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스트레스 정도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에 미치는 효과

        최진명(Jinmyung Choi) 한국언론학회 2007 한국언론학보 Vol.51 No.5

        본 연구는 일상적인 스트레스 정도, 다가올 일의 유무, 신경증적 경향, 그리고 남녀 성차이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무드관리이론의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미국대학생 67명이 삼일동안 작성한 텔레비전 일기를 바탕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위 변인들의 영향력을 다수준 분석(multilevel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선택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흥분유발정도와 유쾌함 유발정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경증적 경향이 높을수록 선택된 프로그램의 흥분유발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무드조정이론이 예상한대로, 다가올 일의 유무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마지막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에 대한 스트레스의 고유 영향력을 보다 명확히 하는 데 기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upcoming task, neuroticism, and gender on selective exposure to television messages. American college students completed television diaries for 3 consecutive days. When reporting their entertainment choices of each day, high stressed individuals, compared with low stressed individuals, reported that they elected to choose more relaxing and unpleasing television programs. Compared with low neuroticism individuals, high neuroticism individuals preferred exciting television programs over relaxing ones. It was also found that, in part, the upcoming task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tertainment choices. These findings help to explain daily entertainment choice behaviors from mood-management standpoint.

      • KCI등재

        사용자후기에 대한 선택적 노출: 조절초점의 역할 탐색

        최진명(Jinmyung Choi)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경영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론의 시각에서 사용자후기에 대한 선택적 노출 현상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가설은 성취초점지향(안녕초점지향)의 참가자들은 선호제품(차선호제품)에 관한 사용자후기를 우선 소비하려 할 것이란 예측이었고, 두 번째 가설은 해당 제품의 후기 내용에 관한 선택적 노출에 관한 것으로, 성취초점지향(안녕초점지향)의 참가자들은 열망후기(경계후기)를 첫 번째로 선택 할 것이란 예측이었다. 캠핑카여행 상품과 펜션여행 상품을 대상으로 대학생 118명이 참여한 실험 결과, 조절초점의 영향력에 대한 위 가설들은 대체로 지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소비자의 사용자후기에 대한 선택적 노출 가능성을 최초로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온라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 및 향후 사용자후기 연구들에 시사하는 바를 결론에서 언급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d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on consumers' selective exposure to online reviews. Results from an experiment yield two primary findings. First, promotion-focused participants tended to select the review of a preferred product more than expected, whereas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tended to select the review of second preferred one more than expected. Second, when online reviews of the product they wanted to read were provided, promotion-focused consumers tended to select an eagerness review more than expected, whereas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tended to select a vigilance review more than expected. The results present evidence of consumers' selective exposure to online review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line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online reviews were discussed.

      • KCI등재

        영화 속 흡연배우에 대한 감정이입이 청소년의 흡연기능 대리학습에 미치는 효과

        최진명(Jinmyung Choi) 한국방송학회 2009 한국방송학보 Vol.23 No.2

        이 연구는 영화 속에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고 있는 캐릭터의 흡연은 청소년들에게 부정적 감정-흡연 간의 관계지식 학습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만일 흡연 캐릭터에 대한 감정이입(empathy)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면, 시청자들은 그들이 좋아하는 캐릭터의 흡연행위를 이해하려고 시도하는 과정에서 흡연의 기능 측면을 선택적으로 주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가지 주장이 제시되었다. 첫째, 흡연 캐릭터에 대한 감정이입이 높게 형성되었을 경우 그 캐릭터가 부정적 감정 상황에서 행하는 흘연은 흡연의 기능에 관한 학습을 유발할 것이다. 둘째, 영화를 통해 부정적 감정-흡연 관계 지식을 습득한 청소년들은 그들이 목격했던 영화흡연과 유사한 부정적 감정 상태를 일상에서 겪게 될 때 그 관계지식의 활성화로 인해 그 상황에서의 흡연민감성(susceptibility to smoking)이 증대할 것이다.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실험(실험 1에서는 남자 캐릭터의 흡연, 실험 2에서는 여자 캐릭터의 흡연이 초점이 됨)결과 위 주장들을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특정 조건에서의 영화흡연은 흡연의 기능에 관한 학습을 유발함으로써 청소년들의 흡연시작을 유도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proposed that viewing a character smoking on screen to cope with a negative affective situation produces knowledge of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negative affect and smoking. Viewers who experienced empathy toward the smoking character are hypothesized to try to understand why a liked character would engage in harmful behavior such as smoking. Two hypotheses were advanced. First, adolescents who viewed a liked character smoking to manage a negative affective situation will be more accepting of other people smoking to manage the movie-congruent negative affect. In experiment 1, 107 adolescents viewed Just Run in which a male protagonist smoked and 104 adolescents viewed…ing in which a female protagonist smoked in experiment 2. After viewing the movie, participants indicated their approval of the target person's smoking appeared in a picture and later completed a smoking susceptibility scale. Overal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uggests that on-screen smoking produces vicarious functional learning about smoking including knowledge of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negative affect and smoking.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광고 메시지의 목적 프레이밍: 경제적 및 심리적 혜택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프레이밍이 구매의사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최진명 한국방송광고공사 2007 광고연구 Vol.0 No.76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negative and positive goal framing of ad claims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 In particular, based on the idea that the gains or losses presented by the goal framing have two basic quality (economic vs. psychological gains or losses), I compared the patterns of framing effects relative to each target quality of the goal framing in 2 experiments. Using 2 (framing: positive vs. negative) X 2 (target quality: economic vs. psychological) withinsubject (Ex 1) and between-subject (Ex 2) designs, it was tested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the frames (positive vs. negative) interacted with the target quality of the goal framing. Results showed that when an economic quality was the target of the goal framing, the negatively (vs. positively) framed ad messages were more effective in eliciting purchase intention. When a psychological quality was the target of the goal framing,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frames were reversed. Overall, the different pattern of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and negative ad frames might differ depending upon the target quality of the goal framing. 본 연구는 목적 프레이밍 문헌들이 주장하는 부정적 프레이밍의 설득우위 효과가 광고 메시지의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특히 광고 메시지의 경우 목적 프레이밍의 대상은 경제적인 혜택이거나 또는 심리적인 혜택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프레이밍 대상의 속성에 따른 목적 프레이밍의 차별적 효과 여부를 조사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실험 1>에서 26명의 참가자들은 각 광고 메시지의 긍정적 및 부정적 프레이밍 정보 모두에 노출되었으며, <실험 2>에서는 71명의 참가자들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 프레이밍 정보 중 하나에만 노출되었다. 참가자들은 프레이밍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구매 의사결정 시나리오(하나의 시나리오 당 하나의 광고 메시지 포함)를 읽고 난 뒤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구입의사 정도를 나타냈다. 그 결과 두 실험 모두에서 광고 메시지의 목적 프레이밍 효과는 프레이밍의 대상이 되는 혜택의 속성에 따라 차별화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 프레이밍의 대상이 경제적 혜택인 경우 긍정적 프레이밍보다는 부정적 프레이밍이, 대상이 심리적 혜택인 경우에는 부정적 프레이밍보다는 긍정적 프레이밍이 구입의사 정도를 높이는 데 보다 효과적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