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몽주(鄭夢周)의 두 편지의 글씨에 관한 일고찰

        하영휘 ( Ha Young-wh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8 No.-

        『麗末鮮初先賢帖』에 실려 있는 鄭夢周의 `7월 21일`, `8월 5일` 두 편지의 글씨는 변화무쌍하고 자연스럽다. 이 논문은 이 글씨가 정몽주의 친필인지 아닌지를 살펴본 것이다. 정몽주처럼 중요한 인물의 글씨는 그 친필여부를 가려 문화유산으로 보존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글씨는 尹斗壽가 정몽주의 친필로 인정하고 『成仁錄』에 모각한 편지와 서체가 일치한다. 또 이 두 편지는 柳成龍이 정몽주의 친필로 인정하고 『圃隱集』에 실은 편지와 내용이 일치한다. 吳世昌도 `7월 21일` 편지의 모사본을 정몽주의 글씨로 보고 『槿墨』의 첫머리에 수록했는데, 이것은 『成仁錄』을 모사한 것이다. 이로써 이 글씨가 정몽주의 서체인 것은 알 수 있다. 그러나 친필이라고 단정하기는 이르다. 원본의 모사본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글씨가 모사본일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았다. 모사로는 흉내 낼 수 없는 파격적인 변화와 자연스러운 멋이 있기 때문이다. 또 정몽주의 외손 尹師國과 오세창이 친필로 인정한 『槿域書彙』의 정몽주 글씨와 비교해본 결과, 두 글씨는 한사람이 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Jeong, Mong-joo(鄭夢周, 1337~1392)`s `July 21` and `August 5` two handwritten letters are included in the 『Ryeomalseonchoseonhyeoncheop(麗末鮮初先賢帖)』. The calligraphy (書體) of them is peculiar, protean and natural. The question is whether the calligraphy is Jeong`s own handwriting or not. Yoon, Doo-soo(尹斗壽, 1533~1601) reproduced the calligraphy on the 『Seongillok(成 仁錄)』. Ryu Seong-ryong(柳成龍, 1542~1607) included the two letters in the 『Poeunjip (圃隱集)』. Osechang(吳世昌, 1864~1953) included the `July 21` letter on the first page of 『Geunmuk(槿墨)』 which is the anthology of masterful calligraphy in Korean history. These facts tell us that these three people acknowledged the calligraphy as Jeong`s own handwriting. The next step was to compare the calligraphy of the two letters with the calligraphy of 『Geunyeogseohwi(槿域書彙)』 which is recognized as Jeong`s own handwriting by Osechang and Yunsaguk(尹師國, 1728~1809). Consequently, both sides were proved to be the same calligraphy. Accordingly, we can reach a conclusion that the calligraphy of the two letters is Jeong, Mong-joo`s own handwriting.

      • KCI등재

        표상으로서의 정몽주 글씨

        하영휘 ( Young Whee H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8 No.-

        정몽주의 친필 편지가 여러 차례 모사되고 번각되었다는 것을 남아 있는 복본들이 말해주고 있다.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복본들은 읽기 위하여 제작된 것이 아니라 기념물로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몽주의 글씨를 기념물로 가장 먼저 제작한 사람은 尹斗壽였다. 그는 모각한 정몽주의 글씨를 때때로 보며 그의 충성을 생각하고 공경했다. 정몽주의 글씨가 윤두수에게는 충신의 표상이 되었던 것이다. 정몽주는 사림에 의하여 東方理學之祖로서 추앙되었다. 그러다가 分黨된 후 남인에 의하여 東方理學之祖로서 전유되고 추앙되었다. 權相一은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 道南書院에 정몽주의 글씨를 번각하여 모셨다. 그에게 정몽주의 글씨는 東方理學之祖로서의 표상이었다. Jeong, Mong-joo(鄭夢周)’s two handwritten letters were copied several times. Taking a closer look shows that those copies were made not for reading but as a monument. It was Yoon, Doo-soo(尹斗壽) who made the copy of Jeong, Mong-joo’s two letters as a monument first. Every time he look at them, he recalled Jeong, Mong-joo’s loyalty to the country. So to speak, to him Jeong’s calligraphy was a representation of loyalty. From 15th century, Jeong, Mong-joo was revered as the father of East Country(Korea) Neo-Confucianism(東方理學之祖). Then in 17th century after the split of political party, Nam-in(南人) party monopolized and revered Jeong, Mong-joo. Gwon, Sang-il(權相一), one of Nam-in party scholar reprinted and enshrined Jeong, Mong-joo’s calligraphy at Do-nam Seowon(道南書院). To Gwon, Sang-il, Jeong, Mong-joo was a representation of the father of East Country Neo-Confucianism.

      • KCI등재

        경남대 소장 데라우치문고의 서첩자료

        하영휘 ( Young Whee Ha ) 수선사학회 2014 史林 Vol.0 No.50

        Kyungnam University has published Hanma Classics in 15 volumes that present the collection of writings from the Terauchi Library, now housed in Kyungnam University. I participated in this publication transcribing and translating these writings in Hanma Classics vols. 2-15. This article aims to assess and introduce this extensive collection. Terauchi Masatake (寺內 正毅) was keen to Korean historical sites, artifacts and writings in particular to plunder the Korean culture and history on the basis of assertion that Korea and Japan shared the same heritage. He complied his collection into the Terauchi Library in the same vein. Letter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in studying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as they were an significant part of people′s life during the time. The writings in Hama Classics, of which the large portion consists of letters, present vivid and candid description of everyday life. No single piece is worthless as they are the truthful evidence of history. Yamaguchi Prefecture Library still keeps 19 scrapbooks of Joseon kings` writing including 11 books of Jeongjo`s and five books of eminent personages. It is imperative to extend our study to those remaining works in Japan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논문 : 유중교(柳重敎)(1821~1893)의 춘추대의, 위정척사, 중화, 소중화

        하영휘 ( Young Whee H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조선후기의 주요한 사상이었던 춘추대의, 위정척사, 중화, 소중화 등은 서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상호관계 속에서 파악해야 그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화서학파의 이론가 유중교의 저술을 통하여 이 네 개념을 설명한 것이다. 춘추대의는 공자의 『춘추』에서 나와 중화를 높이고 이적을 물리칠 것을 주장하는 사상으로, 병자호란 후 완성되었다. 위정척사는 『맹자』에서 나와 정학(正學)을 지키고 사학(邪學) 을 물리칠 것을 주장하는 사상으로, 18세기 이후 서학(西學)의 유행에 대응하여 대두된 사상이다. 이 두 사상이 표방하는 바는 차이가 있지만, 근본적으로 추구한 것은 중화다. 중화는 삼강오상, 예악, 제도 등 중국고대의 이상적인 문화를 말한다. 명의 멸망과 동시에 중국에서 중화문화가 사라지자, 조선의 사대부들은 오직 조선에만 남은 중화문화의 맥을 잘 보존하여 장차 꽃피워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것이 소중화사상이다. 유중교는 오직 중화문화만이 세상에 질서와 평화를 지켜줄 수 있다고 생각하여, 중화문화 지상주의를 부르짖었다. 그에게 국가는 그 다음문제였고, 민족은 애초에 그 개념조차 없었다. Justice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大義], Wijong-Ch`oksa(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衛正斥邪), Junghwa[中華], Little Junghwa[小中華] were key idea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define these ideas by using Lyu Joongkyo[柳重敎]`s Works(『省齋集』). Lyu was a representative theorist of Hwaso School in the late 19th century. Justice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which derived from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 is the idea that maintains the respect of Junghwa and the repellence of barbarians. Wijong-Ch`oksa which derived from "The Mencius"(『孟子』) is the idea that maintains the defense of orthodoxy and the rejection of heterodoxy. The former was formed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and the latter came to the fore after the inflow of Western learning in 18th century. Both idea fundamentally pursued the Junghwa. The Junghwa is an ideal culture of ancient China which comprises morality, propriety, music, law, and institution. After the Junghwa went out of existence with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the Scholar-officials of the Joseon Dynasty tried to preserve a beam of hope of the Junghwa left in Joseon. This is so-called the Little Junghw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