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쥐의 초기 미란성위궤양 상피세포의 미세구조 변화 및 분비면역계에 대한 연구

        하미혜,최은상,하재청,Ha, Mi-Hye,Choe, Eun-Sang,Ha, Jae-Cheong 한국통합생물학회 1992 동물학회지 Vol.35 No.1

        생쥐를 48시간 동안 결식시킨 후 유문결찰하여 급성미란을 유발시키고 미란형성부의 점막 내위선을 구성하는 각 세포의 구조변화와 IgA 분비세포의 분포를 관찰하였다. 미란부 점액분포의 변화는 표면상피의 손상 정도가 심해질수록 경계부의 PAS양성반응은 감소되었으며 중심부에서는 표면상피의 소실로 인하여 PAS 양성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Glycocalyx 관찰을 위한 ruthenium red 반응에서도 경계부의 상피세포 손상이 심해짐에 따라 정단세포막 상층에 나타나는 양성반응은 감소되었고 측면과 기저면의 양성반응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세포 손상시 tight junction은 파괴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미란경계부의 미세구조변화로서, 상피세포는 손상이 진행될수록 세포질이 용해되어 공포가 형성되고 핵응축 및 정 단세포질의 점액원과립의 소실이 관찰되었으나 tight junction은 유지되었다. 반면에 점액경세포는 점액원과립의 수가 증가되고 조면소포체가 종창되어 있었다. 미란의 경계부와 중심부에서 벽세포는 다수의 소포가 출현한 후 세포내세관이 종창되었으며 그 후에 mitochondria가 파괴되었고 주세포는 주변의 벽세포가 커지면서 가장자리로 밀려나 크기가 정상보다 작아지고 조면소포체와 mitochondria가 종창을 나타내었다. IgA분비세포는 점막이 파괴된 미란부 점막하조직의 혈관 주변에 다수 존재하는 형질세포에서 확인되었다.

      • KCI등재

        구조화기업에 대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와 제1112호의 적용

        하미혜(Ha Mi Hye),신호영(Shin Ho Young),박희진(Park Hee Jin) 韓國公認會計士會 2015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연결 기준서인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이하, 기준서 제1110호)와 제1112호 '타기업에 대한 지분의 공시'(이하, 기준서 제1112호)의 적용이 구조화기업에 대한 투자자의 지배력 판단과 공시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실제 시중은행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기준서 제1110호와 제1112호는 종전의 기준서 제1027호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의 일부와 기업회계기준해석서 제2012호 '연결: 특수목적기업'을 대체하는 기준으로 연결재무제표의 작성과 공시에 대해 규정한다. 이에 따라 201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개시하는 회계연도부터 지배력 판단 방법 및 공시사항이 전면적으로 바뀌었다. 특히 새로운 연결 기준서는 구조화기업에 대한 지배력 판단과 공시 요구사항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러한 변화는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피투자자의 법적 형태에 관계없이 단일의 지배력 모형이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힘, 변동이익 및 힘과 변동이익의 연관이라는 세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지배력을 갖는다. 종전에는 피투자자인 구조화기업이 보유한 효익과 위험에 과반 이상 노출되거나 권리를 갖는 경우 지배력을 보유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연결범위의 변동이 예상된다. 둘째, 구조화기업에 대한 공시 요구사항이 강화되었다. 지배력 판단과 연결재무제표의 작성 방법에 대한 기준서 제1110호와는 별도로 기준서 제1112호는 종속기업, 공동약정, 관계기업 및 비연결구조화기업에 대한 공시 요구사항을 통합하여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산유동화, 구조화금융 및 투자펀드 등을 위한 구조화기업의 활용도가 높은 시중은행의 사례를 통해 새로운 연결 기준서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5개의 대형 시중은행의 연결범위 변동 내역 및 비연결구조화기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 중 2개 은행의 주석 공시 정보를 통해 세부적인 변동 내역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전반적으로 연결범위에 추가된 구조화기업의 숫자가 제외된 숫자보다 많았지만, 각 은행마다 결과가 달랐다. 따라서 새로운 연결 기준서의 적용이 연결범위를 확대 또는 축소시켰는지에 대해 단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는 없었다. 한편, 주석 공시 정보를 통해 세부적인 변동 내역을 검토한 결과, 2개의 시중은행은 연결여부와 관계없이 구조화기업에 대하여 은행이 제공하는 재무지원, 그 밖의 지원 유형과 금액, 지원을 제공하는 이유를 공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새로운 연결 기준서의 내용과 적용으로 인한 효과를 구조화기업에 초점을 두어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는 새로운 기준서 적용과 관련된 초기 단계의 사례연구로서 기준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구조화기업에 대한 실증 연구를 시작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case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determination of control over structured entities and disclosures when the reporting entity applies new IFRSs, IFRS 10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nd IFRS 12 'Disclosure of Interests in Other Entities'. IFRS 12 introduces a new term 'structured entity,' which replaces the concept of a 'special-purpose entity' that was previously used in SIC-12 'Consolidation - Special Purpose Entities'. IFRS 10 replaces the portion of IAS 27 'Consolidated and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that addresses the accounting for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nd includes the issues raised in SIC-12. What remains in IAS 27 is limited to accounting for subsidiaries, jointly controlled entities, and associates in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IFRS 12 includes all of the disclosures that were previously in IAS 27 related to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s well as all of the disclosures relate to an entity's interests in subsidiaries, joint arrangements, associates and structured entities. New standards are effective for annual periods beginning on or after 1 January 2013 and bring fundamental changes in determination of control over investees. Major changes introduced by IFRS 10 and IFRS 12 can be summarized by two points. First, IFRS 10 establishes a single control model that applies to all entities regardless of the legal form of investee. Specifically, an investor controls an investee when it is exposed, or has rights, to variable returns from its involvement with the investee and has the ability to affect those returns through its power over the investee. IFRS 10 places a greater emphasis on which party has power over the structured entity's activities rather than who has the majority of the risks and rewards and also requires management to exercise significant judgement to determine which entities are controlled compared with the requirements that were in IAS 27. While the consolidation assessment will not change for many structured entities, the effect will depend on the specific terms of each structure. Second, IFRS 12 reinforces disclosure requirements for structured entities. IFRS 12 contains all disclosure requirements related to an entity's interests in subsidiaries, joint arrangements, associates and unconsolidated structured entities separately from IFRS 10. The requirement in IFRS 12 is more expansive than the requirement in IAS 27, which only required entities to disclose circumstances where a subsidiary was consolidated by the parent owned less than a majority of voting rights and an investee was not consolidated by the investor owned more than a majority of voting rights. This change in the disclosure requirements reflects the degree of judgement that is now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an entity is controlled under IFRS 10.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w standards on consolidations and disclosures of structured entities through the cases of major commercial banks, which frequently use structured entities for the asset securitization, project financing and investment funds. To be specific, we review changes in the consolidation scope and disclosures about non-consolidated structured entities among the top five commercial banks. Further, we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structured entities by focusing on footnotes of two banks, KB and Woori. In summary, the number of structured entities which are newly included in groups is bigger than the number of those excluded, but the effects vary from bank to bank. As such, we do not simply jump to a conclusion as to whether IFRS 10 expands the scope of consolidation or not. On the other hand, banks increase their disclosures on structured entity by disclosing the risks to which they are exposed as a result of their involvement with structured entities, including those situations where they do not consolidate them. We explore the impact of IFRS 10 and IFRS 12 on a bank's typical involvement with structured entities.

      • KCI우수등재

        국제회계기준 최초채택 시 전환조정사항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유인에 대한 연구

        하미혜 ( Mi-hye Ha ),신호영 ( Ho-young Shin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학연구 Vol.4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회계기준 전환조정사항이 보고기업의 유인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 지 분석하는 것이다. 전환조정사항에는 기계적으로 반영되는 회계기준차이에 해당하는 금액 외에 보고기업의 유인에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 금액이 포함되어 있다. 국제회계기준 전환조정사항은 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재무보고의 출발점을 제공하므로 이에 대한 이해는 국제회계기준 연구에 선행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국제회계기준 채택일의 순영업자산으로 측정한 과거이익조정 누적액은 총자산비정상전환조정금액과 음(-)의 관련성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는 국제회계기준 채택을 과거이익조정 누적액의 제거를 위한 기회로 활용하였음을 시사한다. 즉, 재무상태표상의 비효율적인 자산이 비정상전환조정사항의 형태로, 과거 재무제표를 통해 제거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련성은 유동자산 전환조정사항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는데, 이는 과거이익조정 누적액이 주로 비유동자산에 축적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기업의 대규모 손실보고 유인과 영업외손익 비정상전환조정금액은 음(-)의 관련성을 가졌다. 영업외손익 전환조정사항을 통해, 당기 혹은 그 이후에 발생할 손실을 과거 재무제표에 반영하고 미래의 재무성과를 개선시키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영업손익 비정상전환조정사항은 오히려 대규모 손실 보고 유인과 양(+)의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의 본질적인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환조정사항이 단순한 회계기준 차이가 아니라 기업의 재무보고품질과 이익조정에 대한 유인을 포함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재무정보 이용자는 국제회계기준 전환뿐만 아니라 회계기준 변경이 반영된 재무제표를 이용할 때 기업의 유인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고, 감독기관은 기업의 유인을 감리대상 선정 및 감독 방침 수립에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We investigate how entity`s incentives determine 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reconciliations. Each reconcilia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a pure GAAP difference between IFRS and the previous GAAP and the other is a discretionary adjustment generated by entity`s incentives, referred to as an abnormal reconciliation. Entity`s incentives of our interest are the balance sheet bloating and the big bath. Our test provides evidence that IFRS reconciliations are affected by entity`s incentives. The balance sheet bloating, the accumulation of previous earnings manage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n abnormal reconciliation of total assets. Also, entities with a big bath incentive, which report net loss under previous GAAP, show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incentive and an abnormal reconciliation of non-operating income. Our results suggest that users of first accounting information under IFRS need to be aware of entity`s incentives which determines abnormal reconciliations and consequently affects a financial reporting in the future.

      • KCI등재

        감사인의 업무과부하에 따른 차별적 감사품질

        하미혜 ( Mi-hye Ha ),박희진 ( Hee-jin Park ),이세철 ( Se-chul Lee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1

        DeAngelo (1981)는 감사품질을 감사인이 감사대상회사의 회계시스템에 존재하는 위배사항을 발견할 확률(적격성)과 발견된 위배사항을 보고할 확률(독립성)의 결합확률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감사인의 능력이 발휘되는 정도와 투입할 수 있는 노력은 항상 동일할수 없으며 감사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2월 결산법인이 90%이상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감사인의 업무는 1월부터 3월에 집중되어 있으며, 관계 법령과 실무관행이 맞물리면서 주차별 감사인의 업무 과중 정도에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주차별 업무과부하는 다른 조건이 동일하더라도 감사품질에 차이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감사인의 업무과부하 현상이 감사품질과 갖는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실무적으로 비지시즌(busy season)에 해당하는 1월에서 3월 사이에 감사보고서가 발행되는 12월 결산법인인 상장기업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인의 업무과부하가 심할수록 감사품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사인이 Non-BIG4인 경우에만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감사인의 업무과부하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재무보고 품질이 낮은 코스닥시장에서만 유의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감사인의 업무과부하가 감사품질을 결정하는 요소 중에 하나임을 시사한다. 비지시즌의 무리한 감사업무 수행은 오랫동안 이슈가 되어 왔고 개선의 목소리가 높았으나 실증분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감사업무의 과부하는 단순히 회계사의 업무 환경이나 복리의 문제가 아니라 감사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법률 제정 방향과 회계법인의 운영에 있어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투입되는 노력(감사시간 등)만을 증가시켜 감사품질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감사팀 구성원에 의해 투입되는 노력이 적정한 집중력과 주의를 기울여서 수행될 수있도록 감사업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감사업무의 과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회계법인 차원에서도 인력 운영에 있어 이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DeAngelo (1981) defines audit quality as the combined probability of (i) detecting errors in the accounting system and (ⅱ) reporting such errors. However, the extent to which an auditor can utilize his/her competence and put efforts is not always consistent and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auditor.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busy season pressures, such as auditor burnout and time constraints, can deteriorate audit quality. Despite the importance of such potential effects,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that documents whether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ultimately affect audit quality. In response, we investigate whether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is associated with lower audit quality. In Korea, audit engagements are concentrated in a short time window between January and March (practically called busy season) as more than 90% of domestic companies have December fiscal year-ends. Further, the level of audit work intensity during busy season fluctuates from week to week due to related laws and practices. We hardly expect the audit quality of any auditor to be always consistent under such changing workload condition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an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and audit quality. We use a pooled cross-sectional sample of listed companies with December fiscal year-ends which issue annual audit reports during January to March. Our sample includes 12,012 firm-year observations during the period 2003-2012. We measure a relative level of workload compression of an auditor for each week of busy season in two ways. The first variation is the ratio of the audit fees charged to engagements for which audit reports are issued in a certain week to total audit fees of an auditor. The second variation is the ratio of the number of audit reports issued in a certain week to the total number of audit reports issued during busy season. Higher values of both measurements should be associated with higher concentrations in auditor workloads, because the number of audit reports and fees reflect the amount of auditor’s works to be done during specific periods. As proxies for audit quality, we use discretionary accrual estimates from the modified Jones (19915) model and performance matching model from Kothari et al.(2005). We find that the audit quality of each engage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under which a certain engagement work is performed. In specific, audit engagements of which audit reports issued in a week of highly concentrated auditor’s work during busy season exhibit higher levels of discretionary accruals, which imply lower levels of audit quality. This correlation is significant only among Non-BIG4 auditors which have less flexible human resources. Similarly, the impact of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on audit quality is significant only for KOSDAQ companie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lower accounting quality than KOSPI companies. Our results suggest that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is one of significant determinants of audit quality. Also, our analysis shows that the significance of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and audit quality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firms and companies. Although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has been an issue for a long time, there are little empirical studies that document whether auditor’s workload pressures ultimately affect the audit quality. The severity of concentrated auditor’s workload is not only a matter of welfare and working environment of accountants, but also affects audit quality and capital market. We expect that our study helps policy makers and accounting firms pursue enhancement of audit quality. A higher audit quality cannot be obtained only through investing more audit hours and fees, unless an appropriate working environment where auditors can perform audit work with adequate due care and attention is provided. We believe that improvements of regulatory environment to minimize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are needed. Also, accounting firms consider our results for management of employees and risk management.

      • SCIESCOPUSKCI등재

        Immunogenetic Study on the IgG Subclass Responses in the Phenotypic Subsets of the Early-Onset Periodontitis

        최점일,김준홍,하미혜,김성조,Choi, Jeom-Il,Kim, Jun-Hong,Ha, Mi-Hye,Kim, Sung-Jo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1999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9 No.3

        본 논문은 조기발병형 치주염에 이환된 환자의 immunoglobulin allotype markers(Gm)에 대한 연구를 한 것이다. 원래 이전의 논문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Pg)에 대한 항체 역가를 측정하기위해 선택되었던 환자로 이는 subform I(distinctive localized juvenile periodontitis(LIP) pattern)으로부터 3명, subtype II(post-LJP pattern)으로부터 19명, subform III(localized but rapidly progressing pattern)으로부터 15명 그리고 subform Ⅳ(distinctive rapidly pregressing periodontitis(RPP)으로부터 24명을 추출하여 구성하였고, 각각 인종과 나이에 맞게 50명의 대조군을 구성했다. Gm type은 hemagglutination inhibition assay; b0b1b3b5, G3m(s), G3m(t)를 포함한 G1m(a), G1m(x), G1m(f), G2m(n), G3m(g), G3m(b)로 확인했었다. 관찰되어진 Gm haplotypes의 도수는 각각의 EOP subform에 따라 계산되었고 Gm phenotype은 각 환자에서 발견된 증가된 IgG subclass responses의 다양성에 따라 구분했다. 환자들 중에서 관찰된 9개의 Gm phenotype 은 4개의 Gm haplotype으로 나타났다. subform Ⅳ에서 관찰되어진 모든 4개의 Gm haplotype의 도수는 대조군과 유의성있는 차이가 났다. 특히 haplotype afnb(Gm(n))의 그것이 유의성있게 높았다. 더욱이 G2m(n)은 IgG4와 IgG1의 level뿐만 아니라 IgG2 level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Gm phenotype을 검사 할 때 IgG1+2와 IgG1+2+4모두에서 antibody level이 증가한 모든 환자가 일관되게 Gm phenotype agfnb나 axfnb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IgG subclass response는 개인의 immunogenetic marker에 의해 조절되었고 genetic predisposition의 가능성은 EOP subform IV환자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더욱이 G2m(n)과 Gm phenotype agfnb나 axfnb 모두 IgG1+2 나 IgG1+2+4 antibody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KCI등재

        감사시간의 보고행태에 관한 연구

        김성환 ( Sung Hwan Kim ),하미혜 ( Mi Hye Ha ),이호영 ( Ho Young Lee ) 한국회계학회 2009 會計學硏究 Vol.34 No.1

        감사시간의 의무 공시 이후 감사시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감사시간이 감사품질의 대용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사시간에 대한 관심에 비해 감사시간의 의무 공시 자체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즉 감사시간의 의무 공시가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감리 대상 선정 요소의 하나로 감사투입시간이 활용되는 새로운 감리제도도 보고되는 감사시간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시간의 의무 공시, 새로운 감리제도 등 제도적 요인이 보고되는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때 감사시간의 변화는 비기대감사시간을 통해 분석하였는데, 비기대감사시간은 감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회귀식을 통해 통제한 잔차로 계산하였다. 그리고 의무 공시가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역시 추가 분석하여 감사시간의 공시행태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실증결과, 감사시간의 의무 공시 이후 비기대감사시간의 분산과 절대값은 전기대비 및 시계열적으로도 줄어들었고, 이는 감사시간이 유사한 특징을 가진 기업들 간에 서로 수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2004년부터 실질적으로 적용된 새로운 감리제도가 감사시간에 미치는 추가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새로운 감리제도 이전부터 이미 비정상적인 감사시간을 감독기관에서 관찰하고 있었으며, 감사인 및 피감사기업은 불필요한 감독기관의 주의를 끌거나 투자자들의 감사품질에 대한 의심을 받지 않기 위해 감사시간을 조정하려는 유인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감사보수의 수렴현상은 감사시간의 경우만큼 확연히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는 감사시간의 수렴현상에는 감사품질에 대한 의구심을 피하기 위한 기회주의적 공시 행태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 해준다.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of Korea promulgated a new regulation enhancing the transparency of corporate disclosures in 2001. One of major changes from this regulation includes the disclosure of audit hours spent by incumbent auditors. The mandatory disclosure of audit hours provides information users with an opportunity to estimate the quality of audit. However, the disclosure of audit hours was not standardized and were difficult to interpret because the regulation did not provide detailed guidelines for the disclosure. In 2003, FSS, therefore, renewed the regulation providing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the disclosure in firms` annual report. Audit hours may indicate the amount of audit effort and, therefore, the quality of audit. With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audit hours ensuring audit quality, the FSS stated that audit hours reported in annual reports can be used as one of the selection criteria for audit review in finding audit failures performed by external auditors. Spending abnormally long audit hours may imply auditors` additional effort maintaining a good quality audit. On the other hand, longer audit hours may imply problems in clients` internal control systems and books. Also, spending abnormally short audit hours may imply less efforts and poor quality audit. The above arguments imply that audit hours can be an important piece of information for earnings quality and investment decisions. Thus, investors and regulators are interested in information contained in audit hours. With this in mind, FSS, in particular, decided to use audit hours as one of selection criteria for audit review in monitoring audit quality in 2005. Auditors may be suspected as conducting low quality audit when they report abnormally long or short audit hours relative to firm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void any concerns raised by investors and/or regulators over the audit quality, both auditors and clients have incentives to manipulate audit hours disclosed in their annual reports. However, reporting behavior with respect to audit hours has not been examined and information users do not understand underlying meanings of audit hour and firms` reporting behavior. This study, therefore, examines if reporting behavior pertaining to audit hours shows any systematic trend(s) over time and around the introduction of audit hour as the selection criterion for FSS audit review. Auditors and/or client managers who have strong incentives to minimize the possibility being investigated by FSS are likely to reduce the variance of abnormal audit hours and the absolute value of abnormal audit hours after the requirement of audit hour disclosure. This study also hypothesizes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prior period abnormal auditor hour and change in audit hour from prior perio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change in audit review policy affects clients` firms audit hour reporting behavior. In 2005, FSS announced that they use audit hours and public financial data as selection criteria for audit review. Both clients and auditors do not want to be investigated by FSS because of direct and/or indirect costs of investigation associated with audit review and they have incentives to change their reporting behavior systematically. In practice, FSS has used audit hour as one of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ir audit review since 2004. Thus, this study expects that the systematic patterns with respect to the variance of abnormal audit hour and the absolute value of abnormal audit hour would be more pronounced after the use of audit hour as an audit review selection criterion by FSS than before. The sample of this study covers firms having December fiscal year from year 2001 to 2005 listed in either the Korea Stock Exchange or KOSDAQ markets. After considering the availability of financial, audit fee, and audit hour data, the final sample includes 4,689 firm-years. Financial date are collected from Kis-Value and DataGuide Pro of FnGuide databases while ownership and subsidiaries data are collected from TS2000. Audit hour and audit fee or nonaudit fee data are manually collected from annual reports available at the FSS`s Dart system. Considering prior studies (e.g., Simunic 1980; Palmrose 1989; O`Keefe et al. 1994; Choi and Paek 1998; Kwon and Kim 2001; Park 2005; Choi et al. 2006; Caramanis and Lennox 2008) in determining audit hours, this study develop an abnormal audit hour model. Control variables include the natural log of number of subsidiaries, inventory and receivables, proportion of foreign sales over total sales, issuance of stock and bonds, current ratio, leverage, ROA, sales growth, largest shareholder ownership, foreign shareholder ownership, nonaudit fee, Big4(5) auditors, audit opinion, first year audit, and designated auditor.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 we find that the variance and the magnitude of unexpected audit hours have been deceasing over time. This result suggests that firms observed other firm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n audit hour disclosures have tried to minimize the deviation from audit hours reported by other firms. The results of variance and Kruskal-Wallis analyses also provide evidence that the absolute value of abnormal audit hours has been reduced over time and the mean valu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years. Regression analys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prior period abnormal audit hour and changes in audit hour also show that prior period abnormal audit hours affect current period audit hour. The analyses on the effect of change in audit review selection policy on reported audit hour reveal that the change in audit hour has decreased after the policy change. As an additional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reporting behavior of audit fees to see whether audit fee shows a similar pattern to audit hour. The result shows that standard deviations of audit fees have increased after 2002. The absolute value of abnormal audit fees have also increased since 2002. This result is inconsistent with Francis and Wang (2005) who finds a decreasing pattern after audit fee disclosure requirement. We interpret the results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static and time-series perspectives. Unlike the results with audit hours, audit fees show increasing deviation over the sample years suggesting that auditors are getting more sensitive to audit risk as litigation risk increase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uditors and/or client firms tend to avoid reporting abnormal audit hours by adjusting actual audit hours or possibly opportunistically manipulating reported audit hours. A disclosure of information may not be useful if the disclosure is not reliable. Thus,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various aspects of audit quality and their associations with audit ho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