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치료가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미경 경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의 건강한 정서적 발달과 대인관계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하여 미술치료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P유치원 만 5세반 유아들로 위축성향을 보이며 자기표현의 부족이나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유치원 생활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유아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유아들을 개별 면접하고 본 연구를 위해 동질집단 12명을 선정하여 사전 검사 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6명씩 배정하였다. 연구는 2011년 9월 16일부터 12월 23일 까지 주 2회 매회 5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2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장태경(2006)이 제작한 자기표현척도를 본 연구자가 본 연구를 위해 항목을 수정·보안하여 사용하였고, Harter와 Pike가 개발하고 김영숙(1997)이 보완한 유아용 그림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맨-휘트니 U 검증(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비모수 검증인 Wilcoxon 부호-순위 검증(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사전, 사후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 (Wilcoxon's signed-ranks test)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하여 자기표현력과 관련된 행동 및 태도 변화를 관찰 기록하여 단계별로 비교 분석하고 자아존중감의 질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Burns(1987)의 동적 집-나무-사람(K-HTP)그림에서 나타난 내용적형식적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통계 결과를 보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척도에 의한 사전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각 집단의 자기표현력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사전사후검사 점수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자아존중감 척도에 의한 사전·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각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지적 능력, 동료 수용, 어머니 수용, 자기 수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므로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심리치료와 건강한 자아성장을 위한 상담 및 교육, 치료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본 연구의 목적인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하여 주제의 타당성과 명확성을 검토하여 미술치료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신탄진 정기시장의 변천과 공간적 특성

        한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기시장은 도시와 농촌사회에서 오랫동안 재래상업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라는 대도시내의 정기시장으로서 활발하게 유지되고 있는 신탄진 정기시장을 연구대상으로 그 변화 과정과 공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 결과 현재의 신탄진 정기시장은 대도시 내의 정기시장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신탄진 정기시장의 시기별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경부선 신탄진 역사의 신설로 신탄진 지역의 발전과 더불어 장시가 확대되었고, 신탄진 연초제조창, 남한제지 등의 입지로 인구가 늘어나면서 신탄진 지역과 더불어 크게 번영하였으나 1970년대 이후 농협 연쇄점, 슈퍼마켓, 백화점, 할인점 등이 등장하고 둔산 지역에 새로운 주거지의 건설로 많은 인구가 빠져 나가면서 정기시의 위상은 약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97년 IMF 관리 체제 하에서 이동상인이 급격히 증가하여 오늘날 활발하게 장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신탄진 정기시장에 출시하는 이동상인은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가장 많으며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면서 인근의 유성시장, 옥천장 등을 출장 순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급품목에 있어서 60~70년대의 싸전, 나무전, 채소전, 우시장 등은 쇠퇴하거나 폐쇄되고 야채·과일, 어패류, 간식류, 반찬 등의 식재료의 판매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동상인 중 농민(비전문상인)과 전문상인의 비율은 3:7 정도라고 볼 수 있는데 오늘날은 비전문상인이라 하더라도 자신이 농사지은 것을 내다 파는 것이 아니라 중간 판매상에게서 구입하여 판매하는 것이 다른 점이다. 과거 신탄진 인근의 농촌 주민들이 自家에서 생산한 야채, 곡물 등을 가지고 나와 판매하던 형태에서 오늘날은 기업적인 규모의 전문상인들이 대전 인근의 정기시장을 망을 이루며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고정점포 상인은 50대가 가장 많았으며 취급 품목으로는 정기시장 상인과 경쟁하기 어려운 채소·과일은 거의 찾아보기 어려우며 의류·잡화류 등을 취급하는 상점이 더 많았다. 신탄진 정기시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20~40대는 여성의 비율이 높은 반면, 50대부터는 남성의 비율도 높아지며, 60~70대에는 남·여 비율이 거의 같게 나타났다. 이는 과거에는 남성들이 주로 장에 다녔으며 예전의 시장의 기능 중 놀이, 사교의 장으로서의 역할 등 사회·문화적 기능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오늘날 시장의 기능은 경제적 기능 즉, 물품의 거래가 주를 이루어 과거와 같은 사회·문화적 기능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신탄진 정기시장의 공간 구조면에서 예전에는 싸전, 나무전, 채소전, 우시장 등이 장터를 중심으로 면적(面的)으로 분포하던 것이 도시화, 산업화가 진전되고 자동차 등이 보급되면서 석봉시장 5길은 물론이고 대덕대로변과 신탄진 네거리, 신탄진역 쪽으로 도로를 따라 선적(線的)으로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신탄진 정기시장에서는 고정점포 상인과 이동상인 간, 또는 이동상인들 간의 비공식적인 임대료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매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지역과 아닌 지역 간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며 정기시장 이동상인들의 분포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상에서 신탄진 정기시장의 변천 과정과 공간적 특성을 고찰한 결과 교통기관의 발달, 농촌 인구의 감소, 농산물 출하체계의 정비, 근·현대적 상업 시설의 등장, 국가가 처한 경제 상황 등이 신탄진 정기시장에 영향을 미쳤음이 밝혀졌다. Periodic market(which opens in every 5 days)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conventional trade in urban and rural society since a long time ago. Sintanjin periodic market is a local periodic market located in Sintanjin, Daejeon, which was a rural periodic market originally and was transformed to a urban periodic market as Sintanjin area was developed into a part of Daejeon city.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historical changes and spatial structure of Sintanjin periodic market. And it was found that current Sintanjin periodic marke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Sintanjin periodic market, it was found that new establishment of Sintanjin Station along the Gyeongbu railroad line (from Seoul to Busan) contributed to local development of Sintanjin area and expansion of its local market. When a tobacco manufacturing plant and Namhan Paper Company were built in Sintanjin in 1965, increasing local population of Sintanjin caused remarkable prosperity of its local periodic market. As the emerging Western-style stores such as agricultural cooperative chain stores, supermarkets,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stores appeared after 1970s and a lot of population of Sintanjin moved to downtown area in Dunsan, the original status of Sintanjin periodic market was weakened. But ever since IMF control in 1997 the number of travelling merchants has been increasing, which makes the market prosperou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most travelling merchants in Sintanjin periodic market were 60 or more years old, and liv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y also work as traveling merchants around neighboring local periodic markets (Yuseong, Okcheon, etc.). In terms of goods traded in the market, it was found that stores are now flourishing with grocery goods such as vegetables, fruits, fish and shellfish, snacks and side dishes. The ratio of farmers (non-professional merchants) to professional merchants was about 3 to 7. In the past, rural people residing in the vicinity of Sintanjin used to sell their homegrown farm products (vegetables, grains, etc.) in the periodic market, but these days professional merchants play a leading role in the market. The consumers in Sintanjin periodic market shows characteristics as follows. In 20s to 40s, the proportion of women appears high, but in 50s the proportion of men starts to grow. In 60s and 70s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are almost equal. It shows that the current Sintanjin periodic market is characterized primarily by economic functioning, i.e., transaction of commercial goods, and that its traditional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i.e., fun and social communication are disappearing as time goes.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Sintanjin periodic market was found as follows. In the past, rice stores, firewood stores, greengrocery stores, cattle fairs and others were located at the market place. Today the market is extended in linear directions along both roadsides of Daedeok Boulevard, Sintanjin Intersection and roadway to Sintanjin Station as well as Seokbong Market Road #5 because of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increasing number of cars. Between permanent store merchants and travelling merchants, or among travelling merchants, there are some form of unofficial rents. Influenced by the amount of profits in that place, rents are very different from place to place. And it influences the distribution of travelling merchants in the market. Summing up,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intanjin periodic market, and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ncreasing vehicles, decreasing rural populations, rearranged delivery system of farm products, emerging modern commercial facilities and national economic policy had more or less effect on Sintanjin periodic market.

      • 월악산국립공원 대미산 산림식생의 군락유형분류

        한미경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analyze the types of forest vegetation on Mt. Daemisan in Wolaksan National Park and to obtain information on ecological management.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69 plots from June 2018 to September 2019 using the Z-M plant sociological method, and analyzed through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using tabulation method, importance values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sult, it was divided into six vegetation units and the top group 1 was classified as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was classified as the Acer pictum subsp. mono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typical community. Acer pictum subsp. mono community was divided into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and Quercus serrata group. Those vegetation units had a classification tendance divided by divers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al features of forest vegetation on Mt. Daemisan of Worak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from coincidence meth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generally divided according to biotic or abiotic environment elements. Importance value of vegetation unit 1 was showing the highest value as A. pictum subsp. mono 7.40%, Schisandra chinensis 11.13% in unit 2, Q. mongolica 9.18% in unit 3, Q. mongolica 22.00% in unit 4, Q. variabilis 18.85% in unit 5 and Q. mongolica 22.66% in unit 6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species diversity showed that VU 2 was the highest among six units in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pecies evenness index. In conclusion, a synecology approach to manage six units was consideringly needed for future ecological conservation of the forest ecosystem of Mt. Daemisan.

      • 대학생의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미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20대 대학생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67.3%가 아동기에 트라우마 경험을 1번 이상 경험하였으며,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경험한 대학생의 43.2%가 PTSD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의 차이에서 성별과 SNS 이용시간에 따라 SNS 중독경향성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이, SNS 이용시간이 길어질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졌다. 셋째,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이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위험요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도출한 함의를 살펴보면,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완화를 위해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을 고려한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며, 해소되지 못한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과 어려움에 대해 개입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인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하려면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다양한 유형의 트라우마, 그리고 트라우마 경험의 장기적인 영향력을 고려한 종단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on their SNS addiction tendency, and which is to suggest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asures for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through thi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28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across the country, and the main results obtained throug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67.3%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trauma more than once in childhood, and 43.2%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trauma in childhood were identified as a PTSD risk group.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NS addiction tendency according to gender and SNS usage time in the difference in SNS addiction tendenc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n the case of gender, women a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SNS than men, and the longer they spend using SNS, the higher the tendency to become addicted to SNS. Third, childhood trauma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as a risk factor. Looking at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pport services considering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are needed to alleviate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measures to intervene in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that have not been resolved are required.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related research, in-depth research is needed in many ways. Finall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 longitudinal study considering the long-term influence of trauma experience should be conducted along with a survey including variou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 전북 소재 농업계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잠재적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미경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북 소재 농업계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잠재적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 미 경 우석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지도교수 : 김 운 종) 본 연구는 전북 소재 농업계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잠재적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농업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300명이며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잠재적 학업중단의도는 자기 보고식 설문지로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치, 빈도분석,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Cronbach's α 산출,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잠재적 학업중단의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잠재적 학업중단의도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잠재적 학업중단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장벽은 목표선택을 28% 설명하였고 직업정보수집, 문제해결에 32%를 설명하였다. 즉 자기이해 부족, 중요한 타인과 갈등, 진로 및 직업정보 부족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문제해결이 낮았으며 미래계획에 대해 진로장벽은 25%를 설명하였다. 셋째, 진로장벽이 잠재적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퇴생각강도에 대해 진로장벽은 7%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경제적 어려움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퇴생각강도가 높아졌다. 자퇴생각구체성에 대해 진로장벽은 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즉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퇴생각구체성이 높아졌다. 본 연구의 함의점은 전라북도 소재 농업계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잠재적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이해하고 졸업 후 진로 미결정과 진로혼미로 인한 개인적·사회적 손실을 막고 잠재적 학업중단 의도를 예방하기 위한 진로교육과 진로프로 그램들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Effects on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atent School Dropout Intention of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in Jeollabuk-do Han Mi-kyeo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Advisor : Kim Uhn-jong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atent school dropout intention in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were 300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in Jeollabuk-do, and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atent school dropout intention were measur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alculation of Cronbach α valu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for data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barrie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latent school dropout inten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latent school dropout intention. Second, areer barriers accounted for 28% of the variance in goal selection, and accounted for 32% of the variances job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blem solving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is, the higher lack of self-understanding, conflict with important people, and lack of career and job information, the lower problem solving. Also, career barriers accounted for 25% of the variance in future plan. Third, career barriers accounted for 7% of the variance in intensity of dropout thought, that is, the higher economic difficulties, the higher intensity of dropout thought. Career barriers accounted for 8% of the variance in concreteness of intensity of dropout thought, that is, the higher conflict with important people and economic difficulties, the higher concreteness of dropout thought. The results had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helped understand the influence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atent school dropout intentio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areer education and programs must be introduced for the prevention of latent school dropout intention by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confusion.

      •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한미경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315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다사용, 공격성, 정서조절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먼저, 한국 정보문화진흥원의 ‘휴대전화중독 원인분석 조사’ 연구의 휴대전화 중독 척도를 토대로 하여 박용민(2011)이 사용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윤영숙(2013)이 사용한 것을 재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정서조절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동의 정서조절 측면을 관찰할 기회가 많은 담임교사가 평정하는 교사용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격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성연(2002)이 개발한 아동의 자기보고식 공격성 척도를 김은임(2011)이 사용한 것을 재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첫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는 단순기술통계기법을 사용하고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공격성, 정서조절 능력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능력이 매개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매개역할을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하였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의 표준오차 추정공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정서조절 능력 전체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공격성 전체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은 공격성 전체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 능력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정서조절 능력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스마트폰을 과다사용하더라도 정서조절 능력이 있는 아동은 공격성이 낮다. 따라서 학교와 가정에서 이러한 영향관계를 기반으로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정도를 평가하고, 현재의 과다사용 정도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정서조절 능력을 키워줄 필요가 있다. 또한, 아동의 공격성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에서는 공격성이 높은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정도를 측정하고 정서조절 능력의 하위 요인인 자신의 정서조절, 타인의 정서조절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자기를 기술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한다. 또한, 동시에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어떻게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고, 더 나아가 현재의 공격성의 근원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내용과 활동으로 구성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to verify whether emotional control ability has mediating effect on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and aggression. In this respect, a test on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aggression,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was conducted to the targets of 315 elementary students of 5 and 6 grade in Gyeonggi Province. As a testing tool, on the basis of mobil phone addiction criteria of ‘the research on cause analysis of mobile phone addiction’ by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the criteria used by Park Yongmin(2011) were modified, supplemented, and used by Yun Yeongsuk(2013), and they were reused here. Next, in order to measure emotional control ability, the teacher's rating scale was used by homeroom teachers, who have many chances to observe cases of children’s emotional control. Finally, in order to measure aggression degree, aggression criteria of self-report style developed by Park Sungyeon(2002) and used by Kim Eunim(2011) were reused here. Collected data was first, as preliminary data, calculated for reliability by using simple descriptive statistic technique for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Seco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excessive use of elementary student’s smart phone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Third,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emotional control ability has mediating effect on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s’ excessive use of smart phones and aggression. Fourth, Sobel’s formular of standard error estimation was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emotional control ability’s mediating effect on relation between children’s perceived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and aggr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children’s perceived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over whole emotional control ability. Second, as for children’s perceived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over whole aggression. Third, as for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bilit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over whole aggression. Fourth, as for the effect of children’s perceived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on aggression. the result of analyzing whether emotional control ability had mediating effect verified that the ability had a partial effect. In conclusion, children who had emotional control ability though they had excessive use of smart phones revealed low aggression degree. Therefore, on the ground of this influencing correlation, school and family need to evaluate degree of children’s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and develop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bility. Moreover, children’s aggression preventive and managing program should measure highly aggressive children’s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and support them to evaluate and describe themselves positively from the aspect of emotional self-control as a sub factor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In addition,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are required and operated to promote understanding how children’s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affects aggression and furthermore what causes present aggression.

      • 무용 수업에서 지각된 동기분위기와 목표성향이 내적동기와 수행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미경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상황적, 특성적 동기로 알려져 있는 지각된 동기분위기와 목표성향이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내적동기와 수행만족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대학의 무용학과 학생 773명(남학생 50명, 여학생 723명)이 참여하여 무용 상황으로 차용된 Seifritz, Duda와 Chi(1992)의 지각된 동기분위기 검사지(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 PMCSQ), Duda(1992)의 목표성향(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TEOSQ), McAuley, Duncan과 Tammen(1989)의 내적동기(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 IMI), 그리고 Riemer와 Chelladurai(1998)의 운동수행만족(Athletic Satisfaction Questionnaire; ASQ)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검사지들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학년과 전공에 따른 변수들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일원분산분석, 변수들 간의 상호 관계성 검증을 위한 상관분석, 그리고 내적동기와 수행만족에 대한 지각된 동기분위기와 목표성향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한 일련의 단계적, 중재적 위계적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3개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지각된 동기분위기는 내적동기만을 예측하고, 목표성향은 내적동기와 수행만족을 예측하는 변수임이 나타났다. 아울러 수행분위기와 과제성향목표의 상호작용은 재미/노력에, 과제성향목표와 자기성향목표의 상호작용은 수행만족에 중재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3개의 연구가설 검증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무용과 대학생들이 수업 중에 지각한 수행분위기는 수행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내적동기 중 무용에 대한 재미/노력을, 숙련분위기는 유능감을, 그리고 숙련과 수행분위기 지각은 긴장 수준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과 스포츠 상황에서 동기분위기 지각이 내적동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대부분 일치되고 있지만(유진, 1997; Biddle, 2001; Chatzisarantis, Hagger, & Brickell, 2008; Hagger, Chatzisarantis, Culverhouse, & Biddle, 2003; Standage, Duda, & Ntoumanis, 2003), 수행만족과는 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연구결과들과는 일치하지 않는다(Barkoukis, Ntoumanis, Ntoumanis, & Nikitaras, 2007; Boixados, Cruz, Torregrosaa, & Valiente, 2004; Papaioannou, Milosis, Kosmidou, & Tsigilis, 2008). 둘째, 무용과 대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과제 및 자기성향목표는 재미/노력 수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과제성향목표는 긴장을 자기성향목표는 유능감과 수행만족 수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2요인 구조의 목표성향이 체육과 스포츠 상황에서 내적동기와 수행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부분적으로 일치하지만(Balaguer et al., 2002; Della & Papaioannou, 2005; Loughead & Carron, 2004; Papaioannou et al., 2008; Weigard, 2001), 본 연구에서 자기성향목표의 효과가 나타난 것은 조사대상의 대다수가 여학생이라는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즉, 여학생은 자신의 유능감에 기반하여 과제를 수행하려는 성향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셋째, 수행분위기와 과제성향목표의 상호작용과 과제성향목표와 자기성향목표의 상호작용은 각각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재미/노력과 수행만족 수준을 중재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목표성향과 동기분위기의 일치성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동기분위기와 목표성향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유진, 허정훈, 2001; Standage et al, 2003).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동기분위기와 목표성향 간의 불일치성도 무용과 대학생들의 재미/노력 수준을 중재하고, 또한 목표성향간의 일치성도 수행만족 수준을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도 시사한다.

      •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미경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lass unit counseling program associated with the Moral Subject in high schools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upon application. School counseling, research documents and preceding study related to Moral Subject were examined to develop a class unit counseling program based on high school Moral Subject. Also, the common factor of Moral Subject dealing in related documents were investigated after examining counseling related to Moral Subject. Additionally, components as well as effective methods of application were also extracted. Development of the program was set up according to a 10 tier structure based on requirements on analysis of surveys, focus groups after planning-constitution-implementation and assessments. Also, the program was modified during its application and was subsequently reapplied.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wo groups of first grade co-ed classes consisting of 21 students in a B level specialized school in Busan were tested in the experiment. The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asured ego identity, clear values, problem solving competence and sense of community. In data processing, results from the statistics were analyzed with the MANOVA method. Group members’ experience report and counselors observations content were used to analyze and presented to make up for the limit of quantity researc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ass unit counseling associated with Moral Subject in high schools was developed according to school counseling development process and was suitable for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program to attain its goals. Second, Ego identity levels of the experimentation group who participated in class counseling activities related to Moral Subjec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rd, Value clarity levels of the experimentation group who participated in class counseling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Fourth, With regards to problem solving competence, the experimentation group showed sign of chang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Fifth, The experimentation group also did show a difference with regards to the level of community sens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Six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lass unit counseling program Associated with Moral Subject in high schools reported positive experiences in all criteria of the experiment. (ego identity, values, problem solving competence, and sense of commu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turns out useful date in that it reports the participants differing experience because the content and the organization of class unite counseling associated with Moral subject in high schools is appropriate and this program increased ego identity, values, problem solving competence, and sense of community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먼저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학교상담, 도덕교과와 연계한 상담활동과 관련된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관련 문헌에서 주목하고 있는 도덕교과 공통요인들을 살펴보고, 도덕교과와 연관된 상담활동들을 조사하여 실효성이 높은 구성요소 및 접근방법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개발방향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의 개발방향에 따라 기획-구성-실시 및 평가 단계를 거쳐 요구조사 및 포커스그룹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총 10회기에 이르는 구조화된 프로그램 형태로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예비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해봄으로써 실시 후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다시 수정 보완하여 프로그램을 최종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광역시 B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 남녀혼합반 21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다른 남녀혼합반 21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자아정체감, 가치관 명료화, 문제해결능력, 공동체의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중다공변량 분석(MANOVA) 방법으로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반응 보고와 만족도, 회기별 경험보고서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은 학교상담 개발 절차에 따라 개발되어 내용과 구성이 프로그램의 목표를 달성하기에 적절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아정체감 수준의 향상 정도가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가치관 명료화 수준의 향상 정도가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문제해결능력 수준의 향상 정도가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공동체의식 수준의 향상 정도가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아정체성, 가치관 명료화, 문제해결능력, 공동체의식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은 적합하였다.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학생, 학부모, 교사, 전문가 그룹의 요구조사 및 포커싱을 하고 그것을 기초로 프로그램을 만든 것은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였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다. 프로그램을 10회기 연속 사용하거나, 각각 자아정체감, 가치관명료화, 문제해결능력, 공동체의식 등 따로 분리하여 사용해도 될 수 있도록 만든 것은 학교마다 사정이 많은 것을 감안할 때 활용하기에 쉽고, 유용할 것이다. 둘째,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자아정체성, 가치관 명료화, 문제해결능력, 공동체의식을 증진시켰고,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변화 경험을 보고하여 유용한 자료임을 증명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고등학생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청소년기 발달과제와 과업을 고민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학생들이 문제해결능력이나 공동체의식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 보였지만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문제해결방식을 알고 사람마다 대처방식이 다르다는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가지게 되고 타인에 대한 배려의 마음까지 배우게 된 것은 도움이 되었다. 공동체의식 고취 활동을 통해 자신과 공동체가 별개가 아니고 서로 연관된 유기체라는 것을 알고 개인주의를 극복하고 공동체의 소중함을 배울 수 있었다. 고등학교 도덕교과와 연계한 학급단위 상담활동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것을 학습하게 되면 학생들의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하여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며, 청소년기의 과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가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