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우울증 경험에 관한 관련요인 분석

        한삼성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구의 고령화와 핵가족화로 가족 내 세대간부양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독거노인 증가와 노인자살 등 제반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자살의 억제 및 노인 정신건강증진 정책 수립에 기여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년]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자살 등의 주요 원인이 되는 노인의 우울증 경험에 관한 관련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지난 1년 동안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우울증을 경험한 비율은 22.5%였다. 2. 성별에 따른 우울증은 여성노인이 27.2%로 남성노인의 15.2%보다 매우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도시와 농어촌 등 거주 지역에 따른 우울증은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이 24.7%로 농어촌에 거주하는 노인의 19.2%보다 우울증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2). 배우자 유무에 따른 우울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배우자가 없는 노인이 26.7%로 배우자가 있는 노인의 19.2%보다 우울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4). 직업유무의 경우 직업이 없는 노인이 25.2%로 직업이 있는 노인의 16.4%에 비해 우울증이 매우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그러나 연령(p=0.761), 교육수준(p=0.930), 동거 가족 수(p=0.072), 월 가구 소득(p=0.112)은 우울증 경험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건강특성별 우울경험여부를 살펴보면 신체적 건강의 경우 만성질환인 당뇨병(p=0.014), 고혈압(p=0.034)을 가지고 있을수록 우울경험 비율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정신건강의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느낄수록(p<0.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p<0.001) 우울경험 비율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능적 능력의 경우 ADL(p<0.001), IADL(p=0.002)이 낮을수록 우울경험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건강 행위 및 의료이용 특성별 우울증 여부를 살펴보면 알코올 중독의 경우 정상군의 23.1%로 비정상군의 15.9%보다 우울증 경험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흡연을 하는 노인의 경우 22.9%로 흡연을 하지 않는 노인의 20.7%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노인은 19.7%로 규칙적인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노인의 24.2%보다 우울경험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외래방문은 우울증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우울증군에서 외래를 방문한 노인의 비율이 23.9%로 외래를 방문하지 않은 노인의 20.9%보다 우울경험 비율이 높았다. 병원입원의 경우 입원을 한 노인이 30.1%로 입원을 하지 않은 노인의 21.1%보다 우울경험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0). 5.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와 일상생활활동이 우울증과 큰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낀다고 응답한 노인이(1.000) 스트레스를 거의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노인보다(0.067) 우울증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으로 판단한 건강상태가 대체적으로 좋을수록 우울증을 덜 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만성질환의 경우 우울증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암 환자(1.746)의 경우 그렇지 않은 노인(1.000)에 비해 더 많이 우울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기능적 능력은 일상생활동작이 우울증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상생활동작에 장애가 있는 노인(1.794)이 그렇지 않은 노인(1.000)에 비해 더 많이 우울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65세 이상 노인이 만성질환, 일상생활동작 장애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좋지 못할수록 우울증 경험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우울증 예방을 위해서는 정책당국자는 무엇보다도 노인들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증진과 스트레스 감소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을 제안한다. 주요용어: 우울증, 노인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 주관적 건강, 정신적 건강, 노인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Korea. The subjects were national random samples who were 65 years or older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5. Logit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depression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health-related behaviors, and healthcare utilizatio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who had depression among total the elderly within previous 1 year from the survey was 22.5% in 2005. The elderly who self-assessed themselves healthier were less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e elderly who did not healthier. The elderly with spouse were less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e elderly without spouse. Those who suffered from hypochondria or stress and ADL we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eir counterparts.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or policy makers should pay their attentions on improving the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and preventing hypochondria or stress of the elderly in oder to decrease their suicide rate. Key words: Depression, Late-life depression, Hypochondria, Mental health, the elderly

      •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 패널분석을 중심으로

        한삼성 대구한의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middle to old-aged social network is reduced in Korea, the environment to fulfill the needs to psychological health enhancement became difficult. This is causing social issues such as depressions, suicides etc. Therefore,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provide information on middle to old-aged people’s psychological health enhancement to prepare for fast approaching aged society. The research utilizes the data from 『Aging research panel analysis 1st (2006)~3rd (2010)』 which the target group was expanded to over age of 45. Using this data, annual social support variables and its relation to depressions was observed based on social network model. Also, the degree of influenc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variables as protective factors to depressions based on depression episode periods. The following results were yielded. First, according to annual multivariate analysis, When the considered controling variables are calibrated, the number of meetings with friends and children relation satisfactions, which are social support feature variables, showed constant results annually, indicating that lower the number of meeting with friends and lower satisfaction rate with relationship with childre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depression index. Also quantitative effect differenc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gender and its effect on depression. Compared to the male group, femal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ntitative effect with number of meetings with friends, but children relationship satisfaction didn’t show clear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Results from observing controlling variables considered as forecast factors showed significant depression index increase in annual constance when; living in rural areas, in case of non-economical activity, when experiencing low economic status satisfaction, when having subjective negativism about ones health, and when not having regular exercises. Secondly, to observe the influencing effect degree of social support variables as defensive factors to depression, according to panel analysis, When the considered controlling variables were calibrated, social support variables, which are the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that as number of meetings with friends are higher and as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increases, depression risk degree significantly decreases. Also quantitative effect differenc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gender and its effect on depression. When the considered controlling variables were calibrated, as the number of meetings with friends increased, depression index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ecrease in both groups. However, number of participations in social meeting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o depression index. In case of male group, as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 parter increased, depression index statistically decreased significantly, but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 children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In case of female group however, as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 children increased, depression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 partner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to depression. Meanwhile by observing the considered controlling variables as forecast factors using panel analysis, older the age, low satisfaction in economical stature, lower everyday function capabilities, subjective recognition of health deprivation, and lower the frequency of regulatory exercis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depression index. To promptly activate and develop the protective factors which prevents depression risks amongst mid-old aged people in both personal and national perspectives, the following aspects must be reviewed comprehensively. Activating programs and group meetings to overcome the conflicts amongst families through regional organizations must be reviewed. Social network structure to strengthen emotional connectivity through leisure-culture-art activity supportive systems and policies and customized intervention according to sexual differences must be considered. Stable income guarantee policy must be developed to consider the unstable economic conditions such as elderly poverty issues. Active promotion of regulatory physical exercise programs and various health related information provision through local society must be activated to maintain physically healthy life. Regional society based monitoring system targeting elderlies whom experiences difficulties in everyday activities, those requiring medical intervention, especially for single elderlies whose highly susceptible to health risks must be developed.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a practical implications to respond to fast pacing old age society and projects that political efforts to enhance the mental health of the mid to old aged people are required. 우리나라의 중‧고령자는 사회적 관계망의 축소로 정신건강증진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있으며, 우울 및 자살 등과 같은 제반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빠르게 다가오는 고령사회를 대비해 중‧고령자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조사대상의 연령층이 45세 이상으로 확대되어 수행된『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2006년)~3차(2010년)』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관계망 모델을 기초로 연도별 사회적 지지 변인들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우울삽화 기간을 고려한 사회적 지지 변인들이 우울증에 보호요인으로서 영향을 미치는 효과정도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도별 다변량 분석결과, 고려된 통제변수들을 보정하였을 때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 특성 변수 중 지인과 만나는 횟수와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는 연도별로 일관된 결과를 보여 지인과 만나는 횟수가 대체적으로 적을수록,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증 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우울증에 미치는 양적효과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성그룹에 비해 여성그룹이 지인과 만나는 횟수의 양적효과가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예측요인으로 고려된 통제변수들을 살펴본 결과, 연도별로 일관되게 농촌지역과 비경제활동상태의 경우, 경제상태 만족도가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할수록,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 우울증 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사회적 지지 변인들이 우울증에 보호요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정도를 알아보고자 패널분석을 한 결과, 고려된 통제변수들을 보정하였을 때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 특성 변인 중 지인과 만나는 횟수가 많을수록,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우울증 위험정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남녀 그룹 모두에서 지인과 만나는 횟수가 많을수록 우울증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모임참여 수는 우울증 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남성그룹의 경우,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우울증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는 우울증 지수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반면, 여성그룹의 경우,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우울증은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는 우울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예측요인으로 고려된 통제변수들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경제상태 만족도가 낮을수록,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할수록, 규칙적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 우울증 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과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고령자들의 우울증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보호요인을 개발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역사회 기관들을 통해 가족의 불화 및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모임 및 프로그램 활성화와 성별에 따른 맞춤형 개입, 여가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 및 정책을 통한 정서적 유대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망 조성, 노인의 빈곤문제와 같은 불안정한 경제 상태를 감안한 안정된 소득보장정책의 마련, 신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지역사회를 통한 다양한 건강정보 제공 및 규칙적인 운동을 위한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일상생활활동이 불편한 노인 또는 의료적 개입이 필요한 노인과 특히 건강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모니터하는 지역사회 시스템 구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언한 실천적 함의를 통해 빠르게 다가오는 고령사회를 대비해 중‧고령자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