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간말 비음 뒤 경음화 실현 양상 및 특성

        학수(Hao, Shuai),안성민(An, Sung-min) 한국언어문학회 2021 한국언어문학 Vol.119 No.-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and educational suggestions for Mongolian Korean learners to teach the pronunciation of post-nasal tensification.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pronunciation of post-nasal tensification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Mongolian learners, and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ensification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ensification rate of sentence utterance was higher than that of word uttera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ficiency level. In word utte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The pattern of tensification in verbs and nouns was differ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jugation of ‘an-’ and ‘al-’. The length of the syllable or the frequency of word use did not affect the pronunciation of the tensification. The error rate was higher when the preceding element was a double consonant than when it was a single consonant. It was found that the error rate of the trailing element was higher when it was a connective ending than when it was an auxiliary verb.

      • KCI등재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 요인 분석

        안성민 ( An Sun-min ),학수 ( Hao Shuai )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6 No.-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가 경험하는 읽기 불안의 양상과 요인, 그리고 학습자의 성별, 언어 학습 과정에 따른 불안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읽기 불안 의 측정은 외국어 읽기 불안 척도(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 FLRAS)를 활용하여 109명의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측정 결과 초급 학습자는 읽기 불안의 평균 점수가 2.95이며 중간 수준의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 요인 분석 결과, ‘낯섦에 대한 불안’, ‘자기 효능감 불안’, ‘읽기 전략 부족 불안’ 총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그중 ‘자기 효능감 불안’의 불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낯섦에 대한 불안’ 요인이 가징 낮은 불안도를 보였다. 읽기 불안과 각 문항 및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르는 것에 관한 문항들이 전체 읽기 불안과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요인별로는 ‘자기 효능감 불안’이 모든 요인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과 언어 학습 과정에 따른 불안에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에 주목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로 초급 학습자의 읽기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dealt with the patterns and factors of reading anxiety experienced by beginner Korean learners and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course. Reading anxiety was measured by 109 foreign learners using the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FLRAS). As a result of this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beginner learners had an average score of 2.95 for reading anxiety, which demonstrated an intermediate level of anxie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nxiety factor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nxiety about unfamiliarity', 'anxiety of self-efficacy', and 'anxiety of lack of reading strategies'. Among them, 'self-efficacy anxiety' was the highest, and the 'anxiety about unfamiliarity' factor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nxiety and each question and the factor, it was found that questions about what learners didn't know ha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overall reading anxiety. Moreover the factor 'self-efficacy anxie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reading anxiety. Overall anxie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course they tak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to reduce the reading anxiety of beginner Korean learners.

      • KCI등재

        언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도 및 구성 요인 분석

        안성민(Sung-min An),학수(Shuai Hao) 동남어문학회 2023 동남어문논집 Vol.1 No.55

        이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양상을 살핌으로써 말하기 불안의 하위 요인을 분석하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불안 차이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어 초급 학습자 11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불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불안의 구성 요인은 ‘자기 효능감 불안’, ‘이해 실패 불안’, ‘부정적 평가 불안’으로 나타났다. 전체 말하기 불안과 각 문항 간 상관분석에서는 제2 언어 교실 상황에서 갑자기 일어나는 말하기 상황 관련 문항들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구성 요인 간 상관분석에서는 ‘자기 효능감 불안’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과 한국어 과정에 따른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에 주목하였으며 학습자 특성에 따른 불안 차이를 분석하고 그 양상 및 특성을 정리하여 말하기 교육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ub-factors of speaking anxiety and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aspects of Korean speaking anxiety among Korean learn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10 foreign students at K University on Korean speaking anxiety. As a result of the survey, Korean speaking anxiety of Korean learners was low, and the constituent factors of anxiety were “self-efficacy anxiety,” “understanding failure anxiety,” and “negative evaluation anxiet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verall speaking anxiety, each question, and factor anxiety, it was found that the sudden speaking situation and related questions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situation were most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xiety” in factor-specific anxie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Korean speaking anxiety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the Korean language courses they take. This study focused on the speaking anxiety of Korean learners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