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주운전 비공식억제요인에 관한 연구

        박찬혁(Park, Chan Hyeok),최응렬(Chol, Eung Ryul)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음주운전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억제요인 중에서 비공식 억제요인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음주운전 비공식억제요인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탐색하고 2013년 조사된 465명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로지스틱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수치와 당황 그리고 처벌회피에 대한 자신감으로 독립변수를 구분하여 그 유의미성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종속변수인 음주운전 의도는 총 응답자 465명 중에서 69.46 % 가 음주운전의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응답자의 과반이상이 음주운전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운전 경험은 조사대상자의 21.51%가 음주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음주운전으로 인해 처벌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8.93%에 불과하여, 음주운전 경험에 비해 실제로 처벌받은 사례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대리운전에 대한 우호적태도는 평균 3.17%로 보통정도의 수준을 나타났으며 대리운전 이용경험 대하여는 응답자의 58.4%가 이용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독립변수들과 음주운전의도와의 관계를 보면, 수치심은 음주운전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즉, 수치심을 느끼는 정도가 높을수록 음주운전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처벌회피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수록 음주운전의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음주운전을 하더라도 단속을 피할 수 있거나 처벌을 회피할 수 있다고 인식할수록 음주운전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인식에 대한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음주단속을 피할 수 있다면 음주운전을 하겠다는 사람들의 심리를 제거하기 위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혈중알코올 농도를 더 하향조정하거나 음주여부가 확인되면 운전자체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의 도입을 주장하였다. 또한 수치라는 내적인 억제요인이 유의미성을 고려하여 개인마다 다르게 인지하는 사회적 지위나 직장 등을 이용하여 비공식적 억제 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안까지 제시하였다. The irresponsible use of alcohol and driving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devastating in terms of loss of life, and a number of people have been killed or injured in every years. Traditionally, there have been many policies to reduce drunken driving. Legal punishment has been the main deterrence method for drunken driving, and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out appropriate alternatives in order to deter drunken driving through the Deterrence theory. However, legal intervention has not been successful in substantially reducing drunken driving.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preventive intervention of the drunken diving beyond the legal punish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informal deterrence factors on drunken driving and to suggest preventive policies for reducing drunken driving. For the independent variable, informal deterrence factors include shame, embarrassment, and punishment avoidance. In terms of dependant variable, a willingness of drunken driving was used.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570 drivers nationwi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as the perception of shame has increased, the willingness of drunken driving had decreased. That is, when people drive under influence, they feel shame, guilty, and regret, and those factors could deter drunken driving along with legal regulations. Second, as the perception of punishment avoidance increases, the willingness of drunken driving increases. In other words, people who perceive that they would not be caught in a crackdown on drunken driving are more likely to drive under influ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restriction on drinking driving. Also, the time and the method of crackdown should be varied. Thus, drivers should recognize that they cannot avoid punishment in case of driving under influence. Moreover, perception of drunken driving should be changed.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수도권 지역내 경찰공무원을 중심으로

        정연균 ( Yun Kyeun Jung ),최응렬 ( Eung Ryul Chol ) 한국경찰학회 2014 한국경찰학회보 Vol.16 No.5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의 영향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외상 후 성장과 관련된 이론적 모형을 근거로 개인적 요인과 주변·환경적인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삶의 위기에 대한 대처방식인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관련해서는 자아 탄력성을 포함하였다. 주변·환경적 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활용하였다.연구 결과, 첫째 경찰관의 외상 후 성장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상경험이 있는 경찰관이 가족이나 동료들로부터 정서적 지원이나 도움을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외상사건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고 정신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점을 연구결과를 통해 검증할 수 있었다. 둘째,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을 이끌어 내는 중요한 변인임을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찰관이 끔찍한 외상사건을 경험하였다 하더라도, 그 상황의 긍정적인 면을 찾아 기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외상으로 인한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어떻게 극복할지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경찰관의 외상 후 성장을 이끌어 내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경찰관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influential factors of post traumatic growth(PTG) for police officers engaged in the metropolitan citi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is study has two areas where individual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are divided that is based on PTG` theoretical model. In addition, it tests the relation between rumination as an alternative to life crisis and PTG. In this study, PTG includes self-resilience as individual factors and social support as environmental factors. In result, firstly, social support and rumination are founded as influential factors that facilitate PTG for police officers. Thus, the police officers who suffer from trauma events are able to overcome psychological stress and trouble when they recognize that their family and colleagues help them. Secondly, rumination is proved as the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PTG. This result indicates that even though police officers suffer from trauma events, efforts on finding positive aspects of the trauma events and overcoming psychological instability are highly significant. After al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uggest helpful policy for facilitating police officers` PTG through various ways, so it can assist police officers to stabilize their psychological condition and overcom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