kang),최남길(Nam gil Choi),한재복(Jae bok Han),김욱(Wook Kim),장영일(Yeong ill Jang),송종남(Jong nam Song)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9 No.1

        이중에너지 기법을 이용한 복부 CT 검사에서 적정한 조영제 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인 단일에너지 복부 CT 검사를 시행했던 환자들 중 이중에너지 기법을 이용하여 추적검사를 시행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일에너지 복부 검사에서 사용했던 조영제 양 대비 30%, 40%, 50%, 60%, 70%로 각각 설정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대동맥, 하대정맥, 간문맥, 간실질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조영증강정도(hounsfield unit; HU)를 구하여 단일에너지에서 측정된 부위와의 값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대비 60%로 조영제를 설정한 군에서는 대동맥 HU : 210.80±13.609, 하대정맥 HU : 190.40±25.215, 간문맥 198.40±21.232, 간실질 HU : 119.20±7.98로 각각 측정되었으며. 단일에너지 복부 CT 검사는 대동맥 HU : 205.40±16.426, 하대정맥 HU : 188.20±21.476, 간문맥 HU : 195.40±22.744, 간실질 HU : 121.00±6.595 이었다. 따라서 이중에너지를 이용하여 복부 조영 CT검사를 시행할 때 조영제의 양을 60%로 설정한 후 검사하는 것이 각 장기에서의 단일에너지 조영검사시와 비슷한 조영증강정도를 획득할 수 있어 기존 조영제 양의 감소와 동시에 조영제를 낮은 속도로 주입할 수 있어 신장기능 저하환자, 정맥혈관이 약한 환자, 과거 조영제 부작용이 있었던 환자에게 유용한 검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optimum contrast medium quantity during abdominal CT using dual energy technique. The study subjects are 30 patients who had received general single energy abdominal CT and received double energy technique follow-up abdominal CT. dual energy technique abdominal CT images were obtained after setting contrast medium quantities at 30%, 40%, 50%, 60% and 70% of contrast medium quantity at the time of single energy technique. Then the contrast enhancement (Hounsfield Unit; HU) was estimated by setting-up the regions of interest at aorta, inferior vena cava, hepatic portal vein and hepatic parenchymal. The obtained values were compared to the values of the same parts measured during single energy technique abdominal C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The 60% set up group had HU in aorta : 210.80±13.609, IVC : 190.40±25.215, hepatic portal vein : 198.40±21.232 and hepatic parenchymal : 119.20±7.98, The single energy abdomianl CT images had HU in aorta : 205.40±16.426, IVC : 188.20±21.476, hepatic portal vein : 195.40±22.744 and hepatic parenchymal : 121.00±6.595.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contrast enhancement by dual energy technique abdominal CT similar to the same by single energy technique abdominal CT by setting-up the quantity of contrast medium at 60% of contrast medium at the time of single energy technique abdominal C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decrease existing quantity of contrast medium by __% and the injection velocity can be also decreased.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 of study would be quite useful for patients who have renal function disorder, weak vein or side effect of contrast medium in the past.

      • KCI등재

        방사선작업종사자의 방사선 지식정도와 안전관리에 대한 연구

        김욱(Wook Kim),최남길(Nam-Gil Choi),한재복(Jae-Bok Han),송종남(Jong-Nam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는 원자력안전법에 의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방사선지식정도와 안전관리 태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고 현재 상황 실태를 파악하여 사업장의 방사선 위험 저감 방법과 국민불안감 해소에 기여하는 지침서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13년 5월부터 7월까지 500명의 정규 방사선작업종사자를 대상으로 30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응답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일반적 특성과 방사선 업무 관련 특성에 따라 방사선 관련 지식정도와 방사선 작업 안전관리 정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종사자 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업무경력이 많을수록, 방사선 관련 면허 소지자일수록 방사선 관련 지식과 안전관리 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방사선 관련 지식 점수가 높은 군이 안전관리 태도 점수도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산업체부문 방사선작업종사자는 방사선 관련 지식정도와 안전관리 태도 점수 모두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준별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산업체 관련 종사자를 위한 특화된 커리큘럼에 따른 교육을 실시하여 사업장의 위험을 낮추고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out current status of understanding radiation safety expertise by workers under the present training scheme and to minimize radiation risks at work as well as to refurbish training systems for mitigation of uneasiness of the people at large in near future. Questionnaire survey asking 30 items was carried out during 3 months from May to July, 2013. The number of the overall respondents were about 500. Overall scores of both degree of the basic knowledge and of the attitude related with radiation safety could be procured through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Results were as followings: The workers of the higher academic level, the larger of the accumulated training time and the workers personal antecedents, the more accredited license holders showed the larger scores of the basic knowledge of radiation as well as the attitude related with the radiation safety. The group having higher basic knowledge also showed the higher score in attitude related with radiation safety. The overall scores obtained from the radiation workers in industrial sector were relatively lower, in general, than those of the other se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aining program might better be separately implemented. A specific training program implementation might be desirable particularly for the workers in industrial sectors so as not only to reduce radiation risks of workers but also to mitigate the uneasiness arising among the people at lar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