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발명자 서베이 국제 비교를 통한 발명자 특성, 혁신과정 및 활용 분석

        추기능,이근,권혁욱,옥우석,강래윤 한국경제발전학회 2010 經濟發展硏究 Vol.16 No.1

        본 연구는 기존 특허자료를 활용한 연구나 기업 사례연구에서 얻을 수 없는 발명자 특성, 혁신활동의 특성 및 활용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 양국의 공동 서베이 자료를 이용해, 그 결과에 대한 분석을시도하였다. 비슷한 틀과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여러 나라에서 진행되어 온 분석을 한국에서도 수행함으로써 국제비교 결과를 제시하는 것에 더하여 혁신의 핵심 주체인 발명자에 기초해 시도한 분석이라는 점에서 연구의의의를 찾을 수 있다. 서베이의 방법론이나 분석의 수준 자체가 시론적인 성격을 띠고 있지만, 현재의 수준에서도 상당히 흥미로운 패턴들이 발견되었다.본 연구를 토대로 한국에서도 체계적이고 국제비교가 가능한 발명자 정보가구축되면 발명자 차원에서 추격국 기술혁신의 결정요인을 밝혀낸다는 학문적가치를 지닐 뿐 아니라 실제 정책이나 기업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JEL: O1, O3).

      • SCOPUSKCI등재

        발명자 생산성 결정요인: 네트워크 특성을 이용한 패널회귀분석결과

        추기능,Choo, Kineung 기술경영경제학회 2017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5 No.3

        본 연구는 1991년~2005년의 기간 동안 한국 특허청에 출원된 내국인 특허의 공동발명자료를 이용해 네트워크 특성 변수들의 '연도별 x 발명자별' 패널 자료를 구축하고, 이 자료를 사용하여 발명자 네트워크의 특성변수들이 발명자의 특허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패널 회귀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네트워크상의 강한 연계는 발명자 생산성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내 중심에 있는 발명자일수록 특허생산성이 높았다. 셋째, 네트워크의 기술적 다양성은 발명자의 특허생산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넷째, 발명자 네트워크의 질이 좋을수록 그 네트워크에 속한 발명자의 특허생산성이 높아진다. 다섯째, 네트워크의 크기가 클수록 네트워크내 발명자의 특허생산성이 높다. 여섯째, 네트워크에만 의존하는 발명자의 특허생산성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네트워크에 속하지 않은 발명자의 특허생산성은 오히려 높았다. 일곱째, 네트워크 변수들의 효과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여덟째, 지리적 경계가 약화되고 있지만, 네트워크 효과의 지역적 차이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This paper constructs panel data of inventors listed on patents applied for the KIPO during 1991-2005 and analyzes the effects of network characteristics on inventor productiv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ⅰ) Strong ties within a network have positive effects on inventor productivity. ⅱ) An inventor with high centrality shows high producitivity. ⅲ) Technological diversity of a network enhances inventor productivity. ⅳ) An inventor belonging to a network of good quality shows higher productivity. ⅴ) Network size is positively related with inventor producitvity. ⅵ) A lone inventor shows the highest productivity among types of inventors, and a co-inventor with the experience of standalone invention is more productive compared to an inventor with only the experience of co-invention. ⅶ) The productivity effects of network variables differ across regions. ⅷ) Differences among regions do not decrease though geographical boundaries become less important.

      • KCI등재

        발명의 특허성 및 특허의 유효성 분쟁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추기능,오준병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하나의 발명이 유효한 특허권으로 확정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분쟁 형태, 즉 결정계(ex parte)와 당사자계(inter parte)를 대상으로 하여 분쟁에서의 승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한 최초의 논문이며 기업, 소송, 대리인, 특허차원에서의 특성들을 설명변수로 구성하여 2단계 프로빗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모형에 따르면, 상대적 심판제기율, 심판제기까지 걸린 시간, 대리인 교체, 복수(複數) 대리인 등에서 결정계와 당사자계간에 평균 한계효과(average marginal effect)의 차이가 나타났다. 결정계의 경우 이들 변수가 승소확률을 낮추는 요인이 되지만, 당사자계의 경우 반대로 승소확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런데, 결정계와 당사자계 모두에서 특허를 출원한 대리인의 경험이 많을수록 승소확률을 낮추는 역설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대리인의 경험이 많을수록 심판제기 확률이 높아지는 표본선택(sample selection)의 효과가 이미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며, 대리인 경험의 전 범위에 적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특허의 가치를 나타내는 청구항수는 승소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인인 특허대리인에 한정하였고, 특허대리인의 경험을 출원대리에 한정하였으나, 앞으로 소송대리의 경험, 특허법인 차원에서의 특성자료, 더 나아가 특허인용 자료와 연결이 된다면 많은 추가적인 연구주제들이 파생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발명의 특허성 및 특허의 유효성 분쟁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7)

        추기능,오준병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3

        This paper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litigation success in the two distinctive types of patent litigations, ex-parte and inter-parte cases, which are brought in the process where a filed application becomes a valid patent right. We regress winning rates of patent applicants on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trials, patent lawyer, and patent itself, using a probit model with sample selections. The paper finds that the relative suit rate of a firm, time to be sued, changes of patent agents by applicants, and multiple agents among explanatory variables affect ex-parte reexamination and in-parte post-grant patent trials differently in the point of average marginal effects. These variables lower the probability of applicant’s victory in the ex-parte cases, while they raise the probability in the inter-parte trials. However, the experience that agents represent applicants is a winning rate-increasing factor both in inter-parte and ex-parte reexamination,unexpectedly. This result cannot be applied to the entire domain of the variable, since sample selection effects are reflected in the result. The number of claim increases the winning probability of the applicant in the both types of patent litigation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it ignores the information on the legal person to which a patent agent belongs, and confined agent’s experience to patent filing. We leave it future studi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wsuit experience of patent agent, and those of characteristics of the law firm to which individual patent lawyer is affiliated.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하나의 발명이 유효한 특허권으로 확정되는 과정에서나타나는 두 가지 분쟁 형태, 즉 결정계(ex parte)와 당사자계(inter parte)를 대상으로 하여분쟁에서의 승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한 최초의 논문이며 기업, 소송, 대리인, 특허차원에서의 특성들을 설명변수로 구성하여 2단계 프로빗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모형에 따르면, 상대적 심판제기율, 심판제기까지 걸린 시간, 대리인 교체, 복수(複數) 대리인등에서 결정계와 당사자계간에 평균 한계효과(average marginal effect)의 차이가 나타났다. 결정계의 경우 이들 변수가 승소확률을 낮추는 요인이 되지만, 당사자계의 경우 반대로 승소확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런데, 결정계와 당사자계 모두에서 특허를 출원한 대리인의 경험이 많을수록 승소확률을 낮추는 역설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대리인의 경험이 많을수록 심판제기 확률이 높아지는 표본선택(sample selection)의 효과가 이미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며, 대리인 경험의 전 범위에 적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특허의 가치를나타내는 청구항수는 승소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인인 특허대리인에 한정하였고, 특허대리인의 경험을 출원대리에 한정하였으나, 앞으로 소송대리의 경험, 특허법인 차원에서의 특성자료, 더 나아가 특허인용 자료와 연결이 된다면 많은 추가적인 연구주제들이 파생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방R&D의 혁신결과 분석 -ADD 특허의 후방 인용자료를 이용하여-

        추기능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7 지식재산연구 Vol.12 No.2

        This paper analyzes inventions made by R&D efforts done by ADD(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a military R&D branch using backward-cita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ⅰ) The number of patent claim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ependency of prior knowledge, originality, and technological distance. ⅱ) Both at the inventor level and at the organization level, research cooperation decreases the number of backward citations. A co-invented patent cites older sources compared with a patent made by a standalone inventor. Patents made through research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is based on a relatively narrower scope of knowledge compared with those made through separate research. ⅲ) The larger is the size of a inventor team, the more non-patent sources and the younger patents are cited by the team, ⅳ) A patent on which a prolific inventor is listed cites less. ⅴ) The citation of foreign patent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number of backward citation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non-patent citations and originality. A patent including the citations of foreign patents draws from younger sources and has low appropriability. 본 연구는 국방연구소 특허의 인용자료를 이용하여 국방R&D의 성과를분석하였다. 후방인용(backward-citations)을 이용하여 선행기술의존도, 원천성, 거리지표, 전유성 등을 측정하고. 이를 발명 특성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술의 가치 지표인 청구항수가 많을수록 선행기술의존도가 높고, 독창성이 높았으며, 기술적으로 먼 기술도 인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명자 수준과 조직 수준에서의 공동연구는선행기술의존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자 수준의 공동연구일 경우시간적으로는 먼 기술을 인용하고 있다. 조직 수준에서의 공동연구는 독창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수준에서의 공동연구가 기술유사성이높은 조직 간에 이루어져, 기술융합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에는 제약적임을 시사한다. 셋째, 발명팀의 크기가 클수록 비특허문헌의 인용이 많아지며, 시간적으로는 가까운 기술을 인용하고 있었다. 넷째, 다출원 발명자가속한 발명은 선행기술의 인용이 적고, 비특허문헌의 인용도 적었다. 다섯째, 해외특허 인용이 있는 특허는 선행기술의존도가 높았고, 인용되는 기술의범위는 좁았으며, 비특허문헌의 인용은 적었고, 기술거리가 가까운 특허를인용했으며, 기술의 전유성도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해외특허를 인용하는 특허일수록 큰 발명보다는 점진적, 작은 발명일 가능성이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 KCI등재

        발명자 네트워크가 발명성과에 미치는 효과 - 기업소속 특허 다출원 발명자를 중심으로 -

        추기능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지식재산연구 Vol.11 No.2

        This paper defines prolific inventors and co-invention networks after identifying individual inventors by using patent applications filed to the KIPO during the years from 1995 to 2005. The paper sets up variables related to prolific inventors and co-invention networks. The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a prolific inventor's inventive productivity (research productivity)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a firm to which an inventor belongs by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paper finds that a prolific inventor with both collaborative and single-handed inventions shows higher inventive productivity than a lonely inventor or a joint inventor does. Second, a serial inventor shows higher inventive performance. Third, the size and integration (embeddedness) of a ego network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ventive activities. Fourth, whereas inventors aged between 35 and 40 record highest inventive performances, the age variable has a negative simple linear relation with invention activities of a prolific inventor in general. Finally, both innovative capital and size of a firm have positive effects on inventions of prolific inventors. 본 연구는 1995년∼2005년의 기간 동안 한국 특허청에 출원된 내국인 특허의 공동발명자료를 이용하여 다출원 발명자를 식별한 후 다출원 발명자의특정 유형을 정의하고 변수화한다. 이러한 유형 변수와 함께 네트워크 특성및 기업 특성 등을 포함한 특성변수들이 다출원 발명자의 특허성과(연구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회귀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독발명만 하거나 공동발명만 하는 경우보다는 단독발명과 공동발명의 경험을 동시에 가진 발명자들의 후속 발명성과가 더 높았다. 둘째, 지속적인 발명자일수록 발명성과가 높았다. 셋째, 네트워크 규모가 크고 네트워크 연결의 강도가 클수록 발명성과가 높았다. 넷째, 기업발명자가 35세~40세에 해당될 때 가장 발명성과가 높았지만, 대체로 발명자의 나이와 발명성과 간에는 음(-)의 선형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섯째, 기업의 혁신자산과 기업규모는 발명자의 발명성과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기업나이는 발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출원인 인용 대 심사관 인용 - 한국 특허청 등록특허를 이용한 결정요인 분석 -

        추기능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1 지식재산연구 Vol.6 No.4

        특허출원 및 심사 단계에서 출원인과 심사관이 조사한 선행기술문헌은 각각 출원인 인용과 심사관 인용으로 구분되어 특허공보에 기재된다. 본 논문은 1)한국 특허의 인용자료를 최초로 이용해 출원인 인용과 심사관 인용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논문으로서의 가치를 갖는다. 본 논문은 2)출원인 인용과 심사관 인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크기나 방향을 두 인용 사이에 비교한다. 심사관 인용이나 출원인 인용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면 영향요인의 방향성이나 유의도 측면에서 두 인용간에 상당히 유사함을 발견했다. 이는 출원인 인용 또는 심사관 인용이 별개의 것이 아님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3)예비적 성격의 연구(a pilot study) 로서 인용과 영향요인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보다는 현상을 발견하는 데 초점을 둔다. 향후 과제로 좀 더 많은 연도를 대상으로(출원 cohort별로) 인용자료를 확보한 후, 주요 변수와 관련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엄밀한 모형으로 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Prior arts searched by inventors, and patent examiners appear in the front pages of issued patent documents, in which cited references by examiners are indicated with asterisk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as a starting point for citation analysis using Korean patent data. The paper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examiner citations as well as applicant citations. The paper finds that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between both citations are faded away if we exclude patents with no examiner-inserted citations in the regression of determinants for the inventor citations, and with no applicant citations in the regression for the examiner citations. The finding implies that both citations are interconnected in some way rather determined separately. This paper is a pilot study with a limited period of data. Further studies equipped with longer-period data, and enhanced methodologies are needed to be conclusive about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citations and to provide the explanation for the causality between inventor/examiner citations and their determinants.

      • KCI등재

        석박사 졸업자의 혁신성과에 지도교수의 발명자 네트워크가 미치는 효과

        추기능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지식재산연구 Vol.8 No.1

        Research networks of academic advis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knowledge transfer from advisor to students while in school, and after graduation. The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human networks of academic advisors in the viewpoint of the knowledge transfer, from advisors to students, and from ex-student to employing organization after graduation. Untill recently, literature on networks just describes the properties of networks. On the contra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network quality on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individuals active in networks. This paper builds up inventive networks using patent co-authorship data during 1993~2002, including 437 professor inventors and their 5,842 ex-students which successfully receive their Master or Ph.D. degrees. Since a single network measure reflects only one aspect of network structure, this paper constructs a composite index by integrating three different measures of network structure based on the methodology proposed by Parag et al.(2010). Using negative binomial regressions, this paper shows that network quality of academic advisors enhances innovativeness of their former students. Among individual measures, network size, which refers to the number of nodes connected to an individual inventor, has significant and positive sign of coefficient estimate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number of collaborative partners of an academic advisor is the most notable feature of a network structure which affect innovative performance of former students. 대학교수가 형성하는 연구 네트워크는 지도학생의 재학 중 지식습득에 영향을미칠 뿐 아니라, 졸업한 후의 혁신성과에도 영향력을 지니는 네트워크 자산이다. 본 연구는 지도교수로부터 지도학생에게로, 더 나아가 졸업한 지도학생이 몸 담게되는 새 조직으로의 지식전파라는 관점에서, 지식이전에 있어서의 지도교수의 인적 네트워크의 역할에 주목한다. 네트워크 관련 문헌들은 주로 네트워크를 기술(記述)하는데 그쳤으나, 본 논문은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또는 네트워크의 질(network quality)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특허의 공동발명자료(patent co-authorship data)를 이용해 발명자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1993년∼2002년 동안에 특허를 낸 적이 있는 발명자인 대학교수 437명과 이들 교수들의 지도를 받은 5,842명의 대학원 졸업자로 구성된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개별 네트워크 지수는 네트워크 구조의 한 측면만을 측정하고 있으므로 복합지수(composite index)로서 네트워크의 질(network quality)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네트워크의 질(network quality)의 측정지표인 복합지수(composite index)가 유의한 정(+)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네트워크의 질은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조를 측정하는 개별 지표 중에서는 네트워크의 크기가 유의한 양(+)의 값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지도교수가 얼마나많은 사람들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지가 석박사 졸업생의 혁신성과에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