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의 광역경제권 추진정책 분석

        하혜수(Ha Hye-Soo),김남일(Kim Nam-Il)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 지방정부연구 Vol.13 No.2

        이 글은 영국의 광역경제권 추진기구인 RDA를 분석하고 정책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RDA를 분석하기 위하여 정책연계 및 협력, 지방분권(권한과 재원의 이양), 주민자치(거버넌스와 주민직선 대표구성), 성과확보 등의 4가지 기준을 사용하였다. 정책연계 및 협력 측면에서 RDA는 중앙-지방정부간 정책연계 및 지자체간 협력 강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는데, 자치단체에서 지역경제관련 기능을 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방분권 측면에서 RDA는 지역경제정책 수립권과 재정지출의 재량권을 이양받았지만 자치단체로서의 성격이 부족하여 중앙부처의 추가적인 권한이양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자치 측면에서 RDA는 중앙정부-지방정부-시민사회간 거버넌스 구축에 기여하였으나 주민직선의 의결기구 및 집행기구 구성실패로 인해 주민참여 및 주민자치 확보성과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성과확보 측면에서 RDA는 재정지출, 기대충족도, 감사원의 성과감사 등에서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낙후지역에 대한 투자, 지역 내 격차완화 등에 있어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the Regional Development Agency(RDA) in England and to draw usefu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etropolitan economic region policy. The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s of RDA in terms of the following criteria: (1) policy linkage and cooperation between central-local governments, among local governments, (2) local decentralization (devolution of central authority and finance to local governments), (3) citizen participation and self-government, (4) output and outcome. In policy linkage and cooperation, RDA was considered to contribute and promote the policy linkage of central-local governments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In local decentralization, RDA has exercised authority of the regional economic policy-making and the related expenditures, but didn't get the status as a local government, thereby with producing the insufficient decentralization. In citizen participation and self-government, RDA contributed to building the multi-governance among central-local-civil society, but didn't enhance the level of citizen's self-government by failing to constitute the regional assembly and executives through the citizen's direct election. In output and outcome, RDA showed a considerable performance with regards to financial expenditures, achievement of criteria, and evaluation of the General Account Office, but a low performance in the aspects of investment to underdeveloped areas and balancing of intra-regional disparity.

      • KCI등재
      • KCI등재

        국내산 미역의 수출 활성화 방안

        백은영 ( Baek¸ Eun-young ),김기완 ( Kim¸ Ki-wan ),하혜수 ( Ha¸ Hye-soo ),김대영 ( Kim¸ Dae-young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3

        미역은 연간 60만 톤 내외가 양식되는 수산물로 미네랄, DHA, 리놀산, 섬유소, 비타민 등 40여 종의 영양소가 함유된 건강식품이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만 생산과 교역이 이루어져 왔다. 과거보다 미역 수출대상국이 다양해졌지만, 우리나라 미역의 주 수출대상국은 여전히 일본으로 전체 수출량의 약 60%를 차지한다. 최근, 해조류가 건강식품으로 소비자들에게 재조명되면서 세계 각국에서 미역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미역 소비를 기피하던 서양인들 사이에서 해조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기 시작했으며, 한류 확산 덕분에 건강식품의 대명사로 각인되고 있다. 2019년 미역 수출량 및 수출금액은 2018년 대비 각각 4.3%, 7.1% 증가했으며, 미역 수출대상국도 일본과 중국을 비롯해 베트남, EU, 러시아, 호주, 캐나다 등 64개국(2019년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조류 중 김 다음으로 수출 실적이 많은 미역(4,000만 달러, 2019년 기준)을 대상으로 수출 확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미역의 기초 통계를 기반으로 생산 및 수출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했다. 기초통계 문제(세계 미역 생산량 편차, 식용과 비식용, 수출통계의 적용 수율과 위탁가공용 이중집계), 일부 국가의 높은 수출 의존도, 원산지 위조 등을 지적했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관련 기초통계 개선, 수출 전략 수립 및 맞춤형 제품개발, 원산지 표시강화 등을 위한 인증 확대와 노력 등을 제안했다.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is a well-known cultured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with an annual production of around 600,000 tons. It is considered to be a healthy food containing 40 kinds of nutrients such as minerals, DHA, linoleic acid, fiber, and vitamins. Nevertheless, sea mustard has been mainly consumed in some Asian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and Japan. Even though the importing countries of sea mustard have recently become more diverse than in the past, South Korea’s exports of sea mustard to Japan still account for nearly 60% of total exports. However, as seaweed has been re-focused on consumers as an healthy food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it is continuously increasing around the world. Westerners who have been avoiding seaweed to eat have recently started to properly evaluate the value of seaweed, and sea mustard is also as an iconic Korean healthy food owing to the so-called ‘Korean wave’ around the world. Following the latest trade data on South Korea, exports of sea mustard increased by 4.3 percent by volume and 7.1% by value to 127,000 tons valued at 40 millions USD from 2018 to 2019. Sea mustard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export commodity in value terms after dried seaweed(valued at 580 millions USD) among seaweed species. South Korea exported sea mustard to 64 countries in 2019 including Japan, China, Vietnam, the EU, Russia, Australia and Canada, and the number of sea mustard importing countries from South Korea continues to grow compared with a decade ago. Despite its importance, few studies on seaweed, especially sea mustard, have been conducted so fa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domestic sea mustard industries from production and exports data and to figures out the problem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upply and demand. On that basis, this study suggests the export promotion plan of sea mustard in South Korea. The analyzed data brings up some problems: the errors of basic statistics which is related to sea mustard exports such as the variation in world seaweed production among the different sources, the segregation of edible and non-edible sea mustard, the inaccurate yield rate, and the double counting of processed products. Moreover, South Korea’s sea mustard export industry heavily dependent on a small number of countries and there are several cases of the falsification of the country of origin. To impro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t is propos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tatistics, to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for sea mustard, to develop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nd to strengthen the labeling of the country of orig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