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pect Oriented Programming Framework의 비교

        최한수 國民大學校 BIT 專門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Software System은 이전의 Software System보다 규모는 더 커지고, 비즈니스 로직은 더 복잡해졌으며 보다 적은 비용으로 보다 빠르게 개발 될 것을 요구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산업의 가장 중요한 패러다임 중에 하나인 SOC(Separation of Concerns)에 대한 해결에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System을 만들기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도 많은 발전이 있었으며, 현재 가장 발전된 프로그래밍 언어인 OOP를 기반으로 하는 설계방식은 기능적 분해를 통해서 핵심적인 기능들은 모듈화하여 SOC를 해내었지만, 여러 모듈들에 걸쳐서 나타나는 Crosscutting concern에 대한 SOC를 해결해내지는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재의 프로그래밍 언어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기술들이 제안이 되었는데 이중에서 Aspect라는 영역을 통하여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Crosscutting Concern을 또 다른 단위시스템으로 모듈화하여 해결하는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가 OOP의 대안으로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AOP대하여 소개한다. 또한 AOP를 이용한 Framework들 중에서 현재 배포되고 있는 Framework중에서 AspectJ, JBoss AOP, Spring을 택하여, 이 들 Framework들의 세부특성을 여러 기준으로 비교하고, 흔히 사용될 수 있는 예제를 통하여 각 Framework들간의 Code의 비교를 행하였으며 벤치마크 툴을 사용하여 Method Invocation 성능에 대한 비교를 하였다. 이러한 비교의 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세 AOP Framework중에서 상황에 맞는 Framework의 선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저장방법 및 전처리가 멀구슬나무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최한수 전북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멀구슬나무 종자의 저장방법, 온도조건 및 전처리에 대한 발아특성을 구명함으로서 실생번식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멀구슬나무 종자의 실온저장 및 노천매장에 따른 발아율 조사 결과, 노천매장된 종자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이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양건 실온저장이 우수하였으며, 음건 실온저장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과피 유무(有無)에 따른 발아율에서 양건 실온저장의 경우 과피가 제거된 종자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음건 실온저장과 노천매장의 경우는 과피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저장방법별 종자를 파종한 후 나타난 발아개시일은 발아율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낸 노천매장 처리구가 양건 및 음건 실온저장 처리구 보다 발아개시일이 더 짧았으며, 모두 과피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온도조건이 멀구슬나무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발아율은 전주와 제주 산지 모두 35℃에서 항온조건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와 20℃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한편, 두 산지 간에는 30℃와 35℃에서는 제주 산지가 전주 산지보다 더 높은 발아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변온조건이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변온조건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항온 적정온도인 35℃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4. 발아속도는 15~40℃의 항온조건 중에서는 발아율과 마찬가지로 전주와 제주 산지 모두 3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역시 변온조건에서 현저히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전주와 제주 산지 모두 20↔30℃ 변온조건이 25↔35℃ 변온조건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평균 발아일수의 경우 항온조건 중에서는 전주, 제주 산지 모두 35℃에서 가장 짧게 나타났으며, 40℃에서 가장 길었다. 평균 발아일수 역시 변온조건에서 항온조건 35℃에서 보다 현저히 짧았게 나타났다. 또한 전주 산지가 제주 산지보다 20↔30℃와 25↔35℃ 모두에서 더 짧게 나타났으며, 변온조건 간에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6. 발아균일지수 역시 발아율 및 발아속도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항온조건 중에서는 35℃가 가장 높았으며, 변온조건이 35℃ 보다 현저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두 산지 간에는 제주 산지가 모든 항온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변온조건에서는 전주 산지가 더 높았다. 7. 산지별 멀구슬나무 종자의 파상 및 발아촉진제 처리 후, 발아율은 파상 처리구가 비파상 처리구보다 발아율이 높았으며, GA3 및 KNO3의 발아촉진제가 발아율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파상+GA3 100ppm 처리구와 파상+KNO3 1.0% 처리구가 가장 효과가 높았다. 8. 평균발아일수는 전주 및 제주 산지에서 파상+GA3 100ppm 및 KNO3 1.0% 처리구가 가장 짧게 나타났다. 반면, 무처리구와 GA3 400ppm 처리구가 가장 길었다. 9.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는 발아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전주 및 제주 산지에서도 앞에서 언급되었던 발아특성들과 마찬가지로 파상+GA3 100ppm 처리구 및 파상+KNO3 1.0%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 여가활동 유형 및 속성에 따른 여가만족도 연구 : 서울시 근린공원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한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근린공원이 시민들의 주된 여가활동장소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공원내 여가활동은 생활체육이나 휴식적 차원의 소극적이고 단편적인 여가활동에 그치는 장소로 이용되고 있는 한계를 인식하는데에서 출발하였다. 공원이라는 한정된 공간과 제한된 예산내에서 공원이용자들에게 높은 만족감을 선사하기위해 가장 효과적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으며, 일상적 여가활동에 비해 근린공원내 여가활동유형 및 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공간적 활용성과 접근성이 좋은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유형을 체계적으로 재분류하고 여가활동의 양적, 질적 속성에 따른 만족도를 면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생활권 공원 본래의 조성목적인 도시민의 휴식과 정서함양을 넘어 공원이용자들이 보다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근린공원내에서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질적인 요인인 여가활동의 유형 및 속성과 양적인 요인인 여가활동빈도 및 시간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일상적 여가활동에 비해 근린공원내 여가활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연구함으로써 근린공원이 더욱 더 다양한 여가활동은 물론 여가만족도도 높은 장소로 이용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린공원내 여가활동은 유형별로 여가만족도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일상적 여가활동유형이 유형간 긍정적 가치의 질적 차등화를 이루고 있어 여가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영향을 주는 것과는 달리 근린공원내 여가활동유형간에는 긍정적 가치가 상호 동등하게 나타남에 따라 여가활동유형이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점을 의미한다. 둘째, 근린공원내 여가활동은 적극적·능동적 속성에 따라 여가만족도간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는 일상적 여가활동유형이 적극적․능동적 속성을 가짐에 따라 여가만족도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로서 근린공원내 여가활동의 속성도 일상적 여가활동유형이 가진 적극성․능동성의 정도에 따라 질적 차등화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여가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근린공원내 여가활동유형과 속성의 상호작용에 따른 여가만족도는 일상적 여가활동유형이 갖는 긍정적 가치의 질적 차등성에 비해 상호 동등하게 나타남에 따라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린공원내 여가활동유형이 갖는 가치 동등성의 정도가 여가활동의 속성이 갖는 가치 차등성의 정도에 비해 보다 큰 영향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보다 큰 영향력을 갖는 여가활동유형의 가치 동등성이 여가만족도에 차이가 없는 결과가 나오는데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넷째,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양적인 변수인 여가활동시간은 여가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시간 미만의 여가활동자에 비해 1시간 이상의 여가활동자들의 여가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양적인 변수인 여가활동빈도는 여가만족도를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시간 이상의 시간을 매일 여가활동에 투자하는 것이 여가만족도를 가장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 전방향 바퀴를 사용한 이동로봇의 빠른 경로추종과 방향각 보정

        최한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proposes a simultaneous path tracking and angular stability control method for omni-wheel mobile robots. Omni-wheel mobile robot platforms allow 3 degree of freedom (DOF) movement, unlike two-wheel mobile robots. Gaining the ability to move in 3 DOF makes the task of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more difficult, therefore 3 DOF control schemes usually divide control tasks into path tracking and heading angle control. However, convergence to the desired path and orientation often takes too much time, and this is often undesirable; a robot with a forward-facing sensor array, for example, should maintain a forward heading angle for obstacle detection, and deviation from a prescribed trajectory is potentially dangerous. For these reason, this paper proposes a new control method that is able to provide improved path tracking capabilities while also achieving faster heading angle convergence by creating a single control rule that achieves both trajectory tracking and heading angle control. The control rule is generated by the Lyapunov exponential stability method, ensuring that it can conduct stable convergence irrespective of environmental noise. It is shown that the new control method can achieve faster convergence throug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in real environments.

      • 먹는물 수질기준의 유기물과 THMs 관리를 위한 TOC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최한수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수처리장은 상수원에서 물을 끌어와 사람이 마실 수 있도록 정수과정을 거 친 후, 염소소독을 하여 병원균이나 세균을 제거하여 위생관리를 유지한다. 하 지만 처리 후에도 남아있는 유기물과 염소가 반응하여 인체에 유해한 소독부산 물이 생성된다. USEPA는 소독부산물 중 발암물질로 알려진 THMs (총트리할 로메탄)을 관리하기 위해 전구물질인 NOM (천연유기물)을 TOC (총유기탄소) 나 DOC (용존유기탄소)으로 대체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국내 정수처리장에 서는 TOC를 법적으로 관리하고 있지 않다. 유기물 측정방법으로 KMnO4 소비 량 (과망간산칼륨소비량)으로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수질공정시험기준에 이와 유사한 실험방법인 CODMn (화학적산소요구량)의 경우 TOC로 대체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기물과 THMs을 관리를 위해 먹는물수질기준에 TOC를 제안하 고자 한다. 이를 입증하고자 세 가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Glucose 용액과 TOC표준물질을 측정하여, KMnO4 소비량과 TOC의 상관관계 를 입증하였다. 그 결과 각각 0.98 (p value vb <0.05)과 0.92 (p value<0.05)로 95 % 신뢰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두 번째는 한강 수역별 정수처리장의 정수시 료를 이용하여, TOC의 먹는물수질기준을 산정하였다. 먹는물수질기준 결과 3.04 mg/L로 산출되었다. 세 번째 THMs 생성 대표 인자인 유기물함량 따라 THMs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강 수역별 정수처리장 6구역을 조사한 결과 TOC에 농도에 따라 THMs의 영향을 있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TOC를 정수처리장에서 활용하면 정수처리 후 에도 남아있는 NOM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유기물의 농도에 따른 소독부산물에 예측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The water treatment plant takes water from the water source and undergoes a water purification process for humans to drink, and then disinfects chlorine to remove pathogens and germs to maintain hygiene management. However, even after treatment, the remaining organic matter and chlorine react to produce disinfectant byproduct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 USEPA defines the precursor NOM as a replacement for TOC or DOC to manage THMs, known as carcinogens, among disinfection byproducts. Currently, TOCs are not legally managed at domestic water treatment plants. KMnO4 consumption is designated as a method of measuring organic matter. However, CODMn, a similar experimental method in the water quality test standard, is being replaced by TOC. This study aims to propose TOC to the standard of drinking water quality for managing organic matter and THMs. To demonstrate thi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ways. The first was to measure the glucose solution and TOC reference material, demonstr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of KMnO4 and TOC. As a result, it was measured at a 95% confidence level of 0.98 (p value<0.05) and 0.92 (p value<0.05), respectively. The second was to determine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of TOC using hydrostatic samples from hydrostatic treatment plants by region. Based on drinking water quality, 3.04 mg/L was calculated. The effects of THMs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organic matter content, the third representative of THMs generation. According to a survey of six areas of water treatment plants by Han River water area, it was determined that THMs had an effect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OC.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TOC proposed in this work is utilized in an integer treatment plant to accurately measure the remaining NOMs after integer treatment. It is also expected to help predict disinfection by-product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products.

      • 웹기반의 전자처방전 처리 시스템에 관한 硏究

        최한수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을 기반으로 하여 전자처방전의 전달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시스템 설계의 우선적인 목표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종류, 위치와는 상관없이 인터넷을 통하여 편리하게 전자처방전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앞으로 의약분업이 시행되면 환자가 병원으로부터 원외처방전을 발부 받아 약국에 가서 그 처방전의 내용대로 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환자가 병원으로부터 받게되는 원외처방전을 분실 또는 훼손 등의 일이 발생할 수가 있다. 이러한 일들을 방지하기 위해 원외처방전을 전자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환자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적인 원외처방전의 교환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처방전의 분실 및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하고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라면 원외처방전을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받을 수 있게 한다. 기존의 병원들에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과 본 논문에서 설계되고 구현된 의료정보센터의 연계를 통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하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측의 요구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구현 방안의 하나로써 비주얼베이직에서 제공하는 웹클래스를 사용하여 처리속도와 보안성을 높였고, 약국에서 환자의 원외처방전을 얻을 수 있도록 처방전을 검색하는 모듈을 설계하였다. 이 검색 모듈은 컴포넌트간에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인 COM(Component Object Model)을 기반으로 하였다. 그리고 원외처방전의 전달을 위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형식을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료정보센터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DAO(Data Access Object)와 RDO(Remote Data Object)를 능가하는 기능성과 유연성을 가진 ADO(ActiveX Data Object) 객체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설계하고 구현한 시스템은 웹을 통하여 병원과 약국간에 원외처방전을 전자적으로 편리하고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The thesis explain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 that processes electronic prescriptions on the World Wide Web. The system is designed to allow a patient to receive electronic prescriptions conveniently through the Internet regardless of which client system he or she uses in which location. Patients will have to go to a doctor for a prescription and, then, go to a pharmacist to get medicine when the government' s prescription drug system is put in place to divide rights of doctors and pharmacists to prescribe and dispense medical products. In that case, there may be lost or corrupted/destroyed prescriptions. This is when the system comes in handy; sending prescriptions electronically will not only guarantee convenience but also prevent any loss or destruction of prescriptions. The system allows any one who can browse the Internet to receive electronic prescriptions using an easy-to-use interface; the existing systems of hospitals can be linked with the Medical Information Center as explained in this thesis to process any tasks a client may request. Furthermore, the system has adopted WebClass provided in Visual Basic to enhance processing speed and security and has a module for prescription search so that the pharmacies can download patients' prescriptions directly from the systems of hospitals. This search module is based on the COM(Component Object Model) that enables component to component communication. In addition, prescriptions will be processed using XML(eXtensib1e Markup Language). For an access to the database of the Medical Information Center, objects will be processed using ADO(ActiveX Data Object), which provides better functionality and flexibility than DAO(Data Access Object) and RDO(Remote Data Object). In conclusion, the thesis introduces a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to process prescriptions electronically.

      • Automatic fire fighting apparatus using image process of deep learning

        최한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It is a highly crucial task to protect people and properties at fire scenes through early detection and suppression. For this aim, it is necessary for fire apparatus to swiftly move to fire scene by early detection. In addition, performing fire suppression after swift and accurate fire scene detection are required. Recently, researches on the method to determine whether fire has occurred or not through image processing by using deep learning and the metho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lame existence and unmanned vehicle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This study introduces the method to determine fire occurrence through unmanned surveillance camera and suppressing it by unmanned fire fighting truck. First of all, Chapter 1 mentions recent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is study. Chapter 2 introduces the method regarding determining fire occurrence. The deep learning model used for fire detection constructed architecture by effectively using modified DCR block and CMFC block. By using multi-scale prediction based on flame size, determination of fire occurrence was more accurate and alarm malfunction rate was lower than existing methods. Chapter 3 suggested the method to determine road areas in which driving is possible so that unmanned fire fighting trucks can move fast and avoid obstacles. Chapter 4 suggested the method to perform vanishing point determination - a preprocess of lane recognition - so that driving in current lane is possible in road area. Afterward, fire occurrence area has to be identified once unmanned fire fighting truck arrives at a scene. Chapter 5 suggested fire segmentation model which identifies fire occurrence area through semantic segmentation. Lastly, the models used in performing such methods are generally known to require vast amounts of computations and memory. Therefore, Chapter 6 suggested a lightweight fire segmentation model which can be used in mobile devices. The suggested methods have been identified of their validity through respective experiments. Also, accuracy was identified based on evaluation metrics suitable for respective experiments. Through this, the proposed methods suggested in respective chapters have been identified to have greater accuracy compared to the recently published methods which used the algorithm-based method and using the deep learning method. 화재현장에서는 화재를 초기에 발견하고 진압을 통해 화재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업무이다. 이를 위해서는 화재를 초기에 감지하여 화재현장으로 소방시설이 빠르게 출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화재발생 지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화재진압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최근, 딥러닝을 사용한 영상처리를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화염의 존재가능성을 판단하는 기법 및 무인자동차를 사용한 화재진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무인 감시카메라를 통해 화재여부를 판단한 뒤, 화재현장으로 무인 소방차가 출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몇가지 기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먼저, 1장에서는 이 논문과 관련된 최근 연구동향에 대해 언급한다. 그리고 2장에서는 화재발생 여부 판별에 대한 기법을 소개한다. 화재감지를 위해 사용된 딥러닝 모델은 modified DCR block 과 CMFC block 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architecture를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화염의 크기에 따라 multi-scale prediction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기법에 비해 더 정확한 화재발생여부 판별과, 더 낮은 경보 오작동율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화재현장으로 출동하면서, 빠르게 이동해야 하는 무인소방차가 장애물 회피가 가능할 수 있도록 주행이 가능한 도로영역을 판별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4장에서는, 이동 중 주행가능한 도로영역에서 현재 차선을 유지하며 주행 가능하도록, 차선인식의 전처리 과정인 소실점 판별을 수행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후, 화재현장에 무인소방차가 도착하면 화재발생 영역을 판별해야 한다. 5장에서는 semantic segmentation을 통해 이러한 화재발생 영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fire segmentation 모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법들이 수행되는 데 사용되는 모델들은 전체적으로 많은 연산량과 메모리를 요구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6장에서는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경량화된 fire segmentation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각각의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실험에 맞는 평가지표를 통해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각 장에서 제안한 기법들은 모두 최근에 발표된 알고리즘 기반의 기법과, 딥러닝을 사용한 기법들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