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행복감 변화 차이를 중심으로

        최효식(Choi Hyosik),이선영(Lee, Seo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자아존중감 변화 패턴을 탐색하고, 확인된 잠재계층 구분에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행복감의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8차(2015년)∼10차(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어머니-자녀의 1,459쌍이다. 분석 결과, 첫째, 초1∼초3 시기 동안의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양상은 무변화모형보다는 선형변화모형이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계층성장모형 분석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양상은 4개의 이질적인 특징을 갖는 잠재계층(상수준 감소형, 최상수준 무변화, 중상수준 증가형, 중수준 증가형)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잠재계층 분류에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자아존중감 변화 양상에 기초한 잠재계층에 따라 행복감의 변화 양상에 차별적인 특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계층 2(최상수준 무변화 집단), 계층 3(중상수준 증가형 집단), 계층 4(중수준 증가형 집단) 집단은 선형변화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계층 1(상수준 감소형 집단)은 선형변화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자아존중감이 중요하며,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in self-esteem of 1st to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rajectories of their happines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s,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conducted with 3-year s of 1,459 pairs in mother-child longitudinal data from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tudy(KCYPS, 2015-2017)”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of 1st to 3rd graders demonstrated a linear growth pattern. Second, results of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ere emerged 4 groups; a high level-decreasing group, the highest level-unchanged group, an above average level-increasing group, and an average level-increasing group. Third,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hich are represented as perceived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ll the latent classes. Fourth, children’s happiness were differed among the latent groups of self-esteem. The adolescents whose initial value of self-esteem were high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while 3 other groups were relatively increased or unchan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ore attentions in self-esteem of 1st to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re needed to encourage their happines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counseling for encouraging self-esteem were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 양육스트레스, 초등학생의 심리적 특성, 학교적응 간 관계

        최효식(Hyosik Choi),이선영(Seonyo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gains and strains of mothers’ work-parenting balance with children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o explore how its rela-tionship changes through the influences of parenting stres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grit on school adjustment. Methods A total of 769 pairs of mother-child data in the 13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was followed by the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and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ML) was us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ains between mothers' work-family bal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al life stress and parental role stress, and the gains of mothers' work-family bal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al role stress. Also, parental role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and grit, mother’s life stress did not shown any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grit, and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grit and school adjustment, and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strains in work-family bal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multiple mediators of parental role stress, self-esteem, and grit, and the gains of work-family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multiple mediators of parent role stress, self-esteem, and grit.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ains and strains of work-family balance affect the self-esteem, grit,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through the mothers’ parental role stress. It implies that its important to reduce the parental role stress in order to help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이 양육스트레스,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그릿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13차(2020년) 자료(육아정책연구소)의 어머니와 자녀 769쌍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 양육스트레스,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그릿,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시 측정모형 다음에 구조모형 검증을 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시 갈등은 부모생활 스트레스, 학부모역할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시 이점이 학부모역할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학부모역할 스트레스는 자녀의 자아존중감, 그릿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생활 스트레스는 자녀의 자아존중감, 그릿,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그릿과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그릿은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가정 양립 시 갈등이 학부모역할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그릿을 다중매개로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일-가정 양립 시 이점이 학부모역할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그릿을 다중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이 특히 학부모역할 스트레스를 매개로 초등학생 자녀의 자아존중감, 그릿,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학부모역할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자녀의 심리적 안정과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무엇보다도 학부모역할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 유형화 및 영향 요인 검증

        최효식(Hyosik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부터 고등학교 시기까지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 양상은 어떠한지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부모 및 가족, 친구 및 교사 변인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확인된 삶의 만족도 변화 양상에 따라 고등학교 3학년 시기의 진로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1기(MAPS 1기) 6개년도(4차, 2014년~9차, 2019년) 자료의 1,15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국제결혼가정(한국인 아버지, 외국인 어머니)을 대상으로 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무조건 모형 분석, 성장혼합모형 분석 방법에 기초한 삶의 만족도의 잠재계층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부모 및 가족, 친구 및 교사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R3STEP 보조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잠재계층에 따른 진로태도 수준 차이 검증을 위해 BCH 보조변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분할함수성장모형을 활용한 분석에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중학교, 고등학교 시기 모두 감소하는 패턴이며, 고등학교 시기보다 중학교 시기의 감소 폭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 양상은 3개 잠재계층(하 수준-증가 및 유지 집단, 중 수준-감소 집단, 상 수준-감소 집단)이 확인되었다. 셋째, 삶의 만족도 잠재계층 분류에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교 성적,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 위축, 가족의 지지, 부모 감독, 부모의 지지, 친구의 지지, 교사의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잠재계층에 따라 고등학교 3학년 시기의 진로태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진로태도 결정성은 계층 3(상 수준-감소 집단), 계층 2(중 수준-감소 집단), 계층 1(하 수준-증가 및 유지 집단) 순으로, 진로태도 준비성은 계층 3(상 수준-감소 집단)이 계층 1(하 수준-증가 및 유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시기 동안 대체로 감소하는 패턴을 보이는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 부모 및 가족, 친구 및 교사 변인의 종합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longitudinal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and to identify relevant factors affect on the changes. The study also looked at career attitude of adolescents in 12th grade. Methods Data of 1,154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Korean father and foreign mother) from the 6 years (2014-2019)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were used. In specific,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Korean father and foreign mother) were used. The unconditional model based on the latent growth modeling and the life satisfaction potential class based on the growth mixture modeling were analyzed. R3STEP and BCH were also used to identify relevant factors on latent classification of life satisfaction and to differentiate carrier attitude deepening on the classification. Results As the results, the life satisfaction was decreased during both middle and high school, and greater decreases were found in middle school. Also, there were three distinct latent growth classes of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1) low-level increasing and maintaining group, (2) middle-level-decreasing group, and (3) high-level-decreasing group. In addition, self-esteem, school achievement, cultural adaptation stress, social withdrawal, parent supervision, supports from family, parents, friends, and teacher were found as relevant factors to differentiate classes. Adolescents’ carrier attitude in 12th grade was also different based on classifications of the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ti-factors (individual, parents, family, friends, teachers) should considere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방임, 심리적 특성, 스마트폰 중독 간 구조적 관계 :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최효식(Choi, Hyosik),연은모(Yeon, Eun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방임, 심리적 특성, 스마트폰 중독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2차년도(2014)의 학업중단 상태에 있는 45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결측치는 기댓값-최대화 알고리즘를 활용하여 처리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시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 낙인감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에 부적인 영향,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방임은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 자아존중감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 미래에 대한 생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아탄력성은 스마트폰 중독에 부적인 영향, 우울은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낙인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우울의 단순매개효과 및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방임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우울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우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적 낙인감과 부모 방임을 낮춤으로써 적응적 심리적 특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tigma, neglec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Methods 454 out-of-school adolescents panel data from NYPI s School Drop-Out Adolescents Panel Study in 2014 utili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esteem and ego-resiliency while it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depression. In addition, neglect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esteem and the self-esteem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but a positive influence on thinking to future.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were also found to have exercised as predictor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self-esteem,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showed both a simple and a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smart-phone addi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also double-mediated sequen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latent means analysis by gender were observed that the mean value of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Conclusions Thus, it suggests in-depth future studies with regard to lower social stigma and neglect to raise adap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oder to reducing smart-phone addiction in out-of-school adolescents.

      • KCI등재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948 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분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APIM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부 애착,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모 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배우자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자녀가 지각한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948 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분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APIM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부 애착,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모 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배우자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자녀가 지각한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al attachment of children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of parents and parental attachment, ego-resiliency,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Methods The study used a sample of 948 pair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who become a 5th grader in 12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9), and they were analyzed based on the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other’s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actor effect to parental attachment of their children. However, both mother’s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ner effect to parental attachment of their children to each. Second, the actor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were appeared. Thir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through their attachment to fathers and ego-resiliency. In addition, children's ego-identity was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school adjustment with their attachment to fathers. Moreover, the same patter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ego-resiliency, ego-identity,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부부갈등, 부모 참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관계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이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상대방 효과를 확인하고,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부부갈등, 부모 참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구조적 관계를 한국아동패널 13차(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13차(2020년) 자료의 1,224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상대방 효과 검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크기 비교를 위해 차이검증을 하였다.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부부갈등, 부모 참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최대우도법(ML)에 기초한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은 자신이 지각한 부부갈등,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도 자신이 지각한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은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도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이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은 자신이 지각한 부부갈등, 교육 참여를 순차 매개로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은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교육 참여를 순차 매개로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 모두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지만, 미디어 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은 다름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f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marital conflict an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of parents, marital conflict, parental involvement, and media device addiction of their children who go to elementary school. Methods A total of 1,224 pairs of data from the 13th Korean Children's Panel Study (2020) were analyzed wi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In order to compare the actor and the partner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an equivalence constraint model was set up and difference verification was conducted. Also,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ML)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smartphone addiction, marital conflict, parental involvement,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diction to media device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mother’s and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had a positive actor effect on the marital conflict, but a positive partner effect was only confirmed from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Second, the actor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be greater in father than mother, however, the partner effect of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 was greater than the partner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father. Third,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was influenced through how she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s' media device addiction, while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was influenced sequentially by mo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s' media device addictio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mother and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affec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 device addiction, but the mechanisms affecting on media device addiction from parents are different.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유형에 따른 양육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차이

        최효식(Choi, Hyo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출산 후 8년 동안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양상에 기초한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8년 동안의 양육행동 변화 양상에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 초등학교 3학년 시기의 자녀의 문제행동,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차(2008년)~8차(2015년), 10차(2017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어머니-자녀 1,283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출산 후 8년 동안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패턴은 무변화모형, 일차함수모형보다 이차함수모형이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출산 후 8년 동안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양상은 하 수준 무변화형, 중상 수준 증가-감소형, 중 수준 증가-감소형, 중하 수준 증가-감소형의 4개의 이질적인 양상을 보이는 잠재계층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잠재계층일수록 8년 동안 계속해서 낮은 수준의 온정적(사회적) 양육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잠재계층인 중상 수준 증가-감소형, 중 수준 증가-감소형 집단이 다른 잠재계층보다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존중감의 경우 중하 수준 증가-감소형 집단이 중상 수준 증가-감소형, 중 수준 증가-감소형 집단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보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촉진하기 위해 출산 후 조기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수준 및 원인 진단을 통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latent classe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trajectories in 8 years after the birth giving and investigated the distinguished differences and its influences on problematic behaviors and self-esteem of their children in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Eight-point data which includes 1,283 pairs of mother and her child derived from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2008~2015, PSKD) were used to analyze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10th year of PSKD data were used for problematic behaviors and self-esteem of their children. The results presented a quadratic increase and four distinguished pattern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trajectories in 8 years after the birth giving: low-unchanged group, above-average increased-decreased group, average increased-decreased group, below average increased-decreased group. Mothers who have higher maternal parenting stress showed warm parenting behaviors than other groups and even their children showed higher problematic behaviors as well as low self-esteem. Based on theses findings, the implication for supporting programs to decrease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order to encourage warm parenting behaviors as well as psychosocial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변화에 대한 부모감독, 문화적응스트레스, 또래관계의 동시 및 지연효과

        최효식(Choi, Hyosik),연은모(Yeon, Eun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ing trajectory of social withdrawal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find out whether parental monitoring, acculturative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has a current and a lag effect on social withdrawal during 5th grade to 9th grade. 1,296 adolescents who particiapted in 2nd to 6th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Panel Study(MCAPS) were used to analyz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is a statically significant individual variability in initial levels and both 1st and 2nd rates of change in social withdrawal. Second, current effects of high parental monitoring always support low social withdrawal except in 9th grade while lag effect support only during 8th to 9th grade in middle school. In acculturative stress, current effects of high parental monitoring always support high social withdrawal except in 9th grade while lag effect does not support at any level. Current effect of good peer relationship also always supports low social withdrawal and its effect get greater in 8th and 9th grade in middle school as well as of lag effect.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withdrawal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an decrease by an effective intervention of parental monitoring, acculturative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변화 특성을 확인하고, 부모감독, 문화적응스트레스, 또래관계가 사회적 위축 변화에 미치는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5개년도(2차-6차) 자료를 사용했으며, 분석 대상은 다문화 청소년 1,296명이다. 분석 결과, 첫째, 최적의 성장모형으로 확인된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기초했을 때, 초5-중3까지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은 변화율1(초5-중1)시기, 변화율2(중1-중3) 시기 모두 증가하는 양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3 시점을 제외한 초5에서 중2 시점에서 부모감독 수준이 높을수록 동일시점의 사회적 위축 수준이 낮은 동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부모감독이 사회적 위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연효과는 중2 시점이 중3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3 시점을 제외한 초5에서 중2 시점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동일시점의 사회적 위축 수준이 높은 동시효과가 확인됐지만, 지연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5에서 중3까지 모든 시점에서 또래관계가 원만할수록 사회적 위축 수준이 낮은 동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중2, 중3 시점에서는 사회적 위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가 함께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동안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지만, 부모감독, 또래관계,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과학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박기락,최효식,연은모,Park, Kirak,Choi, Hyosik,Yeon, Eun Mo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이 연구는 과학 태도 과학 탐구 능력과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과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를 검증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소재한 남녀공학 중학교 전 학년 502명을 대상으로 과학 태도 검사(MARS) 과학 탐구 능력 검사(TSPS)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 검사(PBI)를 하였으며, 1학기 1 2차 과학 지필평가 자료를 수집 후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과학 탐구 능력이나 과학 학업 성취도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과학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은 과학학업 성취도에,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과학 태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과학 태도, 그리고 과학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을 매개로 과학학업 성취도에 간접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정의적 특성인 과학 태도와 인지적 요인인 과학 탐구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채로운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 - 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가정에서는 자녀의 과학 태도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부모가 긍정적 양육 태도를 지닐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relevant variables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middle school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ttitudes toward science, science inquiry skills on the science achieve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502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had no direct influence on their science inquiry skills. However,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skills were found to have meaningful direct effects on their achievements. Students' perception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lso presente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In addition, the students'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revealed an indirect effect on science achievement, through their ow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skills. Research findings called for more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skills to improve their science achievements. At home, parents need to hav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to influence their children's attitudes regarding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