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시재생계획 수립 시 탄소저감사업 계획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 분석

        최창규 ( Chang-gyoo Choi ),박기용 ( Ki-yong Park ),박희경 ( Hee-kyung Park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5 No.6

        본 논문은 대상지역의 탄소발생량 현황과 도시 재생에 있어서 탄소저감 사업에 따른 탄소 저감량을 분석하여 도시재생 계획이 탄소저감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평가하고, 중장기적으로 탄소저감 시나리오별 탄소 발생량 저감치를 예측하여 BAU 대비 탄소저감 목표치를 달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현황분석에서 대상지역의 탄소발생량은 73,368 tCO<sub>2</sub>eq로 산정되었으며, 특히 건축물 및 수송 분야의`에너지`에 해당하는 부분이 44%로 도출되어 이 지역은 건축물 및 수송 분야의 에너지 저감사업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2011년 대비 2020년 탄소 발생량이 74,214.7 tCO<sub>2</sub>eq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시도에 비해 낮은 증가율을 보이는 것으로 이는 도시쇠퇴에 의한 상가 공실률 증가 및 거주인구 감소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도시재생사업에 의한 탄소 저감량은 3,552 tCO<sub>2</sub>eq로 약 1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20년 BAU 대비 탄소저감 목표의 5.3%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이러한 도시재생에 따른 탄소 저감량을 높이기 위해 시나리오 A, B, C로 구분하여 각 사업별 목표치를 설정하여 예측한 결과, 시나리오 A가 약 5%, B가 11%, C가 15%로 분석되어 최소한 11% 이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나리오 B를 도시재생 사업의 탄소저감 목표치로 설정하여 중장기 사업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is paper estimated a generation mass of GHG (Greenhouse Gas) at objective area and diminution mass of carbon dioxide on the urban regeneration schemes, and forecasted the diminution mass of GHG within the objective period. Thus, it evaluated that urban regeneration schemes can contribute the GHG reduction in urban area. Total mass of GHG generation was 73,368 tCO2eq in an objective area, and the sector of `Energy` accounted for 44%. It found that urban regeneration schemes were focused to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at `shopping and public building`. The GHG mass was measured with 73,367.4 tCO<sub>2</sub>eq in 2011, and it predicted that GHG mass might be increased to 74,214.7 tCO<sub>2</sub>eq in 2020. The diminution mass on urban regeneration schemes estimated 3,552 tCO<sub>2</sub>eq, it expected that GHG mass might decrease to 11.5% at an objective period, and it is 5.3% of a goal of GHG reduction mass in 2020. In the analysis of a GHG diminution mass on scenario A, B and C, scenario B and C, which presented the strong GHG reduction standards, expected to achieve 11% indicating the target of GHG reduction rate based on BAU.

      • KCI등재
      • KCI등재

        막분리를 이용한 간헐포기공정에서 C/N비 변화에 따른 제거율 및 질소제거 특성

        최창규 ( Chang-gyoo Choi ),이광호 ( Kwang-ho Le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4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5 No.3

        본 연구는 막분리·간헐포기 공정에서 유기물의 유입부하 변동에 의한 유기물, 질소 및 인제거 능력과 유입수와 유출수내의 NH<sub>4</sub>-N과 NO<sub>3</sub>-N 농도변화, 질소 물질수지를 검토하였으며, 한 cycle내에서의 질소성분 변화를 분석하여 C/N비에 따른 질소제거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C/N비 5, 7, 10에서의 COD<sub>Cr</sub>, T-N, T-P 제거효율을 검토한 결과 CODCr의 경우 95% 이상으로 3조건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T-N과 T-P의 경우 C/N비 5(41.1%, 3.1%)보다 C/N비 7에서 89.1%, 47.8%로 월등히 높은 제거능력을 나타냈으며, C/N비 10에서는 84.1%, 37.8%로 C/N비 7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유기물의 충분한 공급이 영양염류 제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C/N비에 따른 NH<sub>4</sub>-N, NO<sub>3</sub>-N 농도와 질소물질수지를 산출한 결과 모든 조건에서 NH<sub>4</sub>-N 유출농도가 5㎎/ℓ이하로 낮게 유지되어 질산화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유출수 NO<sub>3</sub>-N의 경우 C/N비 5에서 16㎎/ℓ(36%)로서 타 조건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여 탈질반응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적절한 질산화/탈질반응을 위해 C/N비 7 이상이 유지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 cycle내에서의 질소거동은 호기상태의 NH4-N농도가 4㎎/ℓ 이하로 낮게 유지되면서 질산화반응은 양호하게 이루어졌지만 C/N비 5의 반응조내 NO<sub>3</sub>-N 농도가 15~21㎎/ℓ사이로 유지되어 타 조건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는 낮은 유기물 유입부하가 탈질에 방해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OD<sub>Cr</sub>, T-N and T-P and the nitrogen remov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N ratio change in Intermittently-aerated Membrane Bioreactor(IAMBR). First, as C/N ratio changed with 5, 7 and 10, COD<sub>Cr</sub> removal efficiencies were above 95% in all conditions. However, the efficiencies of T-N and T-P were 89.1% and 47.8% in C/N 7 and 84.1% and 37.8% in C/N 10 respectively, and it showed higher removal than C/N 5, because the organic matter of influent came into the reactor at high loading. Second, in the outflow concentration of ammonium nitrogen and NO<sub>3</sub>-N, the nitrification successfully achieved at the same degree in all conditions. However, NO<sub>3</sub>-N concentration of outflow was the highest in C/N 5. As this results, we found that the appropriate C/N ratio is above 7. Third, in the variation of nitrogen components in a cycle, the ammonium nitrogen concentration in the reactor kept below 4㎎/ℓ, and it proved that nitrification was successful in all conditons. However, NO<sub>3</sub>-N concentration in the reactor was between 15 and 21㎎/ℓ in C/N 5, and it presented the considerably high concentr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conditions. It proved that low COD loading affected the NO<sub>3</sub>-N removal(denitrification rate).

      • KCI등재

        간헐포기공정과 막결합 간헐포기공정의 오염물질 제거특성 비교

        최창규(Choi Chang Gyoo),이광호(Lee Kwang Ho)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6 No.1B

        본 연구의 목적은 간헐포기공정(IABR)과 막결합 간헐포기공정(IAMBR)의 오염물질 제거능력과 영양염류 제거 mechanism을 비교 검토하여 막침적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질산화율 및 탈질율을 산정하였으며, 질소물질수지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IAMER과 IABR의 경우 유기물 제거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양염류 제거능력은 IAMBR이 IABR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산소 상태에서 반응조 내의 질산성 질소 농도가 IAMBR이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높은 탈질화 반응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며, 질소물질수지의 결과에서도 IAMBR에서 탈질된 질소성분이 40.9%로 IABR의 10.7%보다 4배 이상 높은 탈질능력을 보였다. 따라서, 높은 MLSS 농도의 유지와 간헐적 유입ㆍ유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 막이 월등한 질소제거능력의 차를 보임으로써 간헐포기공정에 대한 막결합의 타당성이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comparison of pollutants removal and the track study of the nitrogen and phosphorus, the estimation of the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rate,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nitrogen mass balance between intermittently aerated membrane bioreactor(IAMBR) and intermittently aerated bioreactor(IABR), thus it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membrane submergence. As a result, it had no difference of organic matter removal, however, IAMBR showed better efficiency than IABR in the nutrients. Also, NO₃?-N concentration at the anoxic state in the reactor was lower in IAMBR, and the denitrified nitrogen of IAMBR was 40.9%, that of LABR was 10.7%, thus it found out that the denitrification capability of IAMBR was higher than IABR above fourfold. Therefore, it seems resonable to conclude that the membrane helps to improve the removal of pollutants, because of the high MLSS concentration and the available method of intermittent inflow/outflow.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