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일본 대외원조 환경변화와 자민당의 ODA 정책대응

        최은봉 ( Eun Bong Choi ),박명희 ( Myung Hee Park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8 담론 201 Vol.10 No.4

        This study is to explore that the influence of political groups including Liberal Democratic Party on ODA policy has been strengthened in 1990s. Existing researches have emphasized on mainly bureaucrats` predominance in the ODA policy making process.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ODA issue isn`t directly connected with vote. Second, the bureaucrats have expertism and information gathering ability on foreign policy. However, in the 1990s the collapse of one-party rule system by the LDP, the economic deterioration and the aggravation of the public opinion about the ODA brought the situation to be changed. The LDP begun to engaged in ODA policy formulation process. It focused on modification of aid`s system, review of scope and development of new strategy. There are conflicting prospects based on enlargement of politicians` influence on the ODA policy making process: increasing citizen`s conscious on foreign aid and overwhelming impact of domestic politics on the ODA politics.

      • KCI등재

        전후 일본 정체성 변용의 국내적 내파와 대외적 굴절 : 오키나와 배제와 동아시아 주변화

        최은봉(Choi, Eun-Bong) 일본사학회 2020 일본역사연구 Vol.51 No.-

        This study examines intenal implosion and external contrdictions of identity politics in the post-war Japan. It focuses on various studies on Japanese and Japanese culture in the 1960s and extracts key concepts on Japanese identity such as collectivism and family-centered orientation. Based on these traits, nationalism and mercatilism were reinfored each other to influence on the domestic policy toward Okinawa and foreign policies toward East Asian countries under the Ikeda and Sato cabinets. Without moral values for engagement and reconciliation, nationalism was twisted and mercantilism became parochial. As a result, Japanese government isolated Okinawa from the mainlan Japan and marginalized East Asian countries in the order of priority of Japanese foreign policy in the 1960s. It implies that Japanese government, though prosperous materially, juxtaposed sovereign and moral responsibilities and mismanaged them. As a result, negative legacies were remained in both Okinawa problem and Japanese relations with 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국가발전과 과학 -기술경제 패러다임과 과학기술정책의 변용

        최은봉 ( Eun Bong Choi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2 담론 201 Vol.15 No.4

        1980년대 이후 일본의 과학기술 정책과 산업정책의 변화과정은 지식 국가, 연구 국가로의 진화와 기능의 강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980년대 과학입국이라는 목표 하에 과학기술 정책의 변용을 추구한 일본의 과학기술 정책 형성과 집행 구도를 논거, 제도, 기저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특히 1970년대 후반 이후부터 80년대와 90년대를 거치면서 일본이 모방추격형 과학기술 정책에서 혁신형으로 진화하는 단계에 초점을 두고, 일본의 과학기술의 위상, 기술 개발과 혁신의 전략, 과학기술의 연구 개발 추진체제, 과학정책의 일환으로서의 산업정책, 혁신 체제 창출 비전과 정책을 다룬다. 더 나아가 과학기술의 투입과 정책적 산출의 매개항이 되는 규범, 제도,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구 결과, 과학기술의 경쟁력은 한 국가의 성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며 일본의 경우, 정부, 대학, 기업, 지역은 새로운 과학기술 입국을 지향하는 국가진로를 택하는데 일체적 입장을 취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과학기술이 경제력의 기초가 되고, 경제력이 군사력의 기초가 된다는 신국부론적 관점에서 국가시스템을 정비하고 국가의 기능을 정립하였으며, 일본인의 기술 갈망의 정서, 포괄안보 개념과 그 의식구조, 상호협업형 관계망의 내재적 조직 등을 통해서 볼 때, 과학기술을 ``준 공공재``로서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 준 공공재로서의 과학기술개념을 과학기술 커뮤니티에서 공유하고 있고, 그것은 전략적 과학기술 정책의 행정체계와 전개 과정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다. 일본의 과학기술의 실행력과 잠재력, 그리고 과학기술 영역에서의 실무 수행의 저력, 소위 ``일본력``의 지속성은 비교적 강고하게 유지되고 있다. Since 1980s, Japa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nd industrial policy show the advance toward knowledge state and research state and the enforcement of their functions. This article analyzes the formation and execution structure of Japa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 the three dimensions of argument, institution, and foundation. By focusing on the stage evolving from emulating and chasing policy to innovative policy, this article deals with Japan`s technological status, development and innovative strategies, technological research development process system, industrial policy, and vision and policy creating innovative system. Furthermore, it explains norms, institution, and ideology as a medium of technology input and policy output. In conclusion, the competitiven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the main factor of a nation`s development. And in Japanese case, government, university, companies and regions have taken united position toward the new science and technological nation. Japan organized the national system and established nation`s function on the perspective of new wealth of nation which emphasizes science and technology become the basis of economic power and then military power. Also Japan tends to recognize technology as a ``quasi-public goods`` and shares the concept in the communities. And these are embedded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and development process of strategic technology policy. Japan`s technological execute ability and potential, namely ``Japan`s Power`` remains relatively strong.

      • KCI등재

        1970년대 세이란카이(靑嵐會)의 등장과 정치과정 -일본 국가주의의 복원인가?

        최은봉 ( Eun Bong Choi ),석주희 ( Ju Hee Suk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3 담론 201 Vol.16 No.4

        이 글은 1970년대 일본의 전후체제에 등장한 세이란카이(靑嵐會)가 정치과정을 통해 어떻게 국가주의 복원의 교량 역할을 해나갔는지를 밝히고, 이를 통해 국가주의가 이후의 일본 정치에 담론과 정책으로 재등장하여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점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배경적 측면에서 전후 일본의 국가주의와 세이란카이의 형성과정을 검토하고, 둘째 세이란카이가 국내외 정치과정에서 국가주의를 어떻게 내세웠는지, 구체적으로 구조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세이란카이 2세로서 불리는 정치가들을 통해 국가주의 복원의 잠재적 연속성을 살펴보았다. 세이란카이가 국가주의로 내세운 원칙은 자주국가의 건설과 자유주의 국가와의 연계, 평화주의 이념 구축 등이다. 이것은 구조적, 내용적 측면에서 구체화되어 정치과정에서 표면화되었다. 우선, 구조적 측면에서 세이란카이는 자민당 내 파벌 횡단식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나카가와 이치로, 이시하라 신타로를 중심으로 새로운 유형의 정치결사체로서 활동하였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언설와 상징, 정치활동을 통해 국가주의의 에토스를 표상화하였다. 이들은 전국민대회를 통해 여론을 주도하고자 하였으며 정책면에서 중일항공노선협정 반대, NPT, 쌀품질격차제 등을 추진해 나갔다. 본 논문에서는 세이란카이가 내세운 국가주의의 비전이 비록 당시 정책 차원의 가시적 결과를 도출하지는 못했으나 일본의 정치영역 내 국가주의 복원의 변곡점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밝힌다. The Seirankai(靑嵐會) was a newly emerged political group against the mainstream foreign policy with a Pro-Taiwan orientation in the 1970s Japanese Politics. Although the Seirankai existed 1973~1979 and collapsed in 1979, it can be evaluated to a turning point and the symbol of new righ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background and political process of the Seirankai for the restoration of statism and their influence under postwar Japanese political system. From these points of view,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factors which brought the Seirankai to be organized and to take an active part in the postwar Japanese politics. This paper focuses on three aspects of influence of the Seirankai. First, the Seirankai`s statism is related to the traditional statism which emerged from 1920s Japanese politics. Based on the statism, the Seirankai was able to insist on self-defense, anti-communism and pacifism. Second, the Seirankai created the cross-faction network and concreted on the concept of statism by rhetoric, symbol, and political action. The Seirankai struggled against the Sino-Japanese Civil Aviation Pact(1974) and NPT(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and tried to promote rural economic growth. Although they failed to make these policies being implemented, the Seirankai seems to be sustained to an important political movement which reconstructed the statism as a new idea and enlarged the space of discourse for statism. Third, although most of the members of the Seirankai were not involved in these activities since 1979, their children as the second generation have been actively engaged in the movement of neo-conservatism that has dominated in the Japanese politics since 1990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Seirankai, in spite of its limitations as an organization, has affected, implicitly but significantly, on politics in general and specific policy sectors. In this sense the Seirankai was not resulted in the failure of policy-making process, but brought in the development of reconstructing actions for statism in the 1970s Japanese politics.

      • KCI등재

        1980년대 일본 보수운동의 형성과 나카소네 교육개혁 : ‘전후 정치 총결산’의 역사정치적 함의

        최은봉(Choi, Eun-Bong) 한일민족문제학회 2020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9 No.-

        この研究の目的は1980年代の中曽根康弘内閣の教育改革の特徴と政治的 意味を説明するのだ。著者は中曽根の教育改革の二重性と日本社会と東アジ アの近隣諸国に対する歴史的、政治的意味を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中曽根の 教育改革は、保守主義と新自由主義性向を持った中曽根の政治ビジョンと統 治スタイルと緊密に連携した。中曽根の「戦後の政治総決算」という政治スロー ガンは、教育改革を通じて保守主義的新自由主義の総体的改革を達成する ための政治メカニズムとして機能した。これにより、中曽根教育改革は、1980年 代の日本社会と政治での保守運動を形成する動力の基盤を提供した。1980年 代の日本の保守運動は、その後、東アジアの歴史認識に否定的な遺産を残 す方向に展開された。 This study examines the key aspects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al reform during the era of the Nakasone Yasuhiro’s cabinet in the 1980s in Japan. It focuses on the dual aspects of the educational reform and its historical/political implications for Japanese society and East Asian neighboring countries. Nakasone’s educational reform was tightly related with his governing style and his political vision which was characterised as conservative and neo-liberal. This study illuminates that Nakasone’s policy slogan of the ‘Final Settlement of Post-war Politics’ was a political apparatus for the conservative and neo-liberal reform. The author argues that Nakasone’s educational reform leads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foramative forces of conservative movement in the 1980s’ Japanese society and politics. The development of conservative movement in 1980s’ Japan results in the negative legacy for the historical perception in the East Asia. sone’s educational reform was tightly related with his governing style and his political vision which was characterised as conservative and neo-liberal. This study illuminates that Nakasone’s policy slogan of the ‘Final Settlement of Post-war Politics’ was a political apparatus for the conservative and neo-liberal reform. The author argues that Nakasone’s educational reform leads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foramative forces of conservative movement in the 1980s’ Japanese society and politics. The development of conservative movement in 1980s’ Japan results in the negative legacy for the historical perception in the East Asia.

      • KCI등재
      • KCI등재

        냉전 초기 일본의 중국 정부 선택 문제와 대중 등거리 전략

        최은봉(Eun Bong Choi),오승희(Seung Hee Oh) 한국아시아학회 2011 아시아연구 Vol.14 No.2

        본 논문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발생한 중국 정부 선택 문제에 관한 일본정부의 입장과 정책을 요시다 수상의 국회의사록 발언과 회고록을 통해 분석한다. 일본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단절하지 않는 것이 일본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두 정부 모두와 관계를 맺는 등거리 전략을 표방하고, 국제사회의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가능한 한 일본의 선택을 연기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외교정책을 따른 것으로 알려진 요시다 서한과 일본-중화민국 평화조약 역시 일본 정부의 등거리 전략의 의도가 담겨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등거리 전략은 미국과의 대중 정책의 불일치로 나타나 요시다의 딜레마가 시작되었고, 딜레마를 해소하기 위해 정치와 경제를 분리하여 접근한다는 정경분리 정책이 도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냉전 초기 요시다 정부의 외교정책과 일본 정부의 대중 접근 원칙을 살펴볼 수 있다. 이는 일본의 외교정책이 미국에만 종속 내지 의존했던 것이 아니며, 제한된 상황 속에서 일본의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공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해왔음을 보여준다. Since People`s Republic of China(PRC) was established, there has been an China issue to choose either PRC or Republic of China(ROC) for China`s representative government. This paper analyzed the decision of Japanese government on this issue through Prime Minister Yoshida Shigeru`s remarks at Parliament and on his memoirs. As Cold War was intensified, it was not allowed for Japan to approach to Communist party, but Japan judged that the relations with PRC should not be severed. Japan attempted ``equidistance strategy`` establishing relations with both PRC and ROC, and Japan tried to postpone its decision until after international society yield an agreement. However, the strategy was implemented as the separation of economy and politics by discrepancy on foreign policy toward China with foreign policy of U.S. and PRC`s One China policy. This research will identify the foreign policy of Yoshida government under the dilemma between its China policy and U.S. policy. In addition, this paper reassess Japan`s foreign policy which did not depend on only U.S. but it tried to secure political sphere in order to maximize its national interest under the restraint.

      • KCI등재

        중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 변용은 한시적인가?: 2002년 중국과 대만의 비대칭적 권력균형의 궤적

        최은봉 ( Eun Bong Choi ),공도영 ( Do Young Go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8 담론 201 Vol.21 No.3

        본 연구는 2002년 이후 중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에 대한 해석을 변경한 원인을 탐구한다.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설립 이후부터 줄곧 중국의 대 대만 정책의 기조로 작용했다. 1980년대 이후 1990년대까지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국 중심의 평화통일을 의미했다. 그러나 2002년 16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은 하나의 중국이 중국을 의미한다는 기존의 해석을 버리고, 중국과 대만이 동등하게 하나의 중국에 속한다는 대만 측의 해석을 받아들이게 된다. 대만 국내적으로 대만 독립론이 우세해 지고, 독립 노선의 민진당 소속 천수이볜이 총통으로 당선되었으며, 대만과 중국 간 경제적, 군사적 힘의 격차가 강화되던 상황에서 중국은 왜 하나의 중국에 대한 해석을 유화적으로 변경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하비브의 ‘비대칭적 협상’에 관한 논의를 적용하여, 하나의 중국이라는 이슈에 대한 협상력이 재구성되었으며, 이것이 하나의 중국 원칙에 대한 중국의 해석을 변화시켰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examines why the PRC changed the One-China principle after 2002. One-China principle has been a foundation for the PRC’s Taiwan policy from its establishment and it had implied the PRC-centered peaceful unification until the 1990s. However, starting from Jiang Zemin's Report at the 16th party congress in 2002, the PRC accepted Taiwan’s longstanding view which emphasizes both the mainland and Taiwan equally belong to the One-China. Considering Taiwan’s strengthening pro- independence movement with the new President Chen Shui-bian, and the expanding military and economic resources between the two-sides, why did the PRC moderate its interpretation on the One-China?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borrows Habeeb’s discussion on the asymmetrical negotiation and analyzes the issue-specific power on the One-China issue between two sides.

      • KCI등재

        중국의 대 일본 배상청구 포기의 양면성 -"타이완 문제"의 타결과 중일 경제협력의 확장

        최은봉 ( Eun Bong Choi ),오승희 ( Seung Hee Oh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0 담론 201 Vol.13 No.2

        중국은 1972년 일본과의 국교정상화 공동성명 제5조를 통해 일본에 대한 전쟁 배상청구 포기를 선언하였다. 중일 간 배상청구 문제는 국교정상화의 중요하고 어려운 교섭사항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었으나, 중국의 배상청구 포기는 교섭 초반에 제시되었고, 중일 국교정상화는 이를 전제로 신속하게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일본에 대한 배상청구 포기에 관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 일본 외무성에서 공개한 중일 국교정상화 교섭 자료를 검토하였다. 중국은 일본의 전후 배상 정책의 압력 하에, 1972년 배상청구를 포기하기로 선택하였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조약은 일본의 완화된 전쟁 책임을 규정하였고, 1952년 타이완-일본 조약에서 타이완은 이미 일본에 대한 배상청구권을 포기하였다. 중국은 일본과 타이완과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하나의 중국` 정책을 추구하였으며, 일본과 타이완의 기존의 협정을 배제하면서도 무시하지 못하는 모호한 규정을 통해 `타이완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경제면에서는 일면 배상청구를 포기하면서 경제적 이득을 포기하는 듯 보였지만, 배상청구 포기를 전제로 국교정상화를 추구하면서 동시에 평화우호조약을 추진하여 민간을 중심으로 확대되어가는 중일 경제교류를 공식적으로 확장시키려 하였다. 공식적으로는 배상포기와 경제원조의 관계가 인정되지 않고 있지만, 1972년 배상청구 포기와 국교정상화 교섭에서 저우언라이(周恩來)는 일본의 경제 원조를 기대하고 있었고, 일본 내에서도 중국의 배상포기에 대한 대가가 있을 것이라는 인식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의 배상청구 포기는 중일 우호 관계를 위한 양보와 정치적, 경제적 실익 추구라는 양면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일본 역시 배상포기를 통해 국제적으로 완화되어 나타난 전후처리 정책을 유지해나갈 수 있었으며, 정부개발원조(ODA) 중심의 수출중심 경제정책을 추진하고, 중국에 대해 미일 상호안보조약을 인정받으며 미일관계와 중일관계를 양립시킬 수 있었다. 즉, 배상포기를 통해 중국과 일본은 각자의 국익 실현은 물론 공통의 경제이익을 창출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factors of China`s abandonment of reparation claims against Japan on the article 5 in the Sino-Japanese Joint Communique in 1972.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it reviewed documents related to the negotiations for the normalization, mostly revealed by Japanese Foreign Ministry in 2003. China declared its abandonment in the early process, and the normalization moved forward in a very rapid pace. China chose to waive its War Reparations under the constraints of the Japan`s post-war reparation system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1951, the Peace Treaty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China in 1952). Even though China waived its claims, China could make Japan to accept its `One China` policy and solve `Taiwan Issue` strengthening PRC`s status as the representation of China. In addition, China could expect economic development by extending economic relations with Japan and receiving economic assistance from Japan. In this sense, there is an ambivalence in China`s renunciation of war reparations by pursuing both Sino-Japanese friendship and its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And also, through the renunciation, both China and Japan could secure their national identification and create common economic interests. After Sino-Japanese normalization, Japan-US relations could be compatible with Japan-China relations. Also Japan could concentrate on the economic development including the export-oriented economic policy and the ODA foreign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