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형이상학과 감각: 한용운 시에서의 감각의 위상

        한수영 ( Soo Young Ha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불교에서는 눈, 귀, 코, 혀, 피부, 그리고 마음(뜻)을 여섯 개의 감각 기관으로 보면서 감각은 본체를 감추는 허상에 불과한 것이라고 여겼다. 그럼에도 불교적 언설에서 는 추상적 진리를 감각적 언어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감각과 선적 사유의 연결성을 보여준다. 한용운도 언어라는 것이 진리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지는 못하지만 언어를 통해 형이상학에 근접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에, 감각적 언어를 불립문자의 장벽을 넘는 도구로 삼았다. 그래서 ``침묵``으로 통칭되는 한용운의 형이상학 내부에는 강렬한 감각의 세계와 감각의 언어가 있다. 감각적 언어는 깨어진 사랑을 생생하게 재현하면서 현재의 결핍을 이겨내게 하는 힘을 준다. 또한 감각적 언어는 변화하는 세계상에 대응하며 유연하게 변전하면서 진리에 근접해간다. 이것은 침묵과 소리, 부재와 현존 사이에서 변전하며, 이별의 상황을 역전시키고 침묵을 노래하게 한다. 한용운의 문학에서 감각적 언어는 형이상학의 고도를 구체적이고 일반적인 삶의 지평으로 변전시킴으로써, 우리시의 형이상학이 어떻게 시문학의 보편적인 원리를 실현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입증해주며, 동시에 불교 철학과 서양의 감각론이 소통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일구어낸 ``노래`` ``발자취`` ``수`` 등의 이미지는 불교적 형이상학을 시적인 언어로 육화(肉化)한 견고하고도 명료한 결과 물로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s of poets, revolutionaries, and Zen priests are integrated into the world of Han Yong-un, and a high-degree metaphysics appears in it. Then, how the logic that connects literature, reality, and Buddhist world can be made? The logic that a silence becomes a song and a separation becomes a meeting is explained as the metaphysics of Zen Buddhism or the language of paradox. By the way, there are a world of intense senses and a language of senses in the inside of metaphysics. Although Han Yong-un was aware of the limits of the language, he also made attempts to express the world of truth through the language at the same time. The sensual language becomes a tool to challenge the limits of Bulipmunja (不立文字). A lot of sensual images appear in <Silence of Lover>. Particularly, the scene of separation is composed of impressive and intense images. The world of senses hidden inside silence appears as a strong power that changes a silence into a song. However, these sensual images are not fixed. They constantly change in response to the changing world. In addition, they have a linguistic adventure to approach the truth. The song, footprint, embroidery, etc. are the solid images obtained in this process. In the inside of the metaphysical world of Han Yong-un, there was a sensual language that vividly recreates and changes reality. This makes the whole triangle communicate and at the same time shows the status of his poetry.

      • KCI등재

        소년 권두시로서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시문학 교육정전의 상호텍스트적 해석

        한수영 ( Soo Young Ha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0

        『소년』의 권두시들은 잡지 전체의 주제와 연관되어 있어서 전체 기사와의 상호텍스트적 읽기가 필요하다. 특히 창간호의 권두시인 해에게서 소년에게 는 내용과 형식면에서 잡지 전체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권두시는 독자를 교육의 장으로 불러일으키는 강력한 유인의 목소리로 작동한다. 소년과 바다가 만나는 ``입맞춤``을 통해 제시된 낭만적 전망은 강력한 호소력을 지닌 만큼, 거기에는 필연적으로 좌절의 낙차가 내포되어 있었다. 해상대한사 를 비롯한 다양한 기사들은 급변하는 상황에서 순정한 만남이 겪게 되는 주체의 전이과정과 현실 인식 변전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해에게서 소년에게 에는 한 시대의 모색과 좌절의 여정이 잠재되어 있으며, 잡지 전권에 걸쳐서 이 여정이 구체화된다. 또한 형식의 측면에서도 이 작품은 잡지의 권두시로서의 역할을 고려한 의도적인 발명이었다. 순수구어체의 말걸기나 의성어의 감각성, 운맞춤의 효과, 반복의 구조 등은 독자의 심리를 유인할 수 있는 효율적인 산물이다. 해에게서 소년에게 는 과도기의 불완전성이라는 특성으로 시사적 의의를 부여 받는 근대시문학사의 특수한 교육 정전이다. 이것을 잡지 전체와의 상호텍스트적 맥락에서 살펴볼 때, 불안전성이라는 화석화된 문학사의 지식 내부에 함축되어 있는 전환기의 문화 변동 맥락을 함께 읽어낼 수 있다. The From the Sea to a Boy which is the prefatory poem to the Boy magazine is a major canon of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its significance of being ``the first``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only has been highlighted, whereas it has been evaluated as lacking the poesy and being substandard in terms of formality as well. The Boy always had a prefatory poem at its beginning; each of those poems was individual work, yet had a role of introduction that presented the content of the entire magazine compressively. The From the Sea to a Boy which is the prefatory poem to the first issue of the first volume of the Boy is connected with the entire development process of the Boy. The exaggerated voice of the sea calling a boy made readers hope for unknown civilization and played a role in making them have intense curiosity for the magazine which would lead them into the unknown world. The Boy that was published for a total of twenty two volumes for two and half years was the process of strategically exploring the journey of ``a kiss`` happily presented in the From the Sea to a Boy . The ``boy`` representing a new generation wants to go across the ``sea`` and experiences the change in identify in that process. The prefatory poem was the starting signal and symbolic map of such journey. The poetic form of the From the Sea to a Boy is needed to be seen in terms of efficient delivery of a prefatory poem rather than the form experiment of a new poem. That`s because how to move the hearts of readers to deliver the message more effectively is the realistic worry of a prefatory poem. The formal specificity of the repetitive structure of stanzas of cross-component of onomatopoeia, rhyme and verse-line is the result of this worry. Thus, the new form of the From the Sea to a Boy is effectively performing the process that helps readers understand easily, experience intense emotion and accept through repetition. The Boy magazine was in the forefront as a new educational medium and the From the Sea to a Boy was formed as the most optimized form to perform the role of the prefatory poem to this magazine. Therefore, the imperfection of this education canon can be newly interpreted. The imperfection can be a place of living education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at the journey of trial and error that should be borne rather by the generation that should pass through the paradigm shift is inherent in it and that the process is dramatically illustrated throughout the Bo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후소설에서의 식민화된 주체와 언어적 타자 :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이중언어자의 자의식

        한수영(Han Soo-Yeong)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人文硏究 Vol.- No.52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reinterpret and recontextualize of Sohn Chang-sop's novel. He is a very famous and unique writer in postwar generations. To understand exactly postwar generations, it needs to confirm that they were 'colonial subject' or 'colonialized subject'. Above all, it is most important to emphasize that they have learned at the first Japanese as a alphabet and then they have literacy. They were bilingualists. After the "Liberation", it was demanded "Intentional Forgetting" for all Korean. It means to erase traumatic memories in colonial era. But Sohn resisted it. He criticized the falseness of nationalism. He thought that it needs to recognize the lingual hybridity of postcolonial Korean society. He suspected the pureness of the Korean language. In his short stories, it was represented the special situation of after Korean War. His conscious of "the other" is effective now. 전후세대의 가장 이채로운 작가인 손창섭의 소설텍스트들을, 전후세대의 이중언어적 상황을 중심으로 재해석하고 재맥락화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전후세대의 문학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식민지 주체(였음)' 또는 '식민화된 주체colonialized subject'라는 사실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전후세대들이 문자를 통한 '쓰기 언어'를 학습한 시기가 식민지 시기이며, 그들이 최초로 '쓰기 언어'로 배운 것은 '한국어'가 아니라 '일본어'였다는 사실, 그들이 이중언어자였다는 사실이 새롭게 환기될 필요가 있다. 전후세대에게 '의도적 망각intentional forgetting'을 요구했던 '식민주의 이후postcolonial의 특유의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외압과 그것의 억압기제에 스스로를 순치시킬 수밖에 없었던 전후세대, 이 두 개의 조건과 주체가 서로 맞물리면서, 전후문학 및 전후세대 작가 연구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사각지대 혹은 맹목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손창섭은 스스로 '언어적 타자의식'을 지니고, 이러한 포스트식민국가 특유의 언어내셔널리즘이 지닌 허구성을 내파한다. 그의 소설에는 식민화된 주체로서의 전후세대의 언어적 특수성을 다양한 상징과 비유로 표현하고 있으며, 일본어와 한국어, 그리고 영어가 중첩되는 혼종적인 한국의 언어적 상황을 특유의 시각으로 재현하고 있다. 그의 1950~60년대 소설은, 한국문학 안에서 한국문학의 자기동일성과 한국어의 자기동일성을 의심하고 되묻는 고역(苦役)을 감당하고 있다. 그의 이러한 '타자성'은 정치적 한계가 뚜렷하지만, 언어내셔널리즘과 한국문학에 대한 그의 진지한 회의는, 한국현대문학사에서 지금도 유효한 질문으로 남아 있다.

      • KCI등재

        육당의 신시 의식과 형식 개념에 대한 고찰

        한수영 ( Han Soo-you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0 No.-

        At the age of transformation where the paradigm of creation and enjoyment undergoes a sea change, the features of a syllabic verse become salient, which are different from our own poetic form. There is an argument that the forms of modern poetry has been gradually evolved toward the already-settled goal of free verse. This is only a schematic theory of development. Tradition is not simply pinned down, but it is flexible in concordance with the reality. The new poetic form in modern poetry was construed as a visible form. It is made possible by influence of the fundamental construction of our poetry, disparate from the syllabic verse. Yukdang posits that the essence of a new kind of poem lies in the extrinsic form. The external image for not-known-yet modernism, molded through such offsprings of civilization as maps, trains, and scores, makes him suppose that a new kind of poetry should take a tangible format. Since shijo, in particular, is the aesthetic ideal of verse, a new form should correspond to that of shijo, still being differentiated from it. As far as Yukdang is concerned, the seven-five seems to be the embodiment of formalism, necessary for a new type of poetry. Therefore, the form does not interact with meaning, which amounts to partiality for the outward form.

      • KCI등재

        교양교육의 ‘오래된 미래’ : 12세기 교육도상과의 대화

        한수영(Han, Soo Young)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0 교양학연구 Vol.0 No.11

        Liberal education has continued the tradition of connecting knowledge and converting comprehensive knowledge into values. Liberal education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ge should present human values that differ from those of machines. As groundwork for this,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e key elements of the Ariadne’s thread that will enable passage through the labyrinth from within the legacy passed down by liberal education. The Hortus Deliciarum (Garden of Delights), produced by the abbess Herrad of Hohenbourg Abbey in the 12th century, presented a new milestone in the education of canonesses with respect to the needs of Church Reform at the time. One prominent work, “Philosophy and Seven Liberal Arts,” is a beautiful iconic image that depicts the tradition of liberal arts as a comprehensive philosophical system. The order of the wondrous world created by God is organized in an elaborate structure of circles, and the human knowledge system is arranged as tools for exploring such wonders. Education is intended to further the discovery and remembrance of the compositional principle and order of the world, thus leading humanity of the secular world toward Divine Wisdom. The iconic image of circles reproduces the cosmology of its time visually and allows learners to find their place within the grand order. Knowledge allows learners to discover the wonders of the world and pursue “the beyond” that lies outside the garden of reality. Furthermore, it strengthens the vocation and identity of learners by making them recognize their own place with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whole. The iconic image of “Philosophy and Seven Liberal Arts” presents a strategy of education for passing through the labyrinth of an era. The Ariadne’s thread that will enable passage through the labyrinth can be obtained when the fundamental tool for learning, rather than the delivery of some knowledge, is in place. Its key elements are to provide the learning motivation to explore the wonders of the world, set the direction of learning, and strengthen the self-identity needed to continue the journey of learning.

      • KCI등재

        계수분할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의 웨이블릿 패킷 영상압축

        한수영(SuYoung Han),이두수(DooSoo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8 No.3

        웨이블릿 패킷 변환된 분할계수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고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된 영상을 효율적으로 압축하는 새로운 영상부호화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웨이블릿 패킷 영상 부호화기 알고리즘은 부대역간에 새로운 부모-자식 관계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계수검색순서(CPSO)를 정의하여 제로트리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영상 복원시의 오차를 감소시킨다. 그 겨로가 기존의 웨이블릿 기반 알고리즘들과 비교하여 복원오차에 대해 성능이 개선되었다. 특히 고주파성분이 많이 포함된 영상의 경우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처리방법이 간단하면서도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