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前期 武科에서의 擊毬 도입배경과 그 실제

        최형국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0 No.42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ssential meaning of Gyukgu based on research of martial art history. Gyukgu is a type of polo game that was played in the Milirary examination in Early Joseon period. Especially, practical contents drawn by the research and restoration of various positions of Gyukgu were added to focus o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archetypal martial arts against the limit of research based on historical and literal records. Martial arts’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Gyukgu were searched through comparing between not only Gyukgu but core Martial Arts on Horseback skill such as crescent shaped halberd and Pyungon(flail shaped martial art stick) on horseback performed by soldiers in Joseon dynasty. A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Gyukgu, Firstly it was the way of training military officers with practical use of tactics for the cavalry. Secondly, Gyukgu’s method of a match and single play were settled as watching martial arts. Thirdly, it was very quickly spread and disseminated by the characteristic of Gyukgu as watching match. As a result, it became a cause of creating golf style play. Lastly, actively spread Gyukgu in early Joseon period had changed as practical Martial Arts on Horseback with the weapons in the late Joseon period, so horse riding traditions had been kept. 본 연구는 격구의 본질적 의미 파악을 위하여 무예사적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격구는 Polo 경기의 형태로 조선 전기에 무과시험으로도 행해졌다.특히 이론적인 틀거리 및 사료 중심의 연구한계를 벋어나 실제로 다양한 擊毬 자세를 복원 및 연구하며 얻어진 실기적 내용을 더하여 보다 무예 원형적인 의미파악에 주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격구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기병들이 훈련했던 馬上月刀나 馬上鞭棍 등 핵심적인 馬上武藝와의 실기사적 비교를 통하여 擊毬의 무예사적 특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擊毬의 무예사적 특징은 첫째, 당대 기병전술 활용을 위한 武官 육성을 위한 것이며, 둘째 경기 방식과 1인이 단독으로 펼치는 擊毬 모두 觀覽形 무예로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다. 셋째 격구의 관람형 특징으로 보급 및 확산의 속도가 빨라져 민간에서는 말을 타지 않고 땅위에서 공을 치는 골프형의 놀이로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선전기에 활발하게 보급되었던 擊毬가 조선후기에는 馬上鞭棍을 비롯한 실전형 무예로 교체되면서 기마전통이 유지되었다는 것이다.

      • KCI등재

        『兵學通』의 전술과 華城幸行 「班次圖」의 武藝 侍衛軍 배치 관계성 연구

        최형국 한국무예학회 2021 무예연구 Vol.15 No.1

        This study is based on the 『Byeonghagtong(兵學通)』 tactics of Military tactical book, which was compiled in the King Jeongjo era. Using the weapons of the actual paramilitary procession of this 「Banchado(班次圖)」 illustrations, analysis was conducted from a military historical point of view, such as tactical development of combat and tactical signal development using flags and musical instruments. When the real king's procession faces a military threat until the arrival from Palace Changdeoggung(昌德宮) to Suwon Hwaseong(華城), it is most effective to protect the king and move the procession steadily to the next shelter. Therefore, the procession of 「Banchado」 was more than a ritual procession, and the actual protection military tactical arrangement of the King was carried out. In particular, King Jeongjo arranged five layer of Royal guard, a sword soldier, a spear soldier and gun soldier to make his escort thicker. This was designated as Muyecheongjagmun(武藝廳作門) and was strictly contro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unit. In addition, King Jeongjo confirmed that the close-guard area formed by the Royal guard that quickly responded to a surprise attack through the cavalry unit of Seongidae(善騎隊). This is a tactical deployment that protects the most important generals during the 『Byeonghagtong』 march when attacked by an enemy,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Banchado(班次圖)」.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King Jeongjo's procession of the 「Banchado(班次圖)」 is more than a simple chairperson procession, and reflects the military tactical meaning. 본 연구는 정조대 편찬된 진법서인 『병학통(兵學通)』의 전술 내용을 바탕으로 화성행행(華城幸行) 「반차도(班次圖)」의 실제 시위군 행렬의 무기활용 및 무예, 전투전술전개, 깃발이나 악기를 이용한 전술신호 전개 등 군사사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도성의 궁궐인 창덕궁을 시작으로 수원 화성(華城)에 도착할 때까지 실제 국왕의 어가 행렬이 군사적 위협에 봉착했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국왕을 보호하고 대오를 안정적으로 다음 기착지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시위군병의 기본적인 임무였다. 따라서 「반차도」의 행렬 배치는 단순한 의례행렬의 넘어 실제 국왕의 보호하는 군사 전술적 배치가 이뤄졌다. 특히 정조는 자신의 호위를 더 두텁게 하기 위하여 5열의 환도수, 조총수, 장창수와 능장수 등을 배치하였고,‘무예청작문(武藝廳作門)’이라 하여 마치 군영의 출입구로 엄히 통제하는 방식을 취했다. 또한 정조가 탄 어승마 부분의 위내(衛內)는 선기대(善騎隊)의 기병병력을 통해 기습 공격시 빠르게 대처하는 기동군으로 편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병학통』에서 행군시 적의 기습을 당할 때 가장 빠르게 주장(主將)을 보호하는 전술전개인데, 이것이 「반차도」 상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결론적으로 정조의 을묘년 반차도상의 국왕의 행렬은 단순한 의장행렬을 넘어 군사 전술적인 의미가 충분하게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武藝圖譜通志』의 「銳刀」 자세 분석과 「本國劍」과의 연관성 연구

        최형국 한국무예학회 2020 무예연구 Vol.14 No.4

        In this paper, I study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martial arts book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Yedo(銳刀)」 in the Joseon era and the actual posture of it. In addition, it is a study of the correlation with 「Bonguggeom(本國劍)」. In the case of 「Yedo」, it is the simplest movement that is the most basic in training a knife called ‘Chosp(Basic training)’. The mainly way of movement, it’s basic attacked and defended, It was composed of a very simple posture. More specifically, If analysis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Yedo」. First sentence describes its posture. Second, it explains the possibilities of which parts or attacks can be carried out in this way. Thirdly, it is an explanation of the actual movement. It was able to find out what step method was used to explain the final posture when moving from the first posture to the next posture. In addition, when creating a new martial arts posture name in some martial arts books including 「Bonguggeom」, confirmed that the name of the newly created posture was borrowed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movements. Based on this, if there is in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corresponding posture of the posture that matches the name of 「Yedo」 in 「Bonguggeom」, or if it does not exist, Borrowed the explanation of that action with 「Ye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Jocheonse(朝天勢), Jwahyeobsuduse(左挾獸頭勢) and Baegwonchuldongse(白猿出洞勢), it was found that a natural connection posture is possible when add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본 논문은 조선후기 병법서인 『武藝圖譜通志』 중 銳刀의 문장 구조 및 그에 따른 실제 자세와 본국검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것이다. 예도의 경우는 ‘初習’이라고 할 만큼 칼을 수련함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단순한 동작인 주로 칼을 접었다가 공격하는 움직임이나 공격하였다가 겨누는 방식으로 지극히 단순한 자세로 구성되어 있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도의 전체 문장구조는 가장 먼저 해당 자세에 대한 모습을 설명하고, 바로 이어 이 방법으로 어느 부분 혹은 어떤 공격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 움직임에 대한 설명을 첫 자세에서 다음 자세로 움직일 때 어떤 손과 발을 사용하고 어떻게 움직여 어떤 보법으로 마지막 자세를 하는지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武藝諸譜飜譯續集』을 비롯한 여러가지 무예서에서 새롭게 무예 자세 명칭을 만들어야 할 경우 그 동작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만든 자세의 명칭을 차용했다는 부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국검에서 예도의 명칭과 일치되는 자세 중 해당 자세에 대한 설명이 소략하거나, 없을 경우에는 예도에서 그 동작설명을 차용하여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朝天勢, 左挾獸頭勢, 白猿出洞勢의 경우는 예도의 동작설명을 바탕으로 추가하면 공방기법에 따라 자연스러운 연결세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朝鮮武士英雄傳』의 저술 의미와 근대적 신체인식

        최형국 한국무예학회 2019 무예연구 Vol.13 No.1

        In this research, I examined the change of body consciousness through martialarts and the book's written meaning of "『The hero story of Joseon warriors(朝鮮武士英雄傳)』" published by Jasan Ahn Hwak in 1940. 『The hero story of Joseon warriors(朝鮮武士英雄傳)』 is worth comparing with 『Bushido : the Soul of Japan』(1900) written by Japanese Nitobe inajo (新渡戶稻造) and 『中國之武士道』 (1904) written by Chinese Lyangchichao (梁啓超). This book can be seen in important writings that understand the spiritual axis of the modern oriental martialarts spirit. The martial arts awareness of Ahn Hwak that added national consciousness was influential enough to make a public lecture for Joseon young people together with Yeo Un Hyeong in 1935. hrough this book, the Joseon people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of dark colonies through spread of martialarts spirits. And he tried to account for the need to remodel and develop for the modern people. Specifically, as a measure to be able to overcome the reality of Joseon colonization through "『The hero story of Joseon warriors(朝鮮武士英雄傳)』" through martial arts traditionally trained by Joseon such as Archery, Sword, Horse racing, Kicking balls and Kyugu, Stone fighting he explained how to make advantage of martialarts spirit. he explained the framework of modern body consciousness based on anatomy. It also highlighted the heroes that were not noticed so far, like women and slaves. This also explained the cultivation of modern citizen consciousness. 본 연구는 1940년에 자산 安廓이 발간한『朝鮮武士英雄傳』의 저술의미와 무예를 통한 신체문화인식의 변화를 살펴본 글이다. 『朝鮮武士英雄傳』은 일본의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가 쓴 『Bushido : the Soul of Japan』(1900)과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가 쓴『中國之武士道』(1904)와 함께 동양삼국의 근대 상무정신의 축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저술로 볼 수 있다. 민족의식을 가미한 안확의 무예 인식은 1935년 몽양 呂運亨과 함께 조선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무예인식 변화를 통한 대중강연을 진행할 정도로 영향력이 있었다. 안확은 이 책의 저술을 통해 조선 민족이 무예와 무예정신의 함양을 통해 암울한 식민지 현실을 타파하고 근대국민으로의 개조 및 발전해야함을 설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방안으로『朝鮮武士英雄傳』에서 弓術·擊劍·柔術·競馬·蹴球/擊球·石戰 등 한민족이 전통적으로 수련해오던 무예를 통해 武士的 기풍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해부학을 바탕으로 한 근대적 신체인식의 틀로 설명하였다. 또한 여성이나 노비와 같이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민중의 영웅을 부각시킴으로써 근대적 시민의식의 함양까지도 저술에 녹여내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 심하전투를 중심으로 -

        최형국 육군군사연구소 2012 군사연구 Vol.- No.13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 of the changes in the military tactics of Joseon army in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process in the war with northern countries.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books of military tactics Muyejebobeonyeoksokjip(武藝諸譜飜譯續集) and Yeonbyeongjinam(練兵指南) published after the Imjin war in 1592,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s in individual soldier's war fighting sty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military tactics.In addition,the limits in the military tactics were addressed through the analys is of Simha battl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books of military actics, in the battle formation and the martial art that a soldier trained, the roles to protectthe cavalry were greatly expanded. Through this,it was identified that the military tactics of Joseon army, which was focused on the infantry because Joseon army had to fight against Japan's army since the Imjin war in 1592, was trans formed to protect the cavalry against the northern countries. In addition,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diversifcation of the military tactics was pursued through the combined tactics of military carts, cavalry and infantry by enforcing the chivalry's fighting power, not the infantry military tactics which was simply focused on artilleryman. 본 논문은 17세기 조선군 전술변화의 양상을 대북방 전쟁 과정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임란 이후 편찬된 병서인 『무예제보번역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과『연병지남』(練兵指南)을 구체적으로 살피면서 전술변화에 따른 군사 개개인의 전투방식의 변화까지도 확인하였다. 또한 심하전투의 분석을 통하여 전술적 한계를 짚어 보았다. 특히 병서의 내용 중 진법이나 군사 개개인의 익히는 무예의 경우는 기병을 방어하는 역할이 대폭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임진왜란 이후 일본군을 상대하기 위하여 급속하게 보병 위주로 변화된 조선군의 전술체제가 다시금 대북방 기병전력을 방어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순한 포수 위주의 보병전술이 아닌 살수와 기병전력을 보강하여 거기보(車騎步)통합전을 통한 전술 다양화를 모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마상무예의 특성과 실제

        최형국 龍仁大學校 武道硏究所 2011 武道硏究所誌 Vol.22 No.1

        이 연구는 조선후기 편찬된『武藝圖譜通志』에 실린 마상무예 6가지의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武藝圖譜通志』의 편찬과정을 임진왜란 이후부터 시기적으로 검토해 본 결과 정조대에 완성된 이 병서의 가장 큰 특징은 마상무예의 보급을 통한 기병전술의 확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기창교전과 마상편곤의 보급은 기병의 단병접전술이 당시 기병전술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격구의 경우는 정조대 당시 실전되었지만 기병의 마상무예 훈련을 위해 반드시 복원해야할 무예로 인식되었기에 이 병서를 통해 재보급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武藝圖譜通志』편찬을 통한 마상무예의 보급추이는 기병의 전술적 활용가치를 극대화시킨 것으로 정조대 당시 기병력이 우수한 대청방비를 위하여 조선군의 전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제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통무예와 군사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 수원 화성과 무예24기 중 마상무예(馬上武藝)를 중심으로

        최형국 역사실학회 2012 역사와실학 Vol.48 No.-

        This study deals with measure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based on ‘24 martial arts(Muye 24ki)’ which i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waseong Fortress in Suwon by raising subtle examples.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be helpful for future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for region by concentrating on study about Martial arts on horseback among 24 martial arts.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completed in Jeongjo reign in Chosun includes martial arts that soldiers in Jangyongyeong(壯勇營) practiced-the soldiers guarded Hwaseong Fortress in Suwon. Accordingly, it was identified that if cultural contents where tangible Hwaseong Fortress in Suwon and intangible 24 martial arts are in harmony, are developed, this could lead maximized synergy effect. Specifically, cultural contents strategy was mentioned by classifying contents to development of exhibition contents through restoration of traditional space and exhibition, development of contents for tourism through experience related to Martial arts on horseback and military history in Hwaseong Fortress. And it was identified through further task and perspective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entral training hall for 24 martial arts’ for systematic study and restoration of traditional martial arts, to list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on UNESCO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