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의 사회·문화 여건이 대졸자들의 지역이동에 미치는 효과

        최형재(Choi, Hyung-Jai) 한국노동연구원 2022 노동정책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지역이동에 있어 주로 임금이나 소득 등 경제적 요인들의 효과에 초점을 맞춘 기존연구들과 달리, 대졸 청년층이 대학 소재지역으로부터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지역의 사회·문화 여건 등 비경제적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졸업한 대졸자에 대한 조사자료를 국가통계포털의 e-지방지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역 통계들과 연계하였다. 분석결과, 대졸자들 2명 중 1명꼴로 졸업 후 대학 소재지를 이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의 경제적 여건이나 노동시장 상황뿐만 아니라 교육, 교통, 안전, 보건의료, 환경 등 사회․문화 여건들이 대졸자들의 지역이동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경제적인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사회․문화 여건이 좋은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졸업생일수록 해당 지역을 이탈할 확률이 낮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비수도권 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일자리 미스매칭이나 인력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서 지역 간 경제력 격차뿐만 아니라 사회․문화 여건들의 격차가 해소되거나 보상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This stud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f population mobility that usually focused on the effects of economic factors, examines how non-economic factors, including various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ffect the college graduates’ decision to migrate out from the region where their colleges are located. For empirical analysis, data are drawn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merged with various regional statistics that are provided by national statistical portal, KOSIS. The samples for the analysis are those who graduated between 2007 and 2017. The result shows that slightly more than half of the college graduates leave the location of the college where they studied. Furthermore, for college graduates, not only economic and labor market factors but social and cultural surroundings, including education, transportation, safety, public health, living environments a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bability of leaving the region in which their colleges are located. These results imply that appropriate policy measures are called for in order to reduce both the economic and the social or cultural capital gaps that exist among regions, in particular between Seoul and the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s and the remaining regions, so that local job mismatches or demand-supply imbalance in the regional labor markets are lessened.

      • KCI등재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자료를 이용한 기간제 교사의 효과분석

        최형재(Hyung-jai Choi) 한국경제연구학회 2014 한국경제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기간제 교사 활용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2012년 전국 일반 고등학교의 임의 추출된 90% 표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간제 교사 비율의 확대는 대체적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짧은 교직경력 등 기간제 교사들이 지닌 불리한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기간제 교사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정책적으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기간제 교사의 부정적인 효과는 국 · 공립학교에 비해 사립학교에서 상대적으로 덜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기간제 교사 지위가 정교사로 전환되는 가교 역할을 할 경우 교사들이 수업에 보다 많은 노력을 투입할 유인이 존재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기간제 교사들이 더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제고되로록 하기 위해서는 기간제 교사들에 대해 정교사로 전환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확보해 주는 방향으로 교원정책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rising ratio of fixed-term teachers on students’ scholastic performance. The effect of fixed-term teachers was estimated by relating the ration of fixed-term teachers at the school level to the result of the national-level students’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the general high school in 2012. The overall results suggest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fixed-term teachers and students’ performance. The negative effect of fixed-term teachers might be attributed primarily to the adversary characteristics, such as relatively short teaching experience, of fixed-term teachers. Another interesting finding is that the native effect of fixed-term teachers is smaller in private schools than in public schools. The relatively positive fixed-term teacher effect found in private schools implies that fixed-term teachers have a stronger incentive to put more effort in teaching when there is a high chance that a fixed-term contract is switched to a permanent one, playing a ‘stepping stone’ role. This result suggest that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fixed-term teachers to be promoted to permanent teachers so as to encourage them to exert more effort in teaching under a more secured employment and to ultimately improve students’ achievement.

      • KCI등재

        차별시정에 관한 법률이 기업들의 차별시정 노력에 미친 영향

        최형재 ( Hyung Jai Choi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1 勞動經濟論集 Vol.34 No.3

        본 연구는 2007년 7월부터 도입되었던 비정규직법 중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차별적인 처우를 금지하는 규정이 기업들의 차별시정 노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차별시정법이 기업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용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중차분법을 적용하여 추정한 결과, 임금은 물론 퇴직금제도나 연차휴가 제도 또는 4대 보험 등 다양한 복리후생 분야에서 유의한 차별시정법의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차별시정법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차별시정 노력이 미친한 원인에 대한 분석과 보완책이 바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how firms responeded to the articles regarding the prohibition or correc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fixed-term workers in the ``fixed-term worker protection law``, which has been effective since July of 2007 in Korea. Data used cone from the Korean Workplace Survery, and a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was employ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causal effect, noting that the ``discrimination prohibition law`` has been applied to firms over stages based on their sizes. The empirical results show no strong evidence that the law played a positive role in reducing differentials between permanent workers and fixed-term workers in the areas of wage and various employee benefits, including the provision of severance pay, annual leave, and 4 major social insurances for fixed-term workers. A more thorough future analysis on the causes of the insignificant impact of the law in some employee welfare benefits, along with supplemental policies, is needed to have the law achieve the desired goal of removing discrimination at the workplace.

      • KCI등재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이전과정에서 영어의 역할

        김진영(Jin-Yeong Kim),최형재(Hyung-Jai Choi) 한국노동연구원 2010 노동정책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의 영어능력 또는 영어시험 준비 정도가 졸업 후 초기 노동시장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취업에 대해서는 영어시험 준비 정도나 영어시험 성적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어가 졸업 후 취업 시까지 걸리는 시간에 미치는 영향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다른 요인들이 통제되지 않을 경우 영어가 취업으로 이행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개인적ㆍ가구적 특성들이 고려될 경우 영어시험의 취업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사라졌다. 공인 영어시험 응시 여부나 영어시험 성적이 첫 일자리에서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 기법에 따라 일부 모델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다른 모델들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영어는 기껏해야 임금에만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을 뿐 취업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함으로써 영어에 대한 막대한 투자가 개인이나 국가 전체적으로 볼 때 크게 효율적이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English preparedness during college years is associated with labor market performance after graduation. The results provide no strong evidence that English readines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mployment possibility. Similarly, English preparedness does not appear to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 duration from graduation to the first job. The effect of English preparedness on the transition to work, which appears to be positive in a regression without any controls, become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hen individu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in the model.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English preparedness or official English exam scores on wages at the first job differed by identification methods that were employed. In some models, the wage effect appears to be positive, while it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finding that the positive effect of English preparedness might be at most limited to wages implies that the substantial investment on English may not be very economically efficient both on individual and the entire economy's perspectives.

      • KCI등재
      • KCI등재

        부업 참여 및 부업 근로시간의 결정요인: 기혼자를 중심으로

        임용빈 ( Yongbin Im ),최형재 ( Hyung-jai Choi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7 勞動經濟論集 Vol.40 No.2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던 부업에 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25세부터 65세까지의 유배우자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부업 참여율은 1.4% 정도이고, 부업 참여자들은 주업에서 주당 40시간, 부업에서 20시간 등 주당 총 60시간의 장시간 근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업 참여에 대한 고정효과 로짓 모델의 추정 결과에서는 주업의 시간당 임금 및 근로시간이 부업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업의 일자리 안전성이 하락할수록 부업 참여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업의 근로시간에 대한 고정효과 모형 분석 결과에서는, 주업의 근로시간은 부업의 근로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주업의 임금은 부업의 근로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흥미롭게도 부업의 임금이 증가할수록 부업의 근로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장시간 근로를 하고 있는 부업 근로자들의 상황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onlighting behavior in Korea, to which relativel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Based on the wage earners of 25 to 65 year old married, the results show that about 1.4% of the sample have dual jobs, working very long hours, on average 60 hours for a week combining both the primary job and the secondary job. The results of the fixed effects logit model on the moonlighting participation indicate that the wage rate and the hours of work in the primary job have a negative effect on moonlighting participation while the insecurity of the primary job appears to lead to a higher probability of taking a secondary job. The results of the moonlighting hours analysis suggest that hours worked in the primary job have a negative effect on moonlight hours while the wage of the primary job does not appear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moonlighting hours. Interestingly enough, the wage of the secondary job appears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moonlighting hours, which might be very plausible considering the long working hours moonlighters are engaged in.

      • KCI등재
      • KCI등재

        지역 설비투자의 결정요인

        박재곤(Park, Jae-Gon),최형재(Choi. Hyung-Jai) 한국지역개발학회 2009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1 No.3

        Thì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regional facility Învcstment and how the investment behavior 이Jfers among regîons. The statistics shows that over1 regiol investmenl is declining, and that investmenl is heavily concentrated in certain regions. The results of a nel fixcd -effects model indκate that, nong vanous macroeconomics facωr ‘ interest rates and e:‘change rate have a sl.uistically signifiçant impaCl on regional inveslmenl. and lhal land pnce, the degree of concentrat.ion “ manufacturing industries. GRDP and the relat.ive ca ωprice are lhe most important determînants among regiona1 variables. addition, factors that affect region investmenl differ across regions. Exchange rate. labor foπ:e. l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manactunng slries. transportation condition and knowledge infrastructure are relauvely sinificant faclOrs to ex ain ìn'eslment ìn Sudokwon 'hìle labor force and the degree conccntration of manufacturing induslries are important factors in Chungchung region. 10 I-Ionam regi이1. exchange r꺼le a이Je.1fS to maller for inveslment. whi1e exchange rate. lahor force. land price. the relalive caαtal price, GRDP and knowlge În(rastructure are therel ativ티y significant delenninants of investment io Youognam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