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연구데이터 공유 및 활용을 위한 전문가 실천공동체 구축에 관한 연구

        한나은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4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examined cases of foreign Community of Practice(CoP) of experts to find out what benefits researchers can gain from participating in their CoP, how the CoP was established, and how data is shared within the CoP.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on how to establish a CoP of experts in Korea for sharing and using research data. By participating in the CoP of experts, members can be provided with the opportunity to build an experts’ network and have a chance to meet with various experts, to acquire and share their expertise and information, to receive help from other experts, to learn about their expertise, and to have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4 factors such as operation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memberships and number of members, activities, and management of data and repository for establishing a CoP of experts for sharing and using research data. This study provides a knowledge base for building a CoP of experts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외의 문헌들을 분석하고 국외 전문가 실천공동체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실천공동체 참여를 통해 연구자들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또한 해당 실천공동체의 구축 방법 및 실천공동체 내의 데이터 공유 방법과 연구데이터 공유 및 활용을 위한 국내의 전문가 실천공동체의 구축 방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전문가 실천공동체에 참여함으로써 구성원들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고, 다양한 전문가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실천공동체에 참여함으로써 해당 공동체 내에서 전문 지식과 정보를 습득 및 공유할 수 있고, 다른 전문가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전문 지식에 관한 학습 및 전문적인 경험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 공유 및 활용을 위하여 국내의 전문가 실천공동체는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운영 방법 및 관리 체계, 가입 조건 및 구성원의 수, 활동 목표 및 방법, 데이터 및 리포지토리 관리의 4가지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의 전문가 실천공동체 구축을 위한 지식 기반을 제공한다.

      • KCI등재

        연구데이터 관점에서 본 거대언어모델 품질 평가 기준 제언

        한나은,서수정,엄정호 한국정보관리학회 2023 정보관리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안된 거대언어모델 가운데 LLaMA 및 LLaMA 기반 모델과 같이 연구데이터를 주요 사전학습데이터로 활용한 모델의 데이터 품질에 중점을 두어 현재의 평가 기준을 분석하고 연구데이터의 관점에서 품질 평가 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 품질 평가 요인 중 유효성, 기능성, 신뢰성을 중심으로 품질 평가를 논의하였으며, 거대언어모델의 특성 및 한계점을 이해하기 위해 LLaMA, Alpaca, Vicuna, ChatGPT 모델을 비교하였다. 현재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거대언어모델의 평가 기준을 분석하기 위해 Holistic Evaluation for Language Models를 중심으로 평가 기준을 살펴본 후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를 주요 사전학습데이터로 활용한 거대언어모델을 대상으로 한 품질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추후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으며, 이는 거대언어모델의 발전 방향을 위한 지식 기반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Large Language Models (LLMs) are becoming the major trend in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ield. These models were built based on research data, but information such as types, limitations, and risks of using research data are unknown. This research would present how to analyze and evaluate the LLMs that were built with research data: LLaMA or LLaMA base models such as Alpaca of Stanford, Vicuna of the large model systems organization, and ChatGPT from OpenAI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data. This quality evaluation focuses on the validity, functionality, and reliability of Data Quality Management (DQM). Furthermore, we adopted the Holistic Evaluation of Language Models (HELM) to understand its evaluation criteria and then discussed its limitations. This study presents quality evaluation criteria for LLMs using research data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 KCI등재

        잡곡 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한나은,김재관,윤희정,강민성,조영선,송지원,김병태,이성남,최옥경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1

        In this study, the pesticide residues in 106 commercial cereal grains were monitored from Februaryto July 2021. For the investigation, 40 domestic and 66 imported products from large, small-to-medium sizedoffline and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using the multiresidue method for 341 pesticideson GC/ECD, GC/NPD, GC/MSMS, UPLC/PDA, HPLC/FLD, LC/MSMS. Pesticides were detected in total of 8samples (7.5%), of which one was from big box retailers, two from small and medium-sized distribution stores, andfive from online shopping mall. Five (4.7%) samples were found to have pesticide residues greater than the maximumresidue limits (MRLs). The detected pesticides in kidney beans (1 case), mung beans (6 cases), and sorghum (1 case),were MGK-264, chlorpyrifos, thiamethoxam, malathion, piperonyl butoxide, and pirimiphos-methyl. Specifically, anexcessive amount of thiamethoxam was found from the imported mung bean (5 cases). 본 연구는 2021년 2월부터 7월까지 잡곡 106건을 수거하여 잔류농약 실태조사를 하였다. 대형, 중소형 및 온라인 유통매장을 중심으로 국내 잡곡 40건과 수입 잡곡 66건을 수거하였고, GC/MSMS, GC/ECD, GC/NPD, LC/MSMS, UPLC/PDA, HPLC/FLD를 이용하여 다종농약 다성분분석법으로 잔류농약 341종을 분석하였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잡곡은 대형유통매장 1건, 중소형 유통매장 2건, 온라인 유통매장 5건으로 총 8건(7.5%)이었고, 5건(4.7%)에서는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이들 잡곡에서는 MGK-264, chlorpyrifos, thiamethoxam, malathion,piperonyl butoxide, pirimiphos-methyl 등 6종의 농약 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잡곡은 강낭콩(1건), 녹두(6건), 수수(1건)이다. 검출된 잡곡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품목은 수입 녹두(5건)로 미얀마산이었고, 초과한 농약 성분은 thiamethoxam이었다.

      • KCI등재

        연구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모델 제안

        한나은 한국정보관리학회 2023 정보관리학회지 Vol.4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government data quality management model, big data quality management model, and data lifecycle model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analyzed the components common to each data quality management model. Those data quality management models are designed and proposed according to the lifecycle or based on the PDCA mod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data, which is the object that performs quality management. And commonly, the components of planning, collection and construction, operation and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and disposal are included. Based on this, the study proposed a process model for research data quality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research data quality management to be performed in a series of processes from collecting to servicing on a research data platform that provides services using research data as target data was discussed in the stages of planning, construction and operation, and utiliz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knowledge based for research data quality management implementation methods.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모델, 빅데이터 품질관리 모델, 그리고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데이터 생애주기 모델을 분석하여 각 품질관리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구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품질관리 모델은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객체인 대상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생애주기에 맞추어 혹은 PDCA 모델을 바탕으로 구축되고 제안되는데 공통적으로 계획, 수집 및 구축, 운영 및 활용, 보존 및 폐기의 구성요소가 포함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품질관리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였는데, 특히 연구데이터를 대상 데이터로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비스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수행해야하는 품질관리에 대해 계획, 구축 및 운영, 활용단계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 품질관리 수행 방안을 위한 지식 기반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외국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비교분석

        한나은,김성희,Han, Na-Eun,Kim, Seong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2

        본 연구에서는 연구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국외의 10개 대학도서관의 보존정책을 대상으로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데이터 선정 및 접수, 보존 활동, 접근 및 이용, 책임 및 관리의 4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데이터 선정 및 접수에서 수집 대상 데이터는 대부분 대학 내에서 생산된 디지털 형태의 연구데이터나 대학에서 생산하지는 않았으나 대학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로 나타났다. 보존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메타데이터는 Dublin Core, MODS, PREMIS 등으로 나타났으며, 접근 및 이용에서는 법률 및 규약에 기초하여 접근, 규제 등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 및 관리 차원에서는 관리적, 재정적, 기술적, 물리적, 인적 부분 등으로 나누어 각각의 감사나 지속가능성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gital curation process targeting the foreign 10 university libraries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research data.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4 parts such as the selection and ingest of data, preservation, access and use, responsibilities and manage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search data for selection and ingest include data produced by the faculty members or can be accessible in the university or research institution.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 institutions use Dublin Core, MODS, and PREMIS as a metadata for preservation. In the aspect of approach and use, regulation are decided based on the law and agreement. And in the aspect of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most elements are divided into the management, financial, technical, physical, and personal parts and each audit or sustainability is reviewed.

      • KCI등재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 제안

        한나은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4 No.1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that analyzed the research data curation models using activity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factors of the activity used in the activity theory, this study analyzed various research data curation models, as well as issues that needed discussion in the library field in carrying out research data curation activities. And based on this, a new research data curation conceptual model was proposed. This study analyzed how the five previously proposed digital curation lifecycle models are configured, and analyzed the actions presented sporadically in each model. A new research data curation conceptual model was proposed by analyzing factors, extracting common factors and integrating them into a new model. In addition, six issues to be considered in carrying out research data curation activities in libraries and repositorie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The research data curation conceptual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10 steps, and it contains practical issues and contradictions to consider at each stage of activity. 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모델을 분석한 문헌 연구로, 활동이론에서 사용하는 활동의 구성 요소들을 바탕으로 여러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모델을 분석했을 뿐만 아니라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도서관계에서 논의가 필요한 현안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안된 5개의 디지털 큐레이션 생애주기 모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각각의 모델에서 산발적으로 제시되는 활동요인들을 분석하여 공통 요인을 추출하고 새로운 모델로 통합하여 새로운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서관 및 리포지토리에서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6가지의 현안들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은 총 10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활동의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실천적 문제와 모순을 포함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 구축에 관한 질적 연구

        한나은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activities of Community of Practice (CoP) of research data curators, including their community building and maintenance activities, by using activity theory as its main theoretical framework. The study used an embedded multiple-case study design for exploring the activities of three CoP of research data curators. The case study design used document analysi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collect data. Besides the community building and maintenance activities, other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the CoP of research data curators, which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curation activities, education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Membership was largely divided into institutional membership and individual membership, and the motives for members to join and contribute to the CoP vary from extrinsic to intrinsic motivations. Finally, we identified and categorized challenges and success indicators for CoP of research data curators as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particular, we identified three types of challenges or contradictions the communities faced and 14 perceived indicators of success. This study informs the practice of research data curation by providing a knowledge base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a CoP of research data curators. 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주요 이론적 기반으로 활용하여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 구축 및 유지 활동을 포함한 실천공동체의 다양한 활동 및 해당 실천공동체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과 도전 과제, 그리고 실천공동체를 성공적으로 구축 및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해당 연구는 다중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사례 연구 방법은 문서 분석과 인터뷰 자료 분석을 포함한다.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의 활동에는 크게 큐레이션 활동, 교육 활동 및 의사소통 활동이 존재한다. 실천공동체에 가입하는 참여자들은 크게 기관으로 가입하는 경우와 개인 자격으로 가입하는 경우 두 가지로 나뉘며, 이들이 실천공동체에 가입하는 동기는 외적 동기에서 내적 동기까지 다양하게 파악된다.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가 갖는 3가지 유형의 모순 및 도전 과제를 파악하고 총 14가지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는 연구데이터 큐레이터로 구성된 실천공동체를 구축 및 유지하기 위한 지식 기반을 제공하며, 특정 집단을 기반으로 구성된 실천공동체의 다양한 활동들을 고찰함으로써 실천공동체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확장한다.

      • KCI등재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afety Assessment of Commercial Ready-to-Eat Side Dishes Sold in Gyeonggi-do

        황선일,김상태,한나은,Yu-Mi Choi,김혜영,Hyun-Kyung Ham,Chan-Mi Lee,박용배,Mi-Hui Son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5 No.5

        We aimed to analyz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ready-to-eat (RTE) side dishes collected from traditional markets, supermarkets, and cafeterias in Gyeonggi-do in 2019. A total of 108 samples were analyzed for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coliforms and foodborne pathogens depending on place of purchase and cooking methods. Results show that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in 14 (12.9%) out of 108 samples of side dishes, while no other foodborne pathogens were detected. The mean detected level (range) of total aerobic bacteria depending on place of purchase was 5.8 log CFU/g (3.0 to 8.2 log CFU/g) for traditional markets, 4.3 log CFU/g (2.4 to 7.8 log CFU/g) for supermarkets, and 3.80 log CFU/g (0.0 to 6.8 log CFU/g) for cafeterias,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among places of purchase. Among the samples, the highest count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were detected in saengchae (raw vegetables), followed by namul (seasoned herbs, vegetables), bokkeum (stir-fried foods), and jorim (foods cooked in soy sauce). The growth of total aerobic bacteria in seasoned soybean sprouts was inhibited when the sprouts were stored at 4 o C up to 24 h, whereas bacteria rapidly grew at 20 and 35 o C after 3 and 6 h, respectively. These results reveal that storage temperature might play a significant role for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seasoned soybean sprouts when they are sold in market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RTE side dishes should be stored at refrigerated temperature when being sold at markets as well as after purchasing to improve their microbiological quality.

      • 사용자 생성 컨텐츠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K-POP 음악흥행 예측

        전종석,김승호,한나은,오주희 한국경영과학회 2022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6

        본 연구는 사용자 기반 컨텐츠 (UGC) 생성 및 공유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플랫폼인 Tiktok, Youtube, Instagram에서 사용자들의 음악에 대한 선호도를 바탕으로, 한류의 중심으로 자리잡은 KPOP 음악의 흥행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음악차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온차트의 2019년부터 2021년 상위 100위 곡들에 대해, 탑 10위 진입 여부에 대한 머신러닝 기반 예측모델을 구축했다. 곡의 고유한 특성인 장르 및 아티스트의 특성과 같은 변수를 기반으로, 최근 스트리밍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는 Spotify의 음원 특성(Acoustic Feature) 변수, 사용자들의 음악선호도를 나타내는 UGC 변수를 바탕으로, K-POP 음악시장의 흥행을 보다 밀접하게 설명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예측 모델의 성능을 제고하고자 한다. 머신러닝 기반의 음악 흥행 예측 모델개발을 통해 디지털 음원시장의 통찰력을 제공하고 음악 산업 프로세스 전략수립에 기반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