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헬리콥터 탑재 비행 시험을 위한 파드 시스템 구조 설계

        최장섭,Choi, Jang-Seob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3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6 No.6

        The load requirements should be known to design mechanical structure. This paper proposes a generation method of load requirements using U.S. military specification to design the external mounting structure of the helicopters of which the flight environments such as aerodynamic forces and inertia forces are unknown. In this study, the load requirements which were applied at the design of the pod structure for helicopter captive flight test could be computed by using this method. The validation of proposed method was confirmed from the test flight using developed pod system.

      • SCOPUSKCI등재

        전자 광학적 훌로그래픽 간섭법을 이용한 진동물체의 모드형태 계측법

        최장섭,강영준,Choi, Jang-Seob,Kang, Young-June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0 No.2

        This paper describes as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system which has been designed for measuring vibration patterns and quantitative measurement of vibration amplitude fields by using the time average method on a object. Visbility of fringe patterns is more improved by using the phase stepping and frame average method to reduce speckle and electric noise. And a bias vibration is introduced into the reference beam to shift the $\frac{2}{0}$ fringes so that fringe shift algorithms can be used to determine vibration amplitude.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to those of the FFT analyzer and the FEM model analysis.

      • KCI등재

        이중 전동식 진동 시험기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의 비행진동 환경시험 연구

        최장섭,오동호,Jangseob Choi,Dongho Oh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3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6 No.3

        Analysis of dynamic characteristics and flight vibration test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was studied by using dummy test body. The FEM model for dummy test body was supplemented by results of modal and random vibration test. The free end boundary condition to simulate flight environments was made by test setup using bungee cable. Prior to the flight vibration test using a dual electric vibration exciters, the test procedure to calculate quantitative vibration level was studied by using military specification. The actual test was successfully done by using the analysis and pretest results. From the analysis results,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he test by predicting the excitation force of the flight vibration test and to get the response of any point which could not be measured by th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uch contribute to the Test and Evalu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 KCI등재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장기적 공익광고 캠페인 전략 연구

        최장섭(Choi Jangseop),최장섭(Choi Jangseop)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는 문제인 아동 학대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장기적(長期的)인 관점의 광고 캠페인 전략을 예시함으로써 차후 실제적인 아동학대 방지 캠페인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아동학대 방지에 대한 단계별 공익광고 캠페인을 구체적으로 예시함으로써 각 단계에서 무엇이 요구되고 어떻게 계획되어야 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로서 영국의 사례를 통해 장기적 캠페인 전략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아동학대 방지 캠페인의 문제점을 문헌연구와 중앙아동보호기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파악해 본다. 본격적인 캠페인 설계를 위해 먼저 목표수용자를 부모 피해아동 피해아동의 주변인 사회전체로 분류하고 각각에 맞는 메시지 유형을 설계한다. 이 후 장기적 공익광고캠페인 설계를 위해 제품 수명주기에 따른 광고 전략을 적용하여 도입기 광고 2편 성장기 광고 2편 성숙기 광고 1편의 총 5편의 광고 전략을 제시한다. 도입기 광고에서는 위협소구를 통해 주목성을 높이고 범국민적 관심을 유도한다. 성장기 광고에서는 세분화된 목표 수용자에게 아동학대의 정보와 대처방법을 각 수용자에게 적합한 내용으로 구체적으로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성숙기에서는 긍정적 소구를 통해 행동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아동학대 종식이라는 궁극의 목표를 달성하기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아동학대 방지 캠페인 전개를 위한 논의와 후속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at giving a concrete example of PSA(public service advertising) campaign strategy based on long-term perspective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which is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 This study would help to plan an effective campaign strategy in case the campaign is actually planned and executed someday. For this reason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should be needed and how to plan a campaign strategy at each stage by exemplifying a series of creative strategies. As a preceding study a case study of long-term campaign strategy in the UK is investigated and the problems of child abuse campaign in South Korea are figured out by means of literature study and interview with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 At first target audienc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parents abused children their neighbors and society. And then message types for each audience are investigated. Finally applying advertising strategy based on product life-cycle into PSA campaign this paper proposes creative strategies of five television commercials covering from a phase of introduction to a phase of maturity. In a phase of introduction fear appeal will be used to raise awareness in a nationwide movement. In a phase of growth concrete information and measures about child abuse will be delivered to each segmented target audience group. In a phase of maturity action change will be encouraged with positive appeal aiming at ending child abuse. It is expected that with this research more discussion and follow-up research will be executed for effective campaign strategies for protecting child abuse.

      • KCI등재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의 예술 및 디자인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최장섭(Choi Jangseop),최장섭(Choi Jangseop)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제너러티브 아트(generative art) 또는 제너러티브 디자인(generative design)은 주로 컴퓨터 아트의 일종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개념을 확장하여 예술과 디자인 영역에서'생성적(generative)'이라는 개념이 비(非)디지털(non-digital)적으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그 사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디자인 교육은 문제해결 또는 조형 능력 함양과 같은 결과지향적인 방법을 추구해 왔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가 진행함에 따라 디자인의 의미와 역할도 재정의 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디자인 활동에 대한 대안의 하나로 생성적 디자인 방법론(Generative Design Methodology)을 소개하고 그것이 지니는 함의와 가치를 사례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술에서'생성적인(generative)' 것과 개념적으로 연관성 있는 이론과 사례들을 찾고 생성적인(generative) 특성을 디자인 활동에 대입시켜 기존의 디자인 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던 시도들을 알아본다. 또한 교육의 영역에서 제너러티브 방법론이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예술 및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이 가질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Generative art' or'Generative design' has been recognized as a sort of computer ar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se studies of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applied into art and design by expanding this limited boundary into a non- digital approach. Up to now design education has focused on a solution-based methodology such as problemsolving method cultivating ability of formative arts. However as information society has progressed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meaning and role of design should be redefined. This study introduces the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as an alternative of the present design discipline and figures out its implication and value through examining its case study. For this it will find some theory and examples related with a generative concept in art discipline and the trials to overcome a limit of traditional methodologies in design discipline. And also it will find some case studies of design education workshops and fin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on design educ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배아,태아,유아에 대한 불법행위와 위자료청구권

        최장섭 ( Jang Seop Choi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3 연세법학 Vol.21 No.-

        민법 제3조에 의하면 사람은 생존한 동안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된다. 생존한 동 안만 권리의 주체성이 인정되기 때문에 태아에게는 원칙적으로 권리능력이 인정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태아를 보호하기 위해 민법은 개별적인 보호규정을 두고 있다. 그 대표적인 규정이 민법 제762조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한 출생의제 규정이다. 출생의제 규정의 해석과 관련하여서 전통적으로 정지조건설과 해제조건설이 주장되어 왔으나 이러한 전통적인 견해에 의할 때에는 모체와 함께 사망하거나 사산 된 태아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법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인 사안에서보다 부모의 위자료를 증액하여 인정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그러 나 이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방법이 될 수 없다. 전통적인 견해에 의할 때 사산된 태아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은 민법 제762조를 제3조에 대한 특별규정으로 인정하여 제 3조와 분리하여 별개로 해석, 적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민법 제762조를 민법 제3 조로부터 분리시키면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에서는 태아를 완전한 사람으로 인정하게 되므로, 사산한 경우에도 태아 자신의 위자료청구권을 포함한 손해배상 청구권을 인정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속도 인정할 수 있게 된다. 민법에서 보호하는 태아는 수정란이 모체에 착상된 시점부터 인정되는 것인데, 배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착상 이전의 배아 단계에 대한 보 호도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배아에게 직접 불법행위가 행해져 배아가 모체의 자 궁에 착상되지 못한 경우에는, 착상되지 못한 배아를 권리주체로 인정할 수 없기 때문 에 배아에게 위자료청구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배아가 착상되고 출생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는 배아가 태아의 단계까지는 이른 것이므로, 태아에 대한 논의에서와 마찬가지로, 태아에게 위자료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나아가 배아에 대한 불법행위가 행해져 장애를 가진 상태로 출생한 경우에는 완전한 사람으로 출생한 것 이므로 위자료청구권을 인정해야 한다. 배아는 권리주체로 인정할 수는 없지만 생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특별한 물건으로 인정할 수 있으므로, 혈액이나 신체 일부 보다 더욱더 존중되어야 하는 권리의 객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배아에 대한 불법행위는 배아생성자의 인격권 침해에 해당하여 배아생성자의 위자료청구권 이 인정된다. According to Article 3 of the Civil Act, a human being becomes a subject of rights and duties for the duration of existence. Because the recognition as a subject of rights is only during existence, in principle, a fetus is not recognized as subject possessing rights. Thus, the Civil Act includes separate regulations on the protection of the fetus. The representative regulation is Article762 of the Civil Act, regulation on the subject of birth: the claim for damages in case of illegal acts performed. With regard to interpreting this regulation on birth, traditionally the condition precedent and condition subsequent have been argued. However, when resorting to these traditional standpoints, a problem arises: the fetus that dies as a result of the death of the mother or in stillbirth cannot be protected. To address this problem, the court chose the solution of increasing the compensation for the parent(s), rather than resorting to generic subjects. Even still, this does not address the fundamental problem. The problem of the unprotected fetus under the traditional standpoints can be addressed by designating Article 762 of the Civil Act as a special regulation under Article 3 of the Act, thus to receive separat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from Article 3. With such separation, the fetus is recognized as a complete human being in the process of claim for damages. When the fetus ends up in stillbirth, both the recognition of claim for damage of the fetus (in the claim to compensation) and the inheritance are recognized Under the Civil Act, the recognition of fetus is from the point of implantation of the fertilized egg. With the ongoing, dynamic research on the subject of embryo, discussions on the protection of pre-stage fetus, the embryo, must be actively done as well. If in the case where implantation occurs but does not result in birth, the development from embryo to fetus has been reached. Thus, just as it is applied to fetus, claim to compensation may be reasonably done for embryo as well. Furthermore, if the infant is born with disability due to harm done at the stage of embryo development, the claim to compensation must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is now fully and completely in existence as human. While the embryo cannot be recognized as a subject of rights, given its potential to develop into a full living matter, it must given greater respect and recognition than what is given to the blood and parts of the human body. Thus, illegal act against the embryo falls under an infringement of rights of the embryo producer (mother), and the embryo producer``s claim to compensation is rightfully recognized.

      • KCI등재후보

        영상디자인 기초과정으로서의 단편영화 제작 수업 사례

        최장섭(Choi, Jangseop)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4

        인간을 둘러싼 현대의 미디어 환경은 점차 인쇄매체에서 영상매체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영상이미지를 생산해내는 책임을 지니는 영상디자이너의 교육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디자인 수업에서는 극영화 제작을 기초과정에서 비중 있게 다루지는 않는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극영화 제작을 통해 영상디자인의 기초 이론과 실기를 효과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다고 보았고 실험적으로 영상디자인 수업의 기초과정에 단편 극영화 제작을 적용해 보았다. 본 논문은 그 과정과 결과에 대한 본 연구자의 종합적인 분석의 결과를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연구자는 바람직한 영상디자인 기초과정으로서의 단편영화 제작에 관한 수업설계를 수업목표, 수업내용, 수업방법으로 세분화해서 고찰하였다. 학생들의 피드백을 통해 첫째, 학생들이 영화 제작을 통해서 영상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느꼈고, 둘째, 영화 제작을 통해서 영상문법, 촬영, 편집 등 영상디자인의 기초를 배울 수 있었으며, 셋째, 영화 만들기를 통해서 전인적인 교육의 가치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극영화 제작을 영상디자인 기초과정으로 도입할 경우 수업설계를 위해서 어떠한 장점이 있고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사례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for human is gradually changing from print media to moving image media. In this times education for moving image designers who are responsible for making our media environment is absolutely important. Normally, narrative film making is hardly included in the basic courses of a moving image design. However this researcher assume that education about basic theory and practice in moving image design could be accomplished with short narrative film making curriculum.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process and the result after applying this experiment in the curriculum. This research investigates its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bout filmmaking in the moving image design curriculum. Based on students" feedback, it was found out that firstly, students has been highly interested in moving image design secondly, they can learn the basic knowledge of moving image design such as film grammar, cinematography, and editing by experiencing the whole process of filmmaking., thirdly, filmmaking is helpful for educational development for students.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this example can be utilized for understanding what should be reinforced or improved in curriculum design if narrative film making is adapted in the basic courses of a moving image design.

      • KCI등재

        크리스티앙 메츠의 거대 통합체 구조에 따른 영화 타이틀 시퀀스 분석

        최장섭 ( Jang Seop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영상기호학은 1960년대 영화이론에 대한 본격적인 기호학의 도입 이래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영상기호학의 연구 대상은 주로 서사 장편영화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영화 타이틀 시퀀스의 기호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크리스티앙 메츠(Christian Metz)의 대표적인 연구인 ‘거대 통합체(Grande Syntagmatique)’를 타이틀 시퀀스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다양하고 자유로운 표현 양식을 가지는 타이틀 시퀀스 분야가 서사 장편영화와 달리 영화기호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조직되고 배열되는가를 탐구하고자 했다. 그 방법으로 메츠가 정리한 여덟 가지의 거대 통합체 유형을 서사를 가지고 있는 영화 타이틀 시퀀스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영상기호학의 기반에서 서사 장편영화와 영화 타이틀 시퀀스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타이틀 시퀀스는 영화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나름대로의 독자성과 예술성을 평가받고 있으며, 무엇보다 실험적인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장르이다. 따라서 새롭게 변형되고 시도되는 다양한 타이틀 시퀀스의 유형을 분석하고 종합함으로써 타이틀 시퀀스의 영상기호학을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후속 연구의 과제라고 하겠다. Film semiotics has been actively investigated since the inflow of semiotics research into the film study. However the research has a partiality for a narrative feature film and the research on the semiotics of film title sequence has not been sufficient. This research tries to investigate how images are organized and arranged in the film title sequence in which unrestrained and various styles exist in comparison with the narrative feature film by applying Christian Metz`s Grande Syntagmatique into an analysis on film title sequences. In order to do that, this researcher applied Metz`s eight kinds of Grande Syntagmatique into film title sequences that has narrative structure. As a result, this researcher was able to find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arrative feature film and film title sequence based on the film semiotics. A film title sequenc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 feature film and at the same time it has its own artistic traits. Above all, it is a fast-changing genre in which various experiments have been tried out. Thus, many subsequen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film semiotics studies of the film title seq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