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탄올 농도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의 영양성분 변화

        원범영(Beom Young Won),신기영(Ki Young Shin),하현지(Hyun Jee Ha),윤여상(Yeo Sang Yun),김예리(Ye Ri Kim),이형근(Hyung Gu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는 미나리의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에탄올추출 농도가 미나리의 영양학적 성분 변화에 미치는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진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열수추출물, 에탄올추출물(50%, 80%, 95%)로 추출 농도를 다르게하여 미나리를 추출하였다. 수율을 측정한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4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50% 에탄올추출물에서 단백질 함량이 6.76%, 탄수화물 함량이 19.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 함량은 열수추출물과 비교하여 에탄올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에탄올추출 농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P<0.05). 식이섬유를 측정한 결과, 50% 에탄올추출물을 제외한 에탄올추출물(80%, 95%)에서 열수추출물과 유의차가 나타났으며(P<0.05), 두 실험군 간에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총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에 대해 에탄올추출물은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고(P<0.05), 에탄올 농도에 따라서도 유의차를 나타냈으며(P<0.05), 95%에탄올추출 시 5.35%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비타민 A함량은 열수추출물에 대해 에탄올추출물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에탄올추출 농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P<0.05). 무기성분 측정 결과, 나트륨, 칼슘, 철의 경우 열수추출물에 대해 에탄올추출물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에탄올추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에탄올추출 방법을 사용 목적에 따라 적용함으로써 미나리를 이용한 우수한 가공식품 개발가능성과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extracts depending on the ethanol concentrations. Extractions were performed with hot water, 50% ethanol, 80% ethanol, and 95% ethanol for 4 hours. Changes in yield, as well as total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fat, total dietary fiber, free sugar, and mineral (Na, Fe, and Ca) contents were investigat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of ethanol extracts was 44.67% in 50% ethanol extract of dropwort. Crude protein content reached a maximum of 6.70% while carbohydrate content was highest at 19.6%, in 50% ethanol extract of dropwort. Crude fat content irregularly increased according to ethanol concentration as compared with hot water extract. Total dietary fiber content decreased in ethanol extract, but these changes were not concentration-related. Total sugar contents were highest in hot water and 80% ethanol extracts. Vitamin A content of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hot water extract. Mineral (Na, Ca, and F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ethanol extract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ethanol, whereas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in ethanol extract than in hot water extract. Based on this study, ethanol extract of dropwort is more efficient for development of desirable processed foods.

      • SCOPUSKCI등재

        알츠하이머질병 모델동물인 Tg2576 마우스를 이용한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의 기억력 개선 효능

        원범영(Beom Young Won),신기영(Ki Young Shin),하현지(Hyun Jee Ha),장근아(Keun-A Chang),윤여상(Yeo Sang Yun),김예리(Ye Ri Kim),박용진(Yong Jin Park),이형근(Hyung Gu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6

        본 연구는 천연 식물이 기억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총 7가지 식물에 대하여 아세틸콜린분해효소 활성 억제력을 측정하였다. 특히 미나리 알코올추출물(18.76%)의 억제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에 대한 추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Tg2576 마우스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미나리 알코올추출물 50 mg/kg으로 3개월간 경구투여 후 수동회피테스트로 인지기능변화를 측정하였고, 뇌 속의 아세틸콜린분해효소 활성 억제, 베타아밀로이드1-42 단백질 생성 억제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동회피 테스트에서 미나리추출물을 투여한 Tg 마우스군은 181.77초로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Tg 마우스군과 비교하여 머무름 시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게 나타났다. 베타아밀로이드1-42 단백질 농도 측정 시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에 의하여 축적 농도가 985.19 pmol/g으로 감소하였으며,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Tg 마우스군과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추가적인 효소억제력 실험 결과,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의 아세틸콜린분해효소 활성억제에 대한 50% 활성억제농도(IC<SUB>50</SUB>)값은 991.77 μg/mL로 나타났으며, Lineweaver-Burk Plot 결과, 무경쟁적 저해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은 Tg2576 형질전환 마우스의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며, 콜린성 신경시스템을 보호하는 물질로 판단된다. 미나리 알코올추출물은 기억 및 학습 증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천연식물로써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한 미나리 소재의 다양한 기능성제품 개발과 부가가치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s on memory improvement by focusing on their cholinergic functions in Tg2576 mice. Seven herbs were used to obtain extracts by using alcohol and water. In screening test for cholinergic activities of the extracts,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was highly inhibited in Oenanthe javanica alcohol extract (OJAE, 18.76%) as compared with the others. The OJAE-treated Tg2576 (Tg-OJAE) group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of latency time in passive avoidance test. Also,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Aβ1-42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g-OJAE groups compared to non-treated Tg2576 groups. In the additional enzyme test, it was found that IC<SUB>50</SUB> of OJAE was 991.77 μg/mL and OJAE acted as an uncompetitive inhibitor of AChE. Therefore, it seemed that OJAE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for memory improvement.

      • KCI등재

        미나리 추출물의 기억력 손상 억제와 산화스트레스 억제 효과 및 Isorhamnetin 분석

        원범영(Beom Young Won),신기영(Ki Young Shin),하현지(Hyun Jee Ha),위지향(Ji-Hyang Wee),윤여상(Yeo Sang Yun),김예리(Ye Ri Kim),박용진(Yong Jin Park),정경옥(Kyoung Ok Jung),성혜미(Hea Mi Sung),이형근(Hyung Gu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는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주로 상용하는 미나리에 대해 기억력 관련 효과와 항산화 효과, 미나리 추출물의 flavonoid 중 isorhamnetin을 분석하여 기능성식품 개발 및 이용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28.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주미나리 추출물 25.11%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SH-SY5Y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DMSO와 비교하여 화순미나리 추출물 37.23%와 나주미나리 추출물 36.68%로 세포사멸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동회피실험 결과 scopolamine 처리에 의해 기억력이 손상된 동물모델에서 미나리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vehicle control보다 latency time이 높게 나타났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화순, 나주, 의령 미나리 추출물 모두 미나리 처리 그룹군 간에도 유의적 차이가 있었고(P<0.05),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총 폴리페놀 함량 117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30 mg GAE/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TBARS 측정 결과 미나리 추출물 440μg/mL의 농도에서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50.7%의 억제력으로 가장 높았으며, 나주와 의령미나리 추출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미나리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중 isorhamnetin을 분석한 결과 표준용액과 미나리 추출물의 머무름 시간이 14분대로 피크 유지시간이 일치하였으며,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어 정확한 isorhamnetin의 분리를 확인하였다. 또한 LC/MS/MS를 통한 분석 결과 표준용액과 미나리 추출물에서 동일 시간대에 TIC를 확인하였고 precursor ion은 317 [M-H]+ m/z, product ion은 302 [M-H]+ m/z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미나리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와 기억력 개선제로써의 활용 가치를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건강기능성 소재로서 식품산업 분야의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ctivity,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extract on SH-SY5Y cell death by H₂O₂, the memory improvement from scopolamine-induced rat. Moreov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sorhamnetin from the dropwort (Oenanthe javanica) was investigate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ctivity was highest (28.59%) in Hwasun O. javanica extract (H-OJE). H-OJE and Naju O. javanica extract (N-OJ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H-SY5Y cell death deceased to 37.23% and 36.68% for H-OJE and N-OJE, respectively, following treatment with the extracts. O. javanica extracts showe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H₂O₂-induced neurotoxicity. Treatment with O. javanica extracts slightly improved scopolamine-induced (1 mg/kg, i.p.) memory impairment in rats. H-OJE contain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117 mg/g and 30 mg gallic acid equivalents/g, respectively, and had a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C50) of 113.8 μg/m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48.2 μg/mL, which was higher than the other extracts.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was highest (50.2%) in H-OJE. Antioxidant activity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dropwort extracts. Isorhamnetin was known as one of the flavonoid and for having neuroprotective effect. So we analyzed acid-hydrolyzed O. javanica extract HPLC. The results were that peak at 14 min and spectrum of the extracts was consistent with standard solution. The results of LC/MS/MS analysis were that the extract and standard solution were confirmed total ion chromatogram at identical time, precursor ion was 317 [M-H]+ m/z, product ion was 302 [M-H]+ m/z.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ropwort extract led to memory improvement and had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these finding, further research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of ethanol extract of dropwort as a processed food is warranted.

      • KCI등재후보

        쑥 급여 돼지고기의 냉장저장 중 품질특성

        김일석,진상근,송영민,경희,김회윤,남기윤,현지,지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6 No.4

        쑥 분말 사료를 암돼지 및 거세돈에 첨가하여 그 수준에 따라 0%(T1, 암돼지, T2; 거세돈)와 1.5%(T3; 암돼지, T4, 거세돈)로 각 구별 45두씩 배치, 42일간 급여하여 생산된 돈육의 육질특성은 다음과 같다. 도체중량과 등지방두께는 73가 가장 낮았으며, 도체등급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다(P>0.05). 쑥 분말 급여시 암돼지간(T1과 T3)에서는 조회분, 거세돈간(T2와 T4)에는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pH는 저장기간에 증가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며, 쑥 분말 급여 처리구(T3와 T4)에서다소 높은 pH값을 나타내었다 드립감량은 처리구간에 일정한㎏/㎠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졌다. 전단가(shear force, ㎏/㎠)는 T1을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명도와 적색도는T3가 T1 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거세돈간(T2와 T4)에서는 오히려 낫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TBARS와 VBN값은 공히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쑥 분말 급여 처리구(T3 및 T4)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산 분석결과,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s)은 대조구에 비해 쑥 분말 첨가수준 증가에 따라 포화지방산은 높아지고 상대적으로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s)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차는 없고, 콜레스테롤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신선육 및 조리육 공히 처리구가 낮은 점수를 얻었다. 향후 쑥 분말 급여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eeding effects of mugwort powder on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for 42 day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Carcass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of T3 showed the lowest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Grade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all treatments.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crude ash content was higher(P<0.05) in the T3 than that of T1, while, crude fat and crude ash contents in T4 were higher(P<0.05) than those of T2. pH values were tended to low as storage period extended, in particular, those values slightly higher in the T3 and T4. Drip loss(%) was tended to increase during storage. Shear force(㎏/㎠) in all samples showed the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except for Ti. L^(*) and a^(*) of T3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1, while, T4 was lower than T3. TBARS and VBN of all samp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as storage period extended, those values significantly higher(P<0.05) in the T3 and T4.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aturated fatty acid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cholesterol of pork meat between control(T1 and T2) and treatments(T3 and T4). The sensory score of pork samples fed with mugwort power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T1 and T2) in both fresh and cooked meat. Further studied are needs on the pigs fed with mugwort powder.

      • 동충하초 급여 돈육의 물리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김일석,진상근,송영민,경희,현지,지희,박기훈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2005 農業技術硏究所報 Vol.18 No.-

        90kg 전후의 3원 교잡종(LY × D) 돼지를 이용하여 처리구별로 각 10두씩 배치하여 출하전 30일간 비육후기 사료를 급여하여 시험하였고, 기본사료(C)에 누에동충하초를 0.01% 첨가한 것을 처리구(T)로 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가열감량, 보수성, 전단가, 콜레스테롤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값에 있어서 육색과 지방색 모두 대조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체 포화지방산 비율은 처리구에서 불포화지방산 비율은은 대조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필수지방산의 함량은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다(P>0.05).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Proline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 구성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신선육 및 가열육에서 전반적인 기호도는 동일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향후 누에동충하초의 급여량과 급여방법 및 시기 등과 육질과의 상호관련성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loin from pigs fed Peacilomyces Tenuipes. A total of 20 pigs average 90kg of live weight were assigned into 2 pens(10 pigs/pen). Pigs were fed finishig diets(C; basal feed) or finishing diets containing 0.01% Peacilomyces Tenuipes(T) from 30 days to market weigh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n proximate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of C and T 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Also, cooking loss, water holding capacity, shear force and cholesterol were not different(P>0.05). L^(*) value of meat and fat color in C were higher(P<0.05) than that of T. In fatty acids, saturated fatty acid and essential fatty acids of pork loin from T was higher than that of C, while, unsaturated fatty acid of pork loin from C was slightly higher(P>0.05) than that of T. Amino acid compositions of T was lower(P<0.05) than that of C, except proline. The sensory score of fresh and cooked meat showed similarity. Further studied are needs on the 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eeding dietary Peacilomyces Tenui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