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환입, 세환입의 해금선율 비교 분석

        나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도드리 곡인 ‘미환입’ 과 ‘세환입’ 의 선율을 해금선율에 기하여 비교분석한 것으로써, 우선 두 곡의 출현음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음정관계 및 선율진행을 살펴본 것이다. 따라서 음정관계에 있어서는 한 옥타브의 비율과 한 옥타브가 아닌 다른 음정관계의 비율을 산출해 보았으며, 선율진행은 어떠한 형태를 보이며, 그 외 특징적인 것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미환입과 세환입의 선율비교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곡의 출현음을 살펴보면,「미」는 주요 5음이 임·남·黃·太·仲으로 나타나고 있으며,「세」는 주요 5음이 太·仲·林·南·潢으로 각각 나타난다. 그 중 두 악곡에서 얻어낸 최다 출현음은「미」가 남이고,「세」가 南인 한 옥타브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각 주요5음에 배음, 청음을 합치면 다르게 나타난다. 즉,「미」는 총 107회 출현하여 24,76%의 비율을 보이는 仲과 중이,「세」는 총 114회 출현하여 26.38%의 비율을 보이는 南과 □이 최다 출현음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한 옥타브(완전8도)인 박’ 은 총 432박 중 252박으로 나타나고 있어 58.33%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 옥타브 아닌박’ 은 총 432박 中 180박으로 41.66%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장 제6각, 6장 제3각, 7장 제 1·3·9·14각에서「세」의 음이「미」의 음보다 낮은 위치에 진행되는 박이 보이고 있다. 3. 진행형의 분포도를 살펴본 결과, 한 옥타브 관계의 진행은 총 193회로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 진행은 167회로 나타났다. 따라서 옥타브 진행이 아닌 167회 진행은 다음과 같은 진행형을 보인다. 즉, 1도 병행은 53회, 사진행은 53회, 병진행은 37회, 반진행은 24회로 각각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미」와「세」에서 보이는 특징으로 여러 표현법을 들 수 있는데, 그 중 경과음, 장식음이 많이 보이며, 전성과 같은 굴르는 주법도 보이고 있다. 또한 해금 주법으로 가능한 잉어질, 잔가락, 요성법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위 세가지 표현법은 미환입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세환입에서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표현법이다. In this study, the Hae Kewn(one of Korean fiddles) melodies of Miwhan-ip and Sewhan-ip, two pieces of Korean Dodeuri music, are comparatively analyzed : at first, notes appeared in these two pieces of music are investigated and next the interval relation and melodical progression. In the case of interval relation, the rate of appearance of octave and non-octave distances are presented, and as for the melodical prog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lodies of Miwhan-ip and Sewhan-ip is as follows ; 1. As for the notes appeared in the two pieces of music, key notes of 「Mi」 and Yim(임), Nam(남), Whang(黃), Tae(太) and Jung(仲) and key notes of 「Se」 are Tae(太), Jung(仲), Yim(林), Nam(南) and whang(潢). Among those notes appeared, the most frequent notes form an octave as 「Mi」 belongs to Nam(남) and 「Se」 belongs to Nam(南). But when each key note is mixed with an overtone or clear sound, the effect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hat is, Jung(仲) and Jung(중)is the most frequent note in 「Mi」, appeared 107 times in total occupying 24.76% of the whole appearance while Nam(南) and Nam(남)is the most frequent note in 「Se」, appeared 114 times in total occupying 26.38% of the whole appearance. 2. The octave time (perfect 8th degree) appears 252 times in total occupying 58.33% of the whole time appearance, while non-octave distances appear 180 times in total thus occupying 41.66% of the whole time appearance. In particular, 「Se」 progresses in a lower position than 「Mi」 at the 6th gak in the 5th movement, the 3rd gak in the 6th movement and the 1st, 3rd, 9th and 14tj gaks in the 7th movement. 3. As for the distribution of progression types, octave progression appears 193 times in total while the other progressions 167 times. So among those non-octave progressions, parallel of the 1st degree appears 53 times, linear progression 53 times, parallel progression 37 times and semi-progression 24 times in total. 4. Various expressions come out from 「Mi」 and 「Se」 among which transient, decorative renditions are representative ones, sometimes vibrant rendition appears. With Haekeum, various renditions can be yielded such as Ingurjil, fine melodies and vibration Particularly, those three renditions barely appear in Miwhan-ip, but in Sewhan-ip they appear anew.

      • 무대의상에 나타난 블랙의 미적 특성 : 뮤지컬 '시카고'를 중심으로

        나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63

        As Korean performing arts fields form networking with the world’s musical market with reaching the 21stcentury, anopportunitythatthe audience can face the Broadway works at home is increasing, due to an environmental change in the domestically performing arts fields and to the expansion in an individual’s desire for cultural life in high level. The Stage Costume field proceeds with developing further through the work with Broadway team. The clothing itself is giving visual beauty as the important visual art on the stag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black dress is the one of having aesthetic value as well as symbolism while delivering specific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lor, which is essential element in forming design of the Stage Costume. This study carried out the theoretical research of centering on the literature consideration and the empirical research of centering on a case side by s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performed in order to make theoretical frame of categorizing image in black, which was shown through grasping a concept in Stage Costume and the components in design, and through considering the definition in black, the image in black fashion, and transitional process and symbolism. The empirical research was progressed in order to obtain empirical answer 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in black, which was shown in Stage Costume. It analyzed the works and design based on the clothing, which had been performed at home with a revival version of Musical ‘Chicago.’ Color is formed the coloring image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perception through eye, which is the sensory organ. The fashion image is formed by line, color and material quality, which become the basic elements in costume design. The black fashion is mostly authoritative, quiet, monotonous, and elegant as well due to this coloring image. However, black is used in costume, thereby sometimes giving sensational impact or horrible image as the color of darkness. Also, the black dress stirs up erotic mood, thereby causing sexual impulse and ever implying possibility of obscene behavior. The black fashion has been diversely changed even significance and symbolical image according to each period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age. Aesthetic characteristics, which were shown in black fashion through the consideration based on the costume history, were indicated 15 kinds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as sorrow, abstinence, simple, dignity, elegance, sensuality, oppositional, modern, androgyny, feminine, contraction, emphasis, contrast, harmony, and popularity. To examin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black, which were shown in Stage Costume, it selected 7 works of license musicals that can elicit sympathy from the audience in the whole world and that can well elicit symbolical image of Stage Costume, as the systematic production system and the long-term performance. The selected works included ‘The Phantom of the Opera,’ ‘Jekyll & Hyde,’ ‘Notre-Dame de Paris,’ ‘Don Juan,’ ‘Grease,’ ‘Menopause,’ and ‘All Shook Up.’ As a result, the black in Stage Costume was expressed typically death, fear, devil, religious mood, simplicity, dangerous power, sensuality, and modern image. Black in Stage Costume was implicitly having 9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orrow, abstinence, dignity, sensuality, opposition, modernity, androgyny, feminine, and harmony among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black fashion.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more than two are being shown in one dress. If so,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considered on aesthetics characteristics in black, which were shown in Stage Costume of Musical ‘Chicago,’ which is increasing the theme consciousness through Stage Costume, which is simple and sexy black. First, as emotion of coming to stay in agony and sadness on the basic fact called death, the Stage Costume in black led to being shown sorrow of implying death, fear and murder. The Stage Costume of female murderers, who are being in jail of Cooke County in ‘Chicago,’ was worn black high heel, black net body suit, and black lingerie, which are distant from prisoner, thereby having revealed the aspect of highlighting the fear and dark mood called murder. Second, the dignity, which corresponds to noble beauty in the aesthetic category, expresses dignity and elegance with flat material in black, and is revealed the aspect of expressing fashion, which emphasized spirit rather than body. Mama’s mannish pants and jacket in black, which were entered stripe, in the Stage Costume of ‘Chicago,’ were showing off her dignity and position with emphasis on straight design, and were indicating power and authority for enjoying new social standing, which imitated a man. Also, in Bill Rieflin’s Stage Costume, the authority and even lofty grace could be felt by black tuxedo, which formed contrast harmony in black and white. Third, 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ausing sexual desire, the sensuality was shown, which has the aspect of being expressed through exposure, concealment and emphasis. Female actresses in Musical ‘Chicago’ are showing sensory beauty with see-through body by black see-through dress and black net body suit. Also, lace decoration, the lingerie look in leather material, and high heel allow the sexual excitement to be caused while showing the clothing form of typical fetishism. The black dresses, which stick closely to the body, further emphasized a sense of volume in body under the lighting over the stage. Even male actors wore the black see- through dress, black vest of having been worn on the exposed upper body, and black skinny pants with lots of stretch properties, thereby having evoked erotic mood while showing even the fine movement of muscles. Fourth, it was expressed with androgyny, which evokes androgynous image. Even in the dresses of Velma Kelly and Roxie Hart, the black long tailored jacket is showing nobleness of those successful women. In addition, the mini dress in sensory black was worn. Thus, they are showing sensory feminine image and dignified masculine image at the same time. Androgyny is indicated as the fetishism phenomenon as well. The black fetish fashion is expressing significance of sex, which was newly given according to an individual’s sexual taste. ‘Mary Sunshine’ expressed elegance by decorating with spangle in order to emphasize femininity in coat with the knee length, and wore fake breast and high heel, thereby showing the sensory image. On the other hand, she wore the black pants of symbolizing a man in the lower part. Thus, the androgynous image was shown. Fifth, black in Musical ‘Chicago’ formed the whole mood with a sense of weight by arranging the whole feeling with color in similar tone,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he harmony of being formed with theme, which is aimed to be indicated in drama. The black dress in the unified feeling is giving a stable feeling while harmonizing with white feather, cigar smoke, diverse illuminations in chromatic color, and actors’ exposed flesh. As a result of considering by substitut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black, which were shown in Stage Costume as the above, for Musical ‘Chicago,’ it was confirmed to be developed into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orrow, dignity, sensuality, androgyny, and harmony. Also,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black were being well reflected by the cast’s character and the concept of drama. One dress was show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more than two, not showing one kind of aesthetic characteristic. Accordingly, the Stage Costume in Musical ‘Chicago’ contributed to the perfection level of stage as the middle medium of delivering aesthetic expression and theme in the background of drama and in the appearing characters to the audience, as one form of visual art. Also, as the Stage Costume in Musical ‘Chicago’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modern sight and the aesthetics in costume, the function was more emphasized that expresses symbolical significance in role and theme of Stage Costume as the visual effect. This study consider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black fashion based on the history of costume in black fashion as for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black, which were shown in Stage Costume. Thus, at this point of time that the Stage Costume is being developed, it is considered to become likely reference materials in analyzing image of major colors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in developing the better Stage Costume. 21세기에 이르러 한국 공연계는 세계 뮤지컬 시장과 네트워킹을 형성하면서 국내 공연예술계의 환경적 변화와 수준 높은 개인의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의 팽창으로 관객들에게 브로드웨이의 작품을 국내에서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무대의상 분야는 브로드웨이 팀과의 작업을 통해 더욱 발전해 나가며 무대 위의 중요한 시각예술로서 의상 자체로 시각적 아름다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대의상의 디자인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필수 요소인 색채의 관점에서, 블랙 의상은 특정한 이미지를 전달하며 상징성뿐만 아니라 미적 가치를 지닌 색상임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중심의 이론적 연구와 사례 중심의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무대의상의 개념과 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블랙의 정의와 블랙 패션의 이미지, 변천과정 및 상징성을 고찰을 통하여 나타난 블랙의 이미지를 범주화 하는 이론적 틀을 만들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실증적 연구는 무대의상에 나타난 블랙의 미적 특성에 대한 실증적 해답을 얻기 위해 진행하였으며, 뮤지컬 ‘시카고’의 리바이벌 버전으로 국내에서 공연하였던 의상을 토대로 작품 및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색은 감각기관인 눈을 통해 지각화의 과정을 거쳐 색채 이미지가 형성되며, 패션 이미지는 복식 디자인의 기본 요소가 되는 선, 색,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블랙 패션은 블랙이 지니는 이러한 색채 이미지로 인해 대체로 권위적이고 고요하며, 단조롭고 우아하기도 하다. 그러나 때때로 블랙은 복식에 사용되어 어두움의 색상으로 자극적인 충격을 주거나 공포의 이미지를 표현한다. 또한 블랙 의상은 에로틱한 분위기를 자아내어 성적 충동을 일으키며 음란한 행위의 가능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블랙 패션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각 시대에 따라 의미와 상징적 이미지 또한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복식사적 고찰을 통한 블랙 패션에 나타난 미적 특성은 비애성, 금욕성, 단순성, 위엄성, 우아성, 관능성, 반항성, 현대성, 양성성, 여성성, 축소성, 강조성, 대비성, 조화성, 대중성의 15가지의 미적 특성이 나타났다. 무대의상에 나타난 블랙의 미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인 제작 시스템과 오랜 기간의 공연으로 전 세계 관객들에게 공감을 이끌어 내며 무대의상의 상징적 이미지를 잘 이끌어 낼 수 있는 라이센스 뮤지컬 7작품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작품으로는, ‘오페라의 유령’, ‘지킬 앤 하이드’, ‘노트르담 드 파리’, ‘돈주앙’, ‘그리스’, ‘메노포즈’, ‘올슉업’이 선정되었다. 그 결과 무대의상에서 블랙은 죽음, 공포, 악마, 종교적 분위기, 단순함, 위험적인 힘, 관능, 모던한 현대적 이미지가 대표적으로 표현되었다. 무대의상에서 블랙은 블랙 패션의 미적 특성 중 비애성, 금욕성, 위엄성, 관능성, 반항성, 현대성, 양성성, 여성성, 조화성의 9가지 미적 특성을 내재하고 있었으며, 하나의 의상에서 두 가지 이상의 미적 특성이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블랙의 단순하면서도 섹시한 무대의상을 통해 주제의식을 높이고 있는 뮤지컬 ‘시카고’의 무대의상에 나타난 블랙의 미적 특성에 대해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죽음이라는 원초적인 사실에 대해 고뇌와 슬픔에 머무르게 되는 감정으로 블랙의 무대의상을 통해 죽음과 공포, 살인을 의미하는 비애성이 나타났다. ‘시카고’에서 쿡 카운티 교도소에 수감 중인 여자 살인범들의 무대의상은 죄수와는 거리가 먼 블랙의 하이힐에 블랙 망사 바디슈트, 블랙 란제리 등을 착용하여 살인이라는 공포와 어두운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양상을 드러냈다. 두 번째, 미적 범주에서의 숭고미에 해당되는 위엄성은 블랙의 밋밋한 소재로 위엄과 우아함을 표현하며 육체보다는 정신을 강조한 패션의 표현 양상이 드러난다. ‘시카고’에서 마마의 무대의상에서 스트라이프가 들어간 매니쉬 한 블랙의 팬츠와 자켓은 직선적인 디자인의 강조로 그녀의 위엄과 지위를 과시하고 있었으며, 남성을 모방한 새로운 사회적 지위를 만끽하기 위한 파워와 권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빌리 플린의 무대의상에서 블랙과 화이트의 대비적인 조화를 이룬 블랙의 턱시도에서 권위와, 고귀한 기품까지 느낄 수 있었다. 세 번째, 성적인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미적 특성으로 노출과 은폐, 강조를 통하여 표현되는 양상을 띠고 있는 관능성이 나타났다. 뮤지컬 ‘시카고’ 여자 배우들은 블랙 시스루 의상과 블랙의 망사 바디 슈트는 신체를 비치며 관능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레이스 장식, 가죽 소재의 란제리 룩과 하이힐은 전형적인 페티시즘의 의복 형태를 보여주며 성적 흥분을 일으키게 하며 몸에 밀착되는 블랙 의상들은 무대 위 조명아래 신체의 볼륨감을 더욱 강조하였다. 남자 배우들 또한 블랙의 시스루 의상, 노출된 상체 위에 입은 블랙 베스트와 스트레치성이 많은 스키니 한 블랙 팬츠를 입어 근육의 미세한 움직임까지 보여주며 에로틱한 분위기를 자아내었다. 네 번째, 양성적 이미지를 자아내는 양성성으로 표현되었다. 벨마 켈리와 록시 하트의 의상에서도 긴 블랙 테일러드 자켓으로 성공한 그녀들의 당당함과 그 속에 관능적인 블랙의 미니드레스를 착용하여 관능적인 여성의 이미지와 격조 있는 남성의 이미지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양성성은 페티시즘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블랙 페티시 패션은 개인의 성적 취향에 따라 새롭게 부여된 성의 의미를 표출하고 있다. ‘매리 선샤인’은 무릎기장의 코트에 여성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하여 스팽글로 장식하여 우아함을 표현하였으며 가짜가슴과 하이힐을 신어 관능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반면 밑에는 남성을 상징하는 블랙 팬츠를 착용함으로써 양성적인 모습이 나타났다. 다섯 번째, 뮤지컬 ‘시카고’에서 블랙은 유사한 톤의 색상으로 전체 느낌을 정돈하여 무게감 있는 전체 분위기를 조성하며 극의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와 조화를 이루는 조화성이 나타났다. 통일된 느낌의 블랙 의상은 흰 깃털, 담배연기, 유채색의 다양한 조명, 배우들의 노출된 살과 조화를 이루며 안정된 느낌을 주고 있다. 이상 무대의상 나타난 블랙의 미적 특성을 뮤지컬 ‘시카고’에 대입하여 고찰해본 결과, 비애성, 위엄성, 관능성, 양성성, 조화성의 미적 특성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또한 블랙의 미적 특성은 배역의 성격과 극의 컨셉에 의해 잘 반영되고 있었으며 하나의 의상에서 한가지의 미적 특성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이상의 미적 특성이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뮤지컬 ‘시카고’의 무대의상은 시각적 예술의 한 형태로서 관객들에게 극의 배경과 등장인물의 미학적 표현 그리고 주제 전달의 중간 매개체로 무대 완성도에 기여하였다. 또한 뮤지컬 ‘시카고’ 무대의상이 현대적 시각과 복식의 미학에 적용시켜 디자인되면서, 시각적 효과로서의 무대의상의 역할 및 주제의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는 기능이 더욱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무대의상에 나타난 블랙의 미적 특성을 블랙 패션의 복식사적 고찰을 바탕으로 블랙 패션의 미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무대의상이 발전 해 가고 있는 이 시점에 더 나은 무대의상의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를 확립하기 위해 주요한 색상의 이미지 분석에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사려 된다.

      •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ory-based atopic dermatitis animal model : using the intestinal microflora disruption

        나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63

        Abuse of antibiotics to treat children has been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he develop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The underlying mechanism behind this association still remains to be clarified. Here, the author exmained the mechanisms behind kanamycin-induced skin inflammation in NC/Nga mice. NC/Nga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kanamycin for 7 days consecutively. Blood, spleen, and dorsal skin were taken 18 weeks after kanamycin treatment was stopped. Kanamyc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llergic reaction. The author also observed significant increases of caspase-1 mRNA and protein expression in the dorsal skin of the kanamycin-administered mice compared to the control mice. The increased enzymatic activity of caspase-1 in the dorsal skin of the kanamycin-administered mice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s of IL-1b and IL-18. The productions of IL-1b and IL-18 were also increased in the splenocytes obtained from kanamycin-administered mice. Kanamycin upregulated the TNF-a mRNA expression in the dorsal skin and the TNF-a production in stimulated splenocytes.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kB and degradation of IkBa were increased by kanamycin administra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use of kanamycin during infancy may increase the potential for skin inflammatory reactions through the upregulatoin of caspase-1.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AD) is increasing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changes in lifestyle. Pyeongwee-San (KMP6) is a Korean medicine, which has come onto the drugstore for the treatment of digestive tract disease. Recently, some studies reported that digestive tract disease is closely associated with A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KMP6 could suppress 2,4-dinitrofluorobenzene (DNFB)-induced AD-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The administration of KMP6 or glycyrrhizic acid (GL), major component of KMP6, inhibited the scratching number in DNFB-induced AD model. The mRNA expressions of interleukin (IL)-4, interferon (IFN)-r, tumor necrosis factor (TNF)-a, and CCR3 were up-regulated by DNFB sensitization, but the up-regulated mRNA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administration of KMP6 or GL. In addition, the levels of IgE, histamine, and IL-4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administration of KMP6 or GL in serum of DNFB-induced AD model. Furthermore, KMP6 or G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and protein level of IL-4 in lesions of DNFB-induced AD model. Finally, KMP6 or G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s of IL-4, IFN-r, and TNF-a in anti-CD3 plus anti-CD28 antibodies-stimulated splen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MP6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AD. KMP6 showed anti-atopic potential in these setting; hence the author suggests it as a potential prospect for anti-atopic agent besides just a medicine for the stomach and bowels.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is increasing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changes in lifestyle. Pyeongwee-San (KMP6) is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hich has been using as a basic prescription for digestive disorder. To clarify new efficacy of KMP6 for the treatment of allerg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MP6 and its component, hesperidin (Hes), on experimental allergic models. The anti-allergic effect of KMP6 was studied against compound 48/80-induced systemic anaphylactic reaction and ear swelling response as well as histamine release, intracellular calcium level, and tryptase release from 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s). In addition, human mast cell line (HMC-1) was used to analyze the activity and expression of histidine decarboxylase (HDC).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induced by anti-dinitrophenyl (DNP) immunoglobulin E (IgE) was used. KMP6 and Hes inhibited compound 48/80-induced systemic anaphylactic reaction and ear swelling response as well as histamine release, intracellular calcium level, and tryptase release from RPMCs. KMP6 inhibited the activity and expression of HDC from stimulated HMC-1 cells. In addition, KMP6 inhibited PCA reaction induced by anti-DNP IgE as well as the levels of IgE,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a in serum from mice under PCA. These results suggest that KMP6 might exert anti-allergic effect through not only the inhibition of mast cells degranulation but also the inhibition of histamine synthesis. 아토피 피부염은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 원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일어난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소화기 질환은 흔한 질병으로 잘못된 식습관에 의해 악화된다. 한의학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은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으로 나뉘는데 선천적 원인으로 태중혈열(胎中血熱), 태아태중(胎兒胎中), 모식오신(母食五辛) 등을, 후천적 원인으로는 풍열(風熱), 혈열(血熱), 혈허(血虛) 등의 원인으로 인한 비위(脾胃)의 운화기능(運貨機能) 실조(失調)로 생기는 습열(濕熱) 등을 들 수 있다. 한의학적으로 현대인의 위장관 기능 이상은 아토피 피부염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소화기 기능 이상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 중에 항생제 남용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어린아이는 항생제 남용과 아토피 피부염의 상관성이 높다. 어린 생쥐에 항생제를 경구투여 했을 때 장내 세균 총 손상을 유도하여 면역 체계 균형을 깨뜨린다 하여 저자는 장내 세균 총 파괴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모델을 정립하고자 했다. 3주된 어린 NC/Nga 생쥐에게 kanamycin (6g/kg)을 1주일 동안 매일 경구투여 한 후 18 주 뒤 절취한 등 조직에서 caspase-1, interleukin (IL)-18, IL-1, tumor necrosis factor (TNF)- mRNA 발현을 분석한 바,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또한 nuclear factor-B의 activation과 binding activity 역시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Kanamycin 경구투여 생쥐의 serum에서 histamine과 immunoglobulin E (IgE) level 역시 증가했다. 이런 결과들은 kanamycin이 caspase-1 pathway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함을 암시한다. 항생제에 의해 장내세균 총이 파괴돼 아토피 피부염이 유도 될 수 있는 증거이다. 평위산(平胃散)은 소화불량, 위염, 탄산증(呑酸症) 등의 소화기 질환에 쓰인다. NC/Nga 생쥐에 아토피 유사 피부염을 유발하여 평위산을 경구투여 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scratching 수가 줄었으며, 등 조직에서는 IL-4, interferon-, TNF-, CCR3 mRNA 발현이 감소됐다. Serum에서 IgE, histamine, IL-4 수준도 감소됐다. 평위산은 compound 48/80으로 유도한 systemic anaphylactic reaction과 ear swelling response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compound 48/80으로 자극한 rat peritoneal mast cells에서도 histamine, tryptase, calcium 수준 역시 감소시켰다. 또한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와 A23187로 자극을 한 human mast cell에서 평위산은 histidine decarboxylase의 activity와 발현을 억제했다. 평위산 경구투여 시 anti-dinitrophenyl IgE로 유도한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를 감소시켰고 serum에서 IgE, IL-6, 그리고 TNF- 수준도 감소됐다. 요약하면 본 논문은 동물 모델에서 비위(脾胃)의 손상이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원인임을 규명한 최초의 보고이다.

      • 연속적 시선축에 의해 인식되는 공간지각현상에 관 연구

        나라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Constructional space is not a fragment or uniform. It shall have the possibility of perceptional change where the people who experience the space can make multiple images so that they can have abundant continuing and interesting spatial experiences. This possibility can be found i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al space and spatial perception. We understand the space through experience. Understanding the space means the perception of the elements that compose a space. The perception is divided into the visual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and sensual perception. This article shall deal with the eyesight perception perspective. Spatial perception is to experience a certain thing through sensual organs. It is shown not as fragment but as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matter. Visual continuation means being connected, mutual relationship or flow. Comprehensively speaking, the continuation of the space means the continuation of spatial experience so to speak the continuation of the visual sense. The visual sense elements that compose the space can be divided into viewing point, the object to be seen and the light. Based on them, the eyesight axis is made, which is based on the elements composing of the space and the principle by which they are perceived, the visual perception principle. The followings are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principle applied to building structures. 1. Principle of Subject-Background : It is the basic background upon which other principles are perceived. It brings changes in senses through the changes in the elements sensed with the purpose of various sensory effects. 2. Principle of Uniformity : It makes the sense of rhythm or restricts the area through regular and repetitive arrangement of the same elements with the purpose to induce the movement line at main entrance. 3. Principle of Emphasis : It uses independent elements to emphasize or symbolically suggest a specific space, g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composes the hierarchical order. 4. Principle of Balance : It composes basic system to understand the space and makes the center through symmetry, asymmetry and radial shape balance. 5. Principle of Scale : It gives the orientation of the space, uses the scale change to make non-gravity expressions and composes sense of tension and instability by using the changes in the scale. 6. Principle of Proportion : It composes basic order system that composes the space by grid or module and places the possibility of various changes from the stability. Although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according to the visual perception principles respectively, most of them are not analyzed as an independent space with one principle. Mixed principles are used in one space. This article is about the spatial perception theory that allows more abundant sense of space using visual continuation. We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he axis by visual perception theory and the perception effects, and applied the analysis result to the space to implement the effects of the continuation. The perception and effects of visual continuation composes the sense of unity based on the memory, which means understanding the whole space by composing one order in various spatial configuration elements. 건축공간은 단편적이거나 일률적인 것이 아니라 공간의 경험자가 다수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지각변화의 가능성이 있어서 지속적인 공간경험이 풍부하고 흥미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건축공간은 아주 특별한 무엇인가가 존재하여 흥미로운 것이 아니라 특별한 것이 아닐지라도 그것을 달리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건축공간과 공간 지각의 상호관계 속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공간은 경험을 통해 파악하는 것으로서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를 지각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각은 크게 시지각과 심리적 감각적 지각으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은 시지각의 측면에서 다루어지며 시지각 원리는 대상-배경의 원리, 통일성의 원리, 강조의 원리, 균형의 원리, 규모의 원리, 비례의 원리로 구분되어지며 이러한 시지각 원리를 통해 연속적인 공간 인식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지각 현상을 살펴보도록 한다. 공간 지각은 인간이 감각기관을 통하여 어떠한 사물을 경험하는 것으로서 단편적인 것이 아니라 연속적이고 종합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시각적 연속은 끊어지지 않고 연결됨, 상호간의 관계 혹은 흐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종합하여 볼 때, 공간의 연속은 공간 경험의 연속으로 이는 시지각의 연속을 의미한다. 하지만 시지각은 연속적인 것이 아니고 단편적인 것으로서 이러한 단편적 시지각은 기억을 바탕으로 하여 재구성된다. 따라서 시지각의 연속은 기억 잔상의 합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간을 구성하는 시지각 요소는 크게 시점, 시각대상 그리고 빛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시선축이 형성된다. 시선축은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와 그들이 지각되는 원리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이 지각되는 원리가 바로 시지각 원리이다. 시지각 원리는 게슈탈트 형태심리학에 바탕을 둔 것으로서 평균의 원리와 단순화의 원리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사물이나 공간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전체적인 모습과 부분과의 관계를 통해 체계 혹은 구조를 파악하려는 특성을 말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건축물에 적용된 시지각 원리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대상-배경의 원리 : 다른 원리들이 인식되는 기본적인 배경으로서 다양한 지각 효과를 목적으로 하여 지각대상의 변화를 통해 지각의 변화를 가져 온다. 2. 통일성의 원리 : 주출입구 부분의 동선 유도를 목적으로 하여 동일 요소의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나열을 통해 리듬감을 형성하거나 영역을 한정한다. 3. 강조의 원리 : 특정한 공간을 강조하거나 상징적으로 암시하기 위해 독립된 요소를 사용하여 공간의 장소성을 부여하고 위계적 질서를 형성한다. 4. 균형의 원리 : 공간 이해를 위한 기본적인 체계를 형성하고 대칭, 비대칭, 방사형의 균형을 통해 공간의 중심을 형성한다. 5. 규모의 원리 : 공간의 방향성을 부여하거나 탈중력적 표현을 위해 스케일의 변화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긴장감과 불안정성을 표현한다. 6. 비례의 원리 : 그리드 혹은 모듈에 의해 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질서 체계를 형성 하여 안정적인 가운데 다양한 변화의 가능성을 둔다. 각각의 시지각 원리에 따라 이와 같은 특성을 찾아볼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독립된 하나의 원리로서 공간이 분석되는 것이 아니라 단편적인 시지각의 합으로서 이해되듯이 여러 가지 원리가 복합되어 이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공간 구성 요소와 시지각 원리의 상관관계로서 공간 지각에 따른 공간감의 변화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연속성을 바탕으로 한 공간 지각 현상을 고려한 공간을 계획한다. 본 논문은 시각적 연속을 이용하여 보다 풍부한 공간감을 지각할 수 있는 공간 지각 이론에 관한 연구로서 시지각 원리에 의한 축의 형성과 그에 따른 지각 효과를 분석한 후, 공간에 적용하여 연속의 효과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시각적 연속의 지각과 효과는 기억에 근거한 공간적 통일감을 형성하는 것이고 이는 다양한 공간 구성 요소 속에서 하나의 질서를 형성하여 전체 공간을 이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Regulatory mechanism of IL-6 production by phenethyl isothiocyanate of Nabokgeun (Raphanus sativus Linn.) in HMC-1 cells

        나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Phenethyl isothiocyanate (PEITC)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섭취해온 십자화과에 속하는 식물에 존재하는 유기황활성 성분이다. 십자화과에 속하는 나복근 (蘿&#33748;根) 또한 PEITC를 함유하고 있다. 여러 실험모델에서 PEITC의 항암 활성과 혈관 생성 억제 효과가 보고됐다. 하지만 지금까지 PEITC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조절 효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저자는 인간 비만세포주 (HMC-1 cells)에서 나복근과 PEITC의 항염 효과를 조사하였다. 나복근과 PEITC는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와 A23187로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인터루킨 (interleukin; IL)-6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특히 나복근 0.01 mg/ml 농도에서는 IL-6의 생성을 약 31.64 ± 2.10%정도 유의성있게 억제하였고 PEITC 4 μM는 41.37 ± 3.28% 억제하였고 (P < 0.05) IL-6 mRNA의 발현도 억제하였다. PMA와 A23187로 자극된 HMC-1 세포의 핵내에서는 핵인자 (nuclear factor; NF)-κB/Rel A 단백의 발현이 증가되는 반면, PEITC를 전처리 한 세포의 핵내에서는 NF-κB/Rel A 단백의 발현이 억제됐다. 그리고 PEITC는 세포질에서 IkBα의 분해를 억제하였다. 더욱이 PEITC는 PMA와 A23187로 자극된 HMC-1 세포에서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38과 extracellular-regulated kinase p44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나복근과 PEITC가 비만세포 매개성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공예소재로서의 고분자복합재료 연구 :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중심으로

        나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Composite materials refer to at least two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designed to satisfy engineering needs by counteracting the flaws of each material us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materials with polymer (high molecule) matrix are called‘polymeric matrix composites’(PMC). The most representative type of them i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Polymer matrix composites counteract the flaws of a single polymer material, the weak mechanical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and maintain its strengths such as corrosion resistance, formability, lightness, and cost-effectiveness. In addi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they can be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areas, making polymeric matrix composites attractive enough to be used in numerous fields of modern society. However, polymeric matrix composites are mostly perceived as an engineering material in Korea, prompting this study to explore their the potential as a crafts material. This study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history of polymeric matrix composites since the emergence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in 1940 is described, and the research and explanation were done with focus on well-known fiber reinforced plastics to mitigate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technical terminology, 'polymeric matrix composites'. In addition, a chair made with polymeric matrix composites was introduced as an example. Furthermore, to verify their suitability as a crafts material, they were actually used in making furniture, plates, ornaments, and interior accessories that are prolifically produced in the crafts industry. The focus was molding process and components, considering the different creation methods from existing crafts works. As a resul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polymer composites were identified as aesthetic representation methods of crafts creation. First, polymeric matrix composites have functional benefits such as lightness and durability. Seco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materials, colors, and texture. Third, production of polymeric matrix composites can be processed manually. The three characteristics above are shared with general crafts materials, suggesting the suitability of polymeric matrix composites as a crafts material.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nctional aspects including weight and durability and aesthetic aspects including surface texture, color, and luster,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components and molding methods. Although such aspects are different from general crafts materials, they can be perceived as an advantage that provides diversity to the aesthetic representation methods of crafts. In conclusion, polymeric matrix composites make it possible to create shapes that cannot be created by general crafts materials through diverse combination of components and satisfy the unique function above a certain level. It confirms the value of polymeric matrix composites as a crafts material. 복합재료란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재료를 짝 지워 일체화 해, 각각의 재료의 특성을 살려 결점을 보완함으로써 공학적 요구를 만족시키려는 재료이며 , 이 중 고분자를 기지(Matrix)로 한 것을 고분자복합재료라고 한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이다. 고분자복합재료는 단일 고분자소재가 가진 단점인 기계적강도, 내열성을 보완하며 장점인 내식성, 성형성, 경량성, 경제성은 유지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재료의 사용으로 인한 성능향상과 다분야의 적용이 가능하여 현대사회의 수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고분자복합재료는 공학재료(Engineering Material)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예소재로써 고분자복합재료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1940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등장 이후의 고분자복합재료의 역사를 서술하고, 고분자복합재료라는 전문화된 용어에서 오는 심적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는 고분자복합재료인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위주로 조사 및 설명하였다. 또한 사례로 고분자복합재료로 제작된 의자를 예시를 들었다. 그리고 공예소재로써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공예에서 많이 제작되는 가구, 기(器), 장신구, 인테리어 소품으로 실 제작 하였다. 기존 공예와의 작업방식의 차이를 고려 성형과정과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춰 전개했다. 그 결과 고분자복합재료는 공예의 미적 표현방식에 있어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첫째, 경량성, 내구성 같은 기능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재질 및 색상, 질감 에서 오는 미적특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가공 방식에 있어 수공생산으로도 가공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세 가지 특성은 일반적인 공예소재들이 가진 특성과 같으며 이는 고분자복합재료의 공예소재로의 적절성을 시사한다. 넷째, 구성요소의 조합과 성형방법에 따라 중량, 내구도 등의 기능적 측면과, 표면 질감, 색상, 광택 등 미적측면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일반적인 공예소재의 특성과 다소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나 공예의 미적표현방식에 있어 다양성을 부여해 줄 이점으로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고분자복합재료는 다양한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일반적인 공예소재로는 불가능했던 형상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해당 기능을 일정 이상 충족시킬 수 있다. 이는 공예소재로서의 가치가 보이는 점이다.

      • FTAA의 發展展望과 韓國經濟의 對應方案

        나라 西江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급변하는 세계경제의 흐름은 세계화나 지역화와 같은 다양한 새로운 조류를 탄생시키고 있다. 북미와 중남미 지역은 세계경제 환경의 변화에 틀에 맞물려 다른 지역보다 급속한 변화의 흐름을 타고서 그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의 전 대통령인 부시의 EAI에서 비롯된 FTAA에 대한 의욕적인 출발은 북미지역에서의 NAFTA 형성이라는 결실을 맺으면서 북미지역 중심의 FTAA 출범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에 대하여 남미지역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를 주축으로 한 Mercosur를 중심으로 하여 NAFTA 세력에 상대적인 협상력 우위를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황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지 지역경제협력체와의 협력과 공조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둘째, 우리나라의 국내 반발을 고려하여 교역보완성이 높은 시장을 지닌 업종을 중심으로 중남미 지역과 경제협력을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토양의 마련과 우리 기업에 대한 투자지원이 요구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셋째, 이러한 노력과 아울러 우리와 인접한 국가들과 공동보조를 맞추어 상대적으로 왜소한 우리의 협상력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정부의 노력과 함께 우리 기업에 요구되는 사항으로 첫째, 북미지역에 편중된 대기업의 제조업 중심 투자를 중남미 지역으로 확대하고, 중소기업의 투자 진출을 촉진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 요구된다. 둘째, FTAA 국가에 대한 해외직접투자를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국내 기업의 기존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함께 넷째, 후발개도국에 쫓기고 있는 상품을 차별화할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느낀 점은 우리 정부나 기업의 미주지역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지나치게 북미지역에 편중되어 중남미 지역이 소외되고 있어 전반적인 FTAA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비점으로 남았으나 차제에 FTAA나 SAFTA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비점이 보완되어 산업별, 품목별 실증분석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국내 기업의 미주 경제권 진출에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launching of WTO, the competition among the countries have been more fierce. And recently, the fluctuations of world economy are creating new trends such as globalism and regionalism. Globalism in international trade has been strengthening since WTO became effective in 1995, and regionalism with a view to a preferential trade and policy cooperation among neighboring countries has been spreading. Under this change in the economic order, it is indispensable for Korea to strengthen the economic cooperation such as the economic integration to avoid isolation in world economy, and develop steadily in the future. North and South American countries are leading group of these globalism and regionalism. Bush, ex-president of U.S., declared EAI(Enterprise for the Americas Initiatives) that was resulted in NAFTA, and made a foundation of FTAA which is leaded by North America. On the other hand, South American countries leaded by Mercosur are trying to get more negotiation power in FTAA negotiation. Korea have experienced opportunity failure through UR and EU because of absence of enough preparations, so we need to make efforts to prepare FTAA before it starts. If FTAA starts as planned in 2005, the potentials of all area of America will be nearer to possibility and it means another chance or crisis for exporting and local Korean firms. I suggested three factors needed by Korean government. First, it is needed that Korean government have to cooperate with regional agreements in north and south America to build a foundation that Korean firms get access easily to new FTAA markets. Second, Korean government have to search for substitutional market and industries in American area avoiding internal conflict in Korea. Third, it is needed to raise negotiation power by cooperating with neighbor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With government, Korean firms need following factors. First, Korean firms have to make more interests in not only north but also other area of America, expanding investments to middle and southern America. Especially middle and small companies need to increase investments to these area. Second, it is needed to exp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FTAA countries. Third, Korean companies have to try escalate Korean brand image and forth, we need to differentiate our goods with ones of other developing countries. General understanding of FTAA is hardly spread in Korea, because Korean government and firms have too much interests in north America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but not in middle and south America. Therefore in this study, empirical survey and data differentiated by industries and goods were insufficient. If empirical survey for industries and goods is proceeded, it may be useful source for exporting and local Korean firms preparing strategies for FTAA.

      • 방사선 투과촬영을 활용 철불의 손상도 평가 및 제작기법 해석

        나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63호),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보물 제1292호) 및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보물 제567호)은 통일신라~고려시대에 조성된 철불이다. 이 철불좌상 3좌는 과거에 보존 및 복원 처리를 실시 한 기록이 있으나, 현재에도 표면부식, 균열 및 오염물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방사선 투과촬영법을 적용하여 철불 내부의 상태 조사와 내부 구조적인 정보를 획득하였으며, 이를 통해 내부 손상도를 평가하고 제작기법을 해석하였다. 내부 손상지도 작성 및 종합 손상율 산출 결과,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의 주요 손상요인은 균열, 탈락(1.25%), 기공(0.43%) 및 복원물질(1.24%)이었다.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의 경우, 불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손상유형은 이격(1.03%)으로, 왼쪽에 집중되어 있고 넓은 범위에 계속적으로 연장되어있다.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은 다른 불상에 비해 기공(0.93%)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가슴 왼쪽에 기공, 탈락(1.77%) 및 균열이 집중되어 나타났다. 불상 내부의 균열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도식화한 결과,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의 균열지수는 최소값 0.29, 최대값 2.05 (평균 1.06)로 산출되었다.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은 최소값 0.05, 최대값 1.12 (평균 0.73)로 산출되었으며,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은 최소값 0.02, 최대값 1.81 (평균 0.65)이었다.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의 균열지수가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며, 이는 불상 몸체에 발생한 균열 주변으로 미세균열이 다수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적외선 열화상분석을 통해 귓불의 복원 범위를 확인한 결과,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의 양쪽 귓불은 ‘U’자형으로 복원되었으며,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은 양쪽 귓불이 ‘J’자형으로 복원되었다.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의 양쪽 귓불은 ‘凸’자형으로 복원되었으며, 복원부는 약 20~30%의 범위를 나타냈다. 목재로 일부 복원된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의 초음파 속도 측정 결과, 불상의 오른팔은 최저 794㎧, 최고 2,882㎧(평균 1,575㎧)로 나타났으며, 오른손은 최저 1,227㎧, 최고 2,398㎧(평균 1,993㎧)로 측정되었다. 오른다리 전면의 초음파 속도는 최저 417㎧, 최고 3,145㎧(평균 1,806㎧), 후면은 최저 769㎧, 최고 2,353㎧(평균 1,461㎧)로 측정되었으며, 우면은 최저 820㎧, 최고 1,828㎧(평균 1,365㎧)였다. 측정된 초음파 속도의 2D 모델링 결과, 목재로 복원된 오른팔, 손가락, 다리 일부의 내부 물성 상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불상의 내부구조를 확인한 결과,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에서는 불상의 목에서부터 가슴까지 이어지는 철심이 확인되었다. 또한 주조당시 외?내형틀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2개의 못도 관찰되었다.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은 내부구조가 확연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불상의 목 부분에서 금속으로 추정되는 끈이 발견되었다.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의 중심에서는 불상 전체를 잇는 철심이 확인되며, 목재로 복원된 오른팔을 고정시키고, 불상과 대좌를 결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못이 다수 관찰되었다. 표면에서 이음선이 확인된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의 외형틀 제작기법 추정결과, 도피안사 철불은 전면, 후면, 측면을 각각 2부분으로 분리하여 총 6조각으로 제작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삼화사 철불은 두상 3부분, 전면 몸체 3부분, 양팔 각 2부분, 하단부 8부분 및 후면 3부분으로 구분하여 총 21조각이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은 철제의 안정화 및 강화처리가 실시된 바 있으나, 현재에도 표면부식 및 오염물 피복이 진행 중이다. 또한 개금 된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은 개금부의 박락과 철제의 균열 등 손상이 가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균열부의 접합 및 표면의 안정화와 강화처리 필요하다.

      • 비서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나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secretary self-efficacy and considered what are the components and processes of secretary self-efficacy through reference to literature. A literature review on preceding research and job analysis of secretaries provided the basis for components of the secretary self-efficacy construct, which were used as the basis for item construction. Literature review and job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3 components of secretary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ithin 10 job-related areas. On the basis of these sub-components, 60 items were constructed. The preliminary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was administered to 207 secretaries. The responses of 192 secretaries on the preliminary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were then analyzed. Item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appropriate items and common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the subcomponents of the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s a result, 24 items were select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modified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145 secretaries and the responses of 140 secretar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4 final items were confirm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final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proved to be acceptable (self-confidence: .79, self-regulatory efficacy: .82, task difficulty preference: .83).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ub-scores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conducted for construct validity. To find the difference in secretary self-efficacy according to respons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e-way ANOVA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and a post-hoc test was done using the Scheffe tes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비서의 전반적인 직무 상황에서 직업적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특수적인 자기효능감으로서의 비서 자기효능감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기효능감 및 비서 직무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 구인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 척도 문항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예비 척도 문항들은 예비검사 자료의 문항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되었다. 수정된 척도를 통해 실시한 본검사 자료를 분석하여 최종 척도의 요인 구조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본검사 실시시에 함께 시행한 일반적 자기효능감과의 상관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비서 자기효능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서울 근교에 위치한 회사에 근무하는 비서 352명이었다. 우선, 비서 자기효능감 예비척도는 207명의 비서에게 시행하였으며, 이 중 192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예비 척도의 분석을 통해 수정된 비서 자기효능감 척도는 예비 시행 때와는 다른 145명의 비서에게 시행되었으며 이 중 14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라는 세 가지 구인을 비서 자기효능감의 잠정적인 구성 요인으로 정의한 후 비서 직무에 대한 문한고찰을 통해 비서 직무 내용을 전화응대, 방문객응대, 경조사업무, 일정관리, 회의관리, 출장관리, 사무환경정비, 문서관리, 회계업무, 개인신상 보좌업무로 세분화하였다. 그 후, 내용 타당도의 검증 과정을 거쳐 세 가지 구성요소와 열 가지 직무 내용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총 60 문항(자기조절효능감 20문항, 자신감 20문항, 과제난이도 선호 20문항)의 비서 자기효능감 예비 척도를 제작하였다. 둘째, 예비검사 자료의 문항 분석을 통하여 1차적으로 비서 자기효능감 예비 척도의 60문항 중 12문항이 제거되었다. 그 후 적합한 요인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명명할 수 있는 세 개의 요인이 산출되었다. 요인수를 세 개로 지정한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각 문항의 요인 부하량을 검토한 후 21문항이 제거되었으며, 27문항으로 수정되었다. 셋째, 본검사에서는 다시 직무 내용 영역별 문항 수 조정을 통해 최종 선정된 24문항이 예비검사 시행 때와는 다른 집단에 시행되었으며, 문항 분석과 요인 분석을 통해 24문항의 최종 비서 자기효능감 척도가 완성되었다. 총 24문항 중 자기조절효능감이 9문항, 자신감이 7문항, 과제난이도 선호가 8문항이었으며, 구성 요인별 신뢰도는 내적적합치도(Cronbach's ⍺)가 자기조절효능감 .82, 자신감 .79, 과제난이도 선호 .83으로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넷째, 개발된 비서 자기효능감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서 자기효능감 척도와 이론적으로 관련있는 척도이며, 대단위의 연구를 통해 교차타당도와 구인타당도가 확보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김아영, 1997)와 비서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 척도 점수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척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비서 자기효능감 척도에서 대응 되는 하위 척도간 상관은 .76~89으로 높은 상관을 보여 수렴타당도를 보이고 있으며 대응 되지 않는 하위 척도간에는 낮은 상관을 보여 변별타당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를 통해 두 척도의 구성요인이 관련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비서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근무 연수가 오래될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비정규직보다 정규직이, 팀 비서보다 임원 비서가 비서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전공, 비서교육 참가여부 및 직장 형태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비서 자기효능감의 측정은 비서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은 비서들에게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에 참가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시행을 통하여 실질적인 증진이 있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비서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의 초기 연구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보다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한 검증 과정을 거쳐 좋은 내용으로 수정되길 기대하며, 비서 자기효능감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