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 간 관계: 조직규모에 따른 신제품개발의 조건부 간접효과

        추승엽,우형록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3

        This study examines the indirect effects of new product development(NP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EO) and business performance is contingent on organization size.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EO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and NPD, there have been no research attempts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causal path of EO, NPD, and business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 path focusing not only on final 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affected by EO but also on the mediating role of new product development, which is an intermediate performance. Based on the sample of 3,299 firms from the 2018 Entrepreneurship Survey(Corporate), we analyzed the EO-NPD-business performance relationship and explored whether such an indirect effect of EO on business performance differ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rm. The results showed that EO has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and NPD. In addition, NPD posi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O and business performance under the condition of large size firm, although NPD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With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has principal implications for practicing manag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not to suggest that NPD triggered by EO is a panacea for improving final business performance. The study suggests a need to equip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o successfully commercialize new products and appeal to the market and customers, beyond simply developing new products seeking newness based on EO.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 간 인과관계에 있어서 조직규모에 따른 신제품개발의 조건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동안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업의 경영성과 및 신제품개발 성과에 각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개별적인 연구들이 축적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신제품개발-경영성과의 인과적인 경로를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연구시도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에 따른 최종 재무적 경영성과뿐만이 아니라 경영성과에 기여하는 중간 성과인 신제품개발의 역할에 주목하여 인과적인 경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018 기업가정신 실태조사(기업편) 조사대상인 전체 업종 3,299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적 지향성, 신제품개발, 경영성과 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조직규모에 따라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가적 지향성은 경영성과 및 신제품개발에 독립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개발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기업가적 지향성-신제품개발-경영성과로 이어지는 과정(간접효과)은 조직규모가 큰 조건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가적 지향성으로부터 발현된 신제품개발 성과가 최종 경영성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새로움을 추구하는 신제품의 개발을 넘어 신제품을 성공적으로 사업화하고 시장과 고객에게 소구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역량이 갖추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성별 및 출산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여성 기업가정신 활성화 방안에 대한 함의

        추승엽,공혜원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5

        The entrepreneurship can be a source of national growth potential as behavioral tendencies of people who seek innovation, take risks of failure, and proactively respond to opportunities. In particular, in the economic situation of Korea where growth has been stagnate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ntrepreneurship of women which is relatively lower than men’s in order to activate the start-up and economic participation of the whole people.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not only on gender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but also on the hidden impact of social contexts that cause gender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ldbirth, a factor that reflects the social context of Kore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entrepreneurshi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odel that include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se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independent effects of gender and childbirth, the gender effect disappeared, while the significant effect of both the childbirth variable and the interaction variable of gender and childbirth were confirmed. Furthermore, according to additional analysis, which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by creating four types of treatment groups based on gender and childbirth status, entrepreneurshi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emale and childbirth' group than in all other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maining treatment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levels between men and women overlap not with the unique trait of men and women, but with the social contextual effects of Korea, where women are under the full burden of childbirth and parenting.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that effective policy measures to promote women's entrepreneurship or economic activity should be taken by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context of Korea that suppresses women's entrepreneurial behavior. 국가의 기업가정신은 혁신을 추구하고 실패 위험을 감수하며 진취적으로 대응하여 기회를 선도하려는 보편적인 국민 개인들의 행동성향의 정도로서 국가 성장 잠재력의 원천이 될 수 있다. 특히 저성장이 고착화되고 있는 한국의 경제상황에서는 전체 국민의 창업 및 경제활동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여성의 기업가정신을 제고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기업가정신 수준의 성별 차이 자체에 주목하는 것이 아닌 기업가정신의 성별 차이를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의 숨겨진 영향력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성별과 기업가정신 수준 간 관계에 있어 한국의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는 요인인 출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성별 및 출산의 독립적인 효과 이외에 이들 변수들의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검증한 모형에서는 성별 효과가 사라진 반면, 출산 변수와 성별 및 출산의 상호작용 변수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및 출산여부를 바탕으로 네 가지 유형의 처리집단을 생성하여 기업가정신의 차이를 검증한 추가분석결과에 따르면,‘여성 및 출산’집단이 다른 모든 집단에 비해 기업가정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나머지 처리집단들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성별 간 기업가정신 수준의 차이에 있어서는 남녀의 고유한 특성 자체가 아닌 자녀출산 및 육아부담을 여성이 전적으로 감당하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 효과가 중첩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기업가적 행동 성향을 억제하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함으로서 여성의 창업 또는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여성의 일반 기업 및 사회적 기업 창업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 및 사회적 가치지향성을 중심으로

        추승엽,공혜원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여성 창업의 두 가지 선택 유형인 일반 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의 구성 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그리고 사회적 가치지향성이 일반 기업 및 사회적 기업 창업 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173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부트스트랩 1,000개 재표집을 통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결과, 여성의 일반 기업 창업의도에는 혁신성과 진취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기업 창업의도에는 혁신성과 사회적 가치지향성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결과는 여성의 창업방식으로서의 일반 기업 및 사회적 기업 형태의 결정이 창업가의 자유로운 선택이 아닌 특정 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귀속되는 것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팀 창의성 활용 전략과 디지털 음원의 성과

        추승엽,현창민,임성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2

        본 연구는 한국의 디지털 음악 산업을 대상으로 하여 음원 제작사의 팀 창의성 활용 전략이 디지털 음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중음악 공인 차트인 ‘가온차트’에서 제공하는 2013년 디지털 종합 주간 차트 순위에진입한 음원 1,428곡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구체적인 제작사의 팀 창의성 활용 전략 변수인 뮤지션(가수) 간 콜라보레이션, 참여 작곡·작사가 수 확대, 뮤지션(가수)의 연속적 활동은 디지털 음원의 성과인 차트상주기간및 진입첫주순위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가설인 뮤지션(가수)의 연속적 활동 전략이 차트상주기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나머지 모든 가설이 지지되어, 높은 불확실성에 직면한 디지털 음원 제작사들의 팀 창의성을 활용하고자 하는 대응전략이 실무적으로도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에 있어 실제 유효한 방식임이 증명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strategies of using artistic teams' creativity affect the performance of digital music recordings.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hypotheses using 1,428 songs in weekly Korean digital music chart listings(titled Gaon Chart) in 2013.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rategies of using teams' creativity, operationalized as collaboration with other musician(singers), the number of copyrighters(songwriters and lyricists), and the continuous activities of musician(singers), are mostly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digital music recordings in terms of the length of chart survival and the first week’s ranking. Although the continuous activities of musician did not affect the chart survival significantly, the other hypotheses were testified.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strategies of using teams' creativity could be effective to attain competitive advantage in highly uncertain environment.

      • 환경과 조직 양면성

        추승엽,임성준 한국전략경영학회 2013 한국전략경영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3 No.3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의 224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환경의 불확실성과 다차원적 조직 양면성 간 관계와 이들 관계의 적합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조직 양면성은 상호 모순적으로 보이는 속성을 동시에 높은 수준으로 추구할 수 있는 조직능력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개념을 확장하여 조직 양면성을 기술혁신, 조직구조, 경쟁전략 등에서 나타나는 다차원적 속성의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실증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환경의 불확실성과 다차원적 조직 양면성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결과, 환경의 불확실성은 양면적 혁신, 양면적 조직구고, 양면적 경쟁 전략에 대해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환경의 불확실성과 다차원적 조직 양면성 간의 적합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양면적 혁신, 양면적 조직구조, 양면적 경쟁전략 차원을 모두 높게 추구하는 고 적합성 집단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추구하는 저 적합성 집단보다 높은 경영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연구 결과를 해석하면, 기업이 경영성과를ㄹ 기대하기 위해서는 환경의 불확실성 증대에 대응하여 기술혁신, 조직구조, 경쟁전략 등의 다차원에서 나타나는 상호 모순적 요구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조직적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gain deeper insight into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by exploring a multi-dimension. This construct was used to examine the capability of organization to simultaneously deal with contradictory demand such as exploratory and exploitative innov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decentralization and formalization (organizational structure); differentiation and cost leadership (competitive strategy). Based on a sample of 224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al uncertainty, ambidextrous innovation, ambidextrous organization structure, ambidextrous strategy and the effects of their fit on firm performance. Empirical results revealed two main findings. First, environmental uncertaint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ambidextrous innovation, ambidextrous organization structure and ambidextrous strategy. Second, support was identified for a congruence perspective as a fit between high levels of multi-dimensional ambidexterity and high levels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results in enhanced firm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firms should pursue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of a multi-dimensional nature in order to cope with uncertain environments.

      • KCI등재

        기업가정신의 성별 차이: 사회적 맥락의 영향

        추승엽,Choo, Seungyoup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에 있어 성별 간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 자체가 아닌 기업가정신의 성별 차이를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의 영향을 확인하는 데에 초점을 둔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가정신 트렌드 리포트(GETR)의 20개국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회적 맥락이 성별과 기업가정신 간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사회적 맥락의 함의와 관련된 가설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Hofstede의 문화차원 요인인 권력 거리, 개인주의, 남성성, 불확실성 회피와 제도적 요인인 양성평등, 사회보장을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는 구체적 변수로 사용하였다. GLM을 사용한 실증분석 결과 성별은 기업가 정신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성별은 각각 권력 거리, 개인주의, 불확실성 회피, 양성 평등, 사회 보장 변수와 상호 작용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가정신의 성별 차이가 각 성별에 내재된 고유의 특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개인이 속한 그 국가의 사회적 맥락 수준에 따라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impact of the social context that causes gender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not the phenomenon itself. Specifically,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contex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entrepreneurship using data from 20 countries in the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GETR). In order to test hypotheses involving social context implications, Hofstede's cultural dimension factors such as power distance, individualism, masculinity, and uncertainty avoidance variables, and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gender equality and social security are used as specific variables reflecting the social context. Empirical analysis through GLM found that gender did not independently influence entrepreneurship,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effect by interacting with power distance, individualism, uncertainty avoidance, gender equality, and social security variables, respectively. Such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gender difference in entrepreneurship is not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each gender but on the level of the country's social context to which the individual belongs.

      • KCI등재

        한국의 기업가정신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추승엽,공혜원 한국창업학회 2019 한국창업학회지 Vol.14 No.2

        한 국가의 기업가정신 수준은 국가 성장잠재력의 원천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의 2017 기업가정신 실태조사(개인편) 자료를 바탕으로 인구학적․인지적 개인특성 변수들을 사용하여 한국의 기업가정신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있어서 성별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의 기업가정신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성별(+), 연령의 자승(-), 과거창업경험(-), 창업교육경험(+), 창업기회(+), 성취욕구(+) 및 개인이익 대비 사회적 공헌 추구 정도(-)의 유의한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교육수준, 가족창업경험, 소득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분할그룹분석 결과, 연령과 기업가정신 간 관계에서는 남성의 경우 역 U자형의 관계가 확인된 반면 여성에 있어서는 부(-)의 관계가 나타났으며, 개인 이익 대비 사회적 이익 추구 정도에 있어서는 남성은 부(-)의 영향이 나타난 반면 여성에서는 이들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제고함으로써 열악한 노동시장 상황에서의 생산가능인구 감소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비하는 정책개발 방안 도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level of entrepreneurship of a country can be a source of national growth potential.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ship and focuses on gender differences, using demographic and cognitive-personality variables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17 Factual Survey of Entrepreneurship conducted by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age squared(-), start-up experience(-), entrepreneurial educati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achievement motiv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in Korean entrepreneurship, whereas the effects of family start-up experience and income on entrepreneurship were not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divided group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ag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entrepreneurship, a negative U-shaped relationship was found in men’s group, while a negative effect was found in women’s group. In the effects of social responsibility on entrepreneurship, me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hile these relationships were not significant in women’s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olicy that raises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women, which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men at present, to effectively prepare for the crisis caused by the reduced working-age population under poor labor market conditions.

      • KCI등재

        디지털 음악 시대에서의 물리적 음반

        추승엽(Seungyoup Choo),임혜민(Hye Min Yim),임성준(Seong-Joon Limb) 한국경영학회 2019 Korea Business Review Vol.23 No.2

        본 연구는 전통적 음악상품의 형태인 물리적 음반에 초점을 두고 오늘날 디지털 음원 중심으로 재편된 음악산업 환경에 대응하는 메이저 음악제작사들의 경쟁전략의 핵심요인을 탐색하였다. 오늘날 국내 음악산업은 디지털 음원시장이 급성장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음원관련 수익이 크게 감소하는 위기에 처해 있다. 반면, 이미 붕괴된 것으로 간주되었던 전통적인 물리적 음반시장은 여전히 음악산업 수익의 일정 부분을 담당하며 최근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된 한국의 음악산업구조 전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음원을 넘어 다양한 사업영역에 걸친 음악제작사의 대응전략을 파악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한국의 메이저 음악제작사들은 디지털 음원 중심의 음악산업이 가진 수익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팬덤(fandom) 조성을 통한 아이돌스타 중심의 비음악적 활동을 포괄하는 스타 매니지먼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여 디지털 음원 외에도 다양한 수익원을 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물리적 음반의 존재는 ‘듣는 음악상품’이 아닌 팬덤에게 소구하는 ‘소유하는 비음악적 문화상품’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중음악 공인차트인 가온차트를 활용하여 디지털 음원 대상의 선행연구(추승엽, 현창민, 임성준, 2016)와 동일시기에 차트에 집계된 물리적 음반을 대상으로 메이저 제작사들의 전략적 패턴에 높은 기여도를 보이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통해 물리적 음반의 성공에 있어서 메이저 제작사의 유의한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강한 팬덤 구축이 음악산업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메이저 음악제작사들이 추구하는 경쟁전략의 핵심요소임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As focused on physical music records, which is a form of traditional musical product, this study explores the key factors of major music productions’ competitive strategies in response to todays digital-centered music industry environment. Despite the rapid growth of the digital music market today, the domestic music industry is in a crisis where the profit related to digital music contents is greatly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traditional physical music records market, which has been regarded as already collapsed, still continues to grow, occupying a portion of the entire music industry revenue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rategies of music producers over various business areas other than digital music produc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music industry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 profitability limitations of the domestic music industry centered on digital music, major music productions of Korea are pursuing various revenue sources by building a star management business model that includes non-musical activities centered on idol stars through fandom. In this regard, physical music record is now not ‘a listening music product’ but ‘a non - musical cultural product’ owned by fandom.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Gaon chart, one of the most popular music charts of Korea, this study confirm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major music productions in the success of the physical records. In addition, it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at the strong fandom building is the core factor of the competitive strategy pursued by major music productions.

      • KCI등재

        디지털 음원산업의 흥행요인

        추승엽(Seungyoup Choo),현창민(Chang Min Hyun),임성준(Seong-Joon Limb)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4

        본 연구는 국내 대중음악 산업의 디지털 음원 제작에 있어 제작시스템, 제작주체의 역량 및 초기 성공이 음원의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 대중음악 산업은 2000년대 이후 전통적인 음반 시장이 축소되는 반면 디지털 음원 시장이 급성장하는 급격한 환경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음반 산업에서 검증되었던 성과 결정요인 및 대중음악 소비 메커니즘이 변화된 디지털 음원 중심의 산업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유의한지를 검증하는 것은 의미있는 시도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국의 대중음악 공인 차트인 가온 디지털 종합차트에 집계된 2012년 12월에서 2013년 12월 차트 주간 순위 100위에 진입된 1,428곡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원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기존 국내 음반 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임성준과 윤문수(2008), 임성준과 백운선(2004)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시스템의 차이, 제작사의 역량, 유통사의 역량, 스타파워, 차트진입 첫 주의 상위권 여부, 신인가수 여부를 도출하였다. 음원 흥행은 ‘음원의 차트상주기간’과 ‘첫 주 음원차트 진입순위’로서 각각 전체흥행성과와 초기 흥행성과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제작시스템, 제작사 및 유통사의 역량이 흥행요인으로 분석되었던 국내 음반 산업 대상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제작시스템, 제작사의 역량, 유통사의 역량은 디지털 음원의 전체 흥행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입 첫 주 상위권 여부와 스타파워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원의 초기 성공여부가 편승효과(Bandwagon Effect)에 기인하여 디지털 음원 전체 흥행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이 검증된 결과이며, 이러한 영향 정도는 기성가수 및 신인가수에 따라 차별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차트진입 첫 주 순위로 측정된 디지털 음원의 초기 흥행성과에 있어서는 제작시스템과 유통사의 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효과는 음원의 차트 상주기간으로 측정된 전체 흥행성과로는 연결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디지털 음원 중심의 음악산업 환경에서는 그동안 음반산업에서 성공방식으로 가정되고 시도되고 있는 제작시스템과 메이저 제작사 및 유통사의 영향력은 예상과는 달리 흥행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디지털 음원 중심의 산업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음원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새로운 접근전략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Previous research found that incidence of chart success measured by the length of chart survival of physical music records was affected by the record production system, competences of record companies, and initial popularity. Mor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records produced by the market based system on average outlasts the records produced by the vertically integrated system in the length of chart survival. Such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the network theory perspective which suggests that as the competition in Korean recording industry has become intense the market based system has been developed as a way for record companies to effectively maintain flexibility and manage risk by accessing to a variety of musicians and creative productions without costly long-term commitm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cords produced by either major productions or major record companies on average outlasts the records produced by non-major productions or non-major record companies in the length of chart survival. Such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ource based view of the firm which suggests that major productions and major record companies that possess superior resources should outperform rivals with lesser resources. Confirming bandwagon effect, it was found that initial popularity w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chart survival in Korean recording industry. However, digital music quickly replaces traditional physical music record in Korea resulting very different business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raditional factors of chart success in physical music equally affect chart success in digital music.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dynamics of chart success in Korean digital music industry over the period of 2012 to 2013 using weekly Korean digital music chart listings.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unlike physical music traditional factors of chart success, such as the production system of market based or vertical integration, and the power of major production and distribute companies, were not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the digital music. Only the initial popularity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igital music as well as physical music. Such results imply that we need a deeper understanding of distinct environment of digital music industry in order to cultivate effective strategies.

      • KCI등재

        TV 드라마 제작 프로젝트의 사회 네트워크 연결강도

        추승엽(Seungyoup Choo),임성준(Seong-Joon Limb)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는 대표적인 프로젝트 기반 조직의 형태인 한국 TV 드라마 제작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여 핵심인적 자원들 간의 관계적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약한 연결과 강한 연결의 네트워크 성격이 가진 특성과 효용을 검토하고 TV 드라마 제작에 참여하는 핵심 인적 자원들 간의 관계적 특성에 있어서 ‘더 좋은 연결’의 성격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핵심 인적 자원인 PD-작가, PD-남자배우, PD-여자배우 간 관계적 특성에 있어서는 약한 연결이 강한 연결보다 높은 시청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조직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논의에 있어 핵심 인적 자원들의 역할과 이들 간 협력 관계의 특성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strong and weak ties on the performance of project based organizations by examining various tie relationships in the Korean TV drama making industry. The extant literature has suggested that the impact of network ties depends not only on their strength but also the network contexts (i.e., project characteristics). Due to artistic and creative nature of TV drama making, it is hypothesized that weak tie networks among critical human resources would outperform strong tie networks. Empirical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weak tie networks indeed outperform strong tie networks in terms of viewing rate of dra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