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ogram Annotation : D. Buxtehude 「Toccata in F Major, BuxWV 157」 J. S. Bach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J. S. Bach 「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F. Mendelssoh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Anton Heiller 「Tanz-Toccata」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into the works which were performed by Choi Yun-Gyeong, at the Music College of Ewha Womans University, at her graduation recital for a master's degree in organ on December 8, 2018. Her recital program included five pieces: 「Toccata in F Major, BuxWV 157」 by Dieterich Buxtehude (1637-1707),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and 「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b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by Felix Mendelssohn (1809-1847), and 「Tanz-Toccata」 by Anton Heiller (1923-1979). The first of the five works, 「Toccata in F Major, BuxWV 157」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before 1684, by Buxtehude, who represented the Baroque School in the north Germany. It consists of two parts: the improvisatory Prelude in Stylus Phantasticus and the Fugue in the contrapuntal style. Its musical elements feature an emphasis on repeated notes and pedal points in I-V. Its notes are mainly organized around F major. It is performed based on non-legato, which was the principal style during the Baroque period, and is partially used as legato. The performer expressed grandeur and splendor by selecting Pleno tones that included mixtures in the Prelude, used only the 8' tone on the pedal to let the theme of each part be heard clearly and independently in the Fugue, and increased the volume by using the reed tones on the pedal along with mixtures on the manual in the coda. The second piece,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was written by Bach in 1739-1742. Being the ninth number of 「18 Leipziger Chorales, BWV 651-668」 it consists of four parts, including A-B-C-A′ with choral melodies appearing in the soprano and being decorated and repeated in various ways. It appears that choral melodies including ornamental notes on the manual and the pedal that keeps moving in an eighth note. The musical work is in g minor, moving through its parallel key, B♭ major, and its subdominant key, c minor. It has a slow tempo and long notes, being performed in non-legato. It uses mutations and tremulants to express the subtle tremble unique to the solo tones. The third piece, 「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was written in 1727-1731 when he resided in Leipzig. It consists of two parts including a Prelude and a Fugue, mainly featuring the strict counterpoint of the Baroque period and improvisatory style. Its principal musical elements include the contrapuntal treatment of a theme, melodies in 32th notes, and fast rhythmic passages. The Prelude is in b minor, and the Fugue mainly moves in subdominant and dominant keys in b minor. The performer selected principal Stops and mixtures across the entire register in a Pleno composition and did not combine the manual with the pedal in the Prelude while deleting some principal Stops and mixtures in the register used during the Prelude to express a lighter mood in the Fugue. Mixtures and reed Stops were added to the coda to express a more intense and powerful feeling. The fourth piece, 「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was written by Mendelssohn (1809-1847) in 1844 and consists of two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has three parts, including A-B-A′ while the second movement has four parts, including A-B-A′-coda. It is characterized by the choral melodies at the bass of part B in the first movement and song-like melodies in the second movement. Its principal musical elements include the sequence of a theme, chromatic harmonies, and the imitative counterpoint in the first movement and the lyrical melodies in the second movement. The tonality is in A major, with its parallel, relative, and dominant keys used in the work. Mendelssohn instructed the tones of organ sonatas with the loudness of sounds rather than provisional instructions. In the first movement, part A is performed by adding reed tones to the Pleno composition around the basic notes of splendid and thick colors in fortissimo (ff). Part B is performed with the reed tones used in part A excluded. Part A′ is performed with the same Stops as part A. The second movement is performed to keep the uppermost melodies of the right hand with a flow in flute tones to express legato. The final piece, 「Tanz-Toccata」 was written, in 1970, by Anton Heiller (1923-1979), who was one of the greatest composers in Austria in the 20th century. This piece is his most famous organ work. It consists of two parts, including A-A′, in which A is truncated in A′. Also it has a fast tempo to play, frequent irregular rhythms such as triplets and guintuplets. It mainly uses dissonant chords through a tone cluster. It primarily uses leaps of major and minor third and an augmented fourths and fifths with diminished fifths emphasized on the pedal in basso ostinato. The performer should be careful not to play rhythms of triplets in staccato too strongly, following the detailed instructions about tones, articulations, and metronome markings in its score. This present study examined the works from various periods including Baroque, Romantic, and modern periods focusing on form,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organ Stops used in each work. Its findings will hopefully help organists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se works and contribute to follow-up studies. 본 논문은 2018년 12월 8일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 전공 최윤경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회에서 발표된 작품들에 관한 연구이다. 연주회 작품 목록은 디트리히 북스테후데(Dieterich Buxtehude, 1637-1707)의 「토카타 F장조(Toccata in F Major, BuxWV 157)」,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오소서, 이방인의 구세주여(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와 「전주곡과 푸가 b단조(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의 「오르간 소나타 A장조(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안톤 하일러(Anton Heiller, 1923-1979)의 「탄츠-토카타(Tanz-Toccata)」로, 총 다섯 개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작품인 바로크 북독일 악파를 대표하는 작곡가 북스테후데의 「토카타 F장조(Toccata in F Major, BuxWV 157)」는 1684년 이전에 작곡된 것으로 유추된다. 작품의 형식은 총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스틸루스 판타스티쿠스(Stylus Phantasticus)가 사용된 즉흥적 전주곡과 대위법적 양식인 푸가(Fuga) 부분이 나타난다. 이 작품의 음악적 요소는 연타음과 Ⅰ-Ⅴ의 지속음 강조라고 볼 수 있다. 음의 구성은 F장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곡은 바로크 시대 주법인 논 레가토(Non-legato)를 바탕으로 연주되며, 부분적으로는 레가토(Legato)로 활용된다. 연주자는 전주곡에서 믹스츄어(Mixture)가 포함되는 큰 플레노(Pleno)의 음색을 선택하여 장엄함과 찬란함을 표현하였다. 푸가에서는 각 성부별 주제가 독립적으로 잘 들릴 수 있도록 페달(Pedal)에 8′음색만 사용하고, 종결부에서는 손건반에 믹스츄어와 페달에 리드(Reed)계열 음색까지 사용하여 음량을 더욱 크게 만들었다. 두 번째 작품인 18세기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오소서, 이방인의 구세주여(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는 1739-1742년에 작곡되었다. 「18개의 코랄(18 Leipziger Chorales, BWV 651-668)」 중 9번째 곡으로 작품의 형식은 A-B-C-A′의 총 네 부분으로 이루어졌으며, 코랄 선율이 소프라노에 나타나면서 다양하게 장식, 반복된다. 이 장식음을 포함하는 손건반에서의 코랄 선율은 8분음표로 계속 움직이는 페달과 함께 나온다. 작곡가가 의도한 음의 구성은 g단조와 그것의 나란한 조인 B♭장조, 버금딸림음조인 c단조이다. 이 곡은 전체적으로 박자가 느리고 긴 음표들로 이루어져 있어 논레가토로 연주된다. 솔로 음색 특유의 미세한 떨림을 표현하기 위해 뮤테이션(Mutation) 음색과 트레뮬런트(Tremulant)를 사용하였다. 세 번째 작품인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b단조(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는 라이프치히(Leipzig) 시기인 1727-1731년에 작곡된 작품으로, 형식은 전주곡과 푸가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바로크 시대의 엄격한 대위법과 즉흥적 양식이 주를 이룬다. 즉, 주제의 대위적 구성과 빠른 리듬의 32분음표 선율로 볼 수 있다. 전주곡에서 사용된 음계는 b단조이고, 푸가에서는 b단조의 버금딸림음조와 딸림음조를 중심음으로 진행된다. 전주곡은 플레노 구성으로 모든 음역에서 프린치팔(Principal) 스탑과 믹스츄어를 선택하고, 손건반을 페달에 커플시키지는 않았다. 푸가에서는 가벼운 분위기 표현을 위해 앞서 사용했던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에서 일부 프린치팔 스탑과 믹스츄어를 삭제하였다. 이후 종반부에 믹스츄어와 리드계열 스탑을 추가하여 강렬하고 힘찬 느낌이 들도록 연주한다. 네 번째 작품인 독일 낭만 작곡가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의 「오르간 소나타 A장조(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는 1844년에 작곡되었고, 총 두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악장의 형식은 A-B-A′의 3부분으로 구성되었고, 2악장의 형식은 A-B-A′-코다(Coda)의 4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악장에서 B부분 베이스에 나타나는 코랄 선율과 2악장에서의 가곡을 닮은 선율 진행이 특징적이다. 주요한 음악적 요소는 1악장에서 주제의 동형진행, 반음계적인 화성과 모방대위로 구성된 성부진행이고, 2악장에서의 서정적인 선율이라고 할 수 있다. 음계의 구성은 A장조의 같은 으뜸음조와 나란한조, 딸림음조 등이다. 멘델스존은 오르간 소나타의 음색을 잠정적으로 지시하기보다는 소리의 세기로 지시하였다. 그래서 1악장의 A부분에서 포르티시모(ff)의 화려하고 두꺼운 색채를 기본 음색 중심으로 플레노의 구성에 리드 계열 음색도 첨가하여 연주한다. B부분에서는 A부분에서 썼던 음색에서 리드계열은 제외한다. A′부분에서는 A부분과 같은 스탑을 사용한다. 2악장에서는 오른손 최상부 선율의 흐름이 끊기지 않게 연주하며, 이 레가토를 잘 표현하기 위해 플루트 계열의 음색을 사용한다. 다섯 번째 작품인 20세기 오스트리아의 대표 작곡가 안톤 하일러(Anton Heiller, 1923-1979)의 「탄츠-토카타(Tanz-Toccata)」는 1970년에 작곡되었고, 이 작품은 그의 오르간곡 중 가장 유명하다. 형식은 A-A′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으며, A부분에 비해 A′부분이 축소 재현된다. 그리고 연주하기에 매우 빠른 박자와 잦은 변박, 그리고 3연음부에서 5, 6, 7연음부에 이르는 리듬형이 나타난다. 또, 톤 클러스터(Tone Cluster)를 통한 불협화적 화성이 주로 사용된다. 이 작품에서는 장・단 3도, 증 4, 5도 음정의 도약이 주요하게 사용되었으며, 페달 파트에서 바소 오스티나토(Basso Ostinato)로 나타나는 감5도 음정이 강조되었다. 특히 연주자는 3연음부 리듬의 스타카토를 너무 세지 않게 연주한다. 음색,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연주 속도에 대한 지시사항이 악보에 상세히 나와 이를 참고하여 연주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크, 낭만, 현대에 걸친 다양한 시대의 작품들을 형식, 주요 음악적 특징, 작곡가가 의도한 음 소재, 연주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가 오르간 연주자들의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나아가 후속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디지털 강의자원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확장에 관한 연구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Digital course materials in universities that are produced and used by professors are valuable and useful academic information.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collected, managed and serviced these resources systematically. And the sharing of course resources among universities has also increased worldwide. Using metadata makes the stored information about resources to be enriched and improves users' access to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andatory and extensible elements of KEM(Korea Education Metadata) elements for digital course resources universities in Korea. For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y and interview were performed. Literature research included the definitions and features of course resource and metadata. And the case study was to review and analyze elements among national metadata specifications in education area ― DC-Education, IEEE LTSC Learning Object Metadata, MIT OpenCourseWare metadata, CanCore, EdNA, the Gateway of Education Materials metadata and KEM.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ng elements among metadata, the inter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reatment status of KEM and to verify extensible elements. The target group for interview was responsible for management and service of course resources that were produced in universities in Korea. The mandatory elements of KEM consisted of sixty nine elements, and were proposed by two phases. At the first level, thirty one elements were core elements to be required to manage course resources and to share the metadata among universities and colleges. Those were <Identifier> and sub elements, <Title>, <Description> in general category, <Contribute> and sub elements in life cycle category, <Identifier> and sub elements in meta-metadata category, <Format>, <Size>, <Location>, <Duration> in technical category, <Cost>, <Copyrights and other restrictions>, <Rights Holder> and <Name> in rights category, <Learning Resource Type> in education category, <Kind>, <Resource> and sub elements in relation category, <Taxon Path> and sub elements in classification category. At the second level, thirty eight elements were suggested to make the identification of metadata be improved. Next, based on interview process twelve items were newly recommended to supplement KEM elements. <Bibliographic Citation> and <Abstract> elements were added in general category. And <Valid Date>, <Available Date>, <Placed Online Date> and <Provenance> were additional elements in life cycle category. In education category, appended elements were <Beneficiary> and <Prerequisites>. Four items were added to value spaces of KEM elements. Those were ‘Sponsor’ to the value space of <Role> in life cycle category, ‘hasBibliographicInfoIn’, ‘Replaces’ and ‘isReplacedby’ to value space of <Kind> in relation category. The metadata elements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to build metadata to manage course resources.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research to present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KEM. 대학의 강의자원은 대학 교수의 지적산출물이면서 이용가치가 높은 학술정보로써, 국내외 대학에서는 매학기 디지털 형태로 만들어진 강의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실정을 반영하여 강의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강의자원 메타데이터 필수 요소 및 확장 요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국내외 사례 분석, 그리고 국내 현황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대학 강의자원의 개념과 강의자원 메타데이터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개념 정의를 위해 이러닝 콘텐트, 학습객체, 학습자원 등의 유사한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강의자원 메타데이터의 개념 및 기능상 요건에 대해 살펴보고,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시에 적용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국내외 메타데이터 사례는 고등교육 분야의 강의자원 관리에 필요한 요소와 확장시킬 필요가 있는 요소를 살펴보기 위해 강의자원 메타데이터의 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국내외 교육 분야에서 범국가적으로 사용되는 메타데이터인 DC-Ed, IEEE LTSC의 LOM, MIT 대학의 OCW 메타데이터, CanCore, EdNA, GEM, KEM 메타데이터의 특성을 살펴보고, 각 요소들을 비교&#8228;분석하여 KEM에서 수용하지 못한 요소를 추출하였다. 국내 현황 분석은 현재 수집&#8228;관리&#8228;서비스 대상인 강의자원의 유형과 국내 교육 분야의 표준 메타데이터인 KEM의 요소를 중심으로 요소 사용 실태와 향후 추가되어야 할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 차원에서 강의자원을 수집하고 관리하고 있는 기관이나 부서의 메타데이터 담당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자원 관리에 사용하는 메타데이터는 IEEE LTSC의 LOM을 기반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KEM 요소를 사용하고 있었다. 주 수집 대상 자원은 강의자가 제작한 강의록과 강의동영상이며, 현재 국내 대학은 강의자원의 체계적인 관리보다는 서비스에 주력하고 있고, 메타데이터 입력을 강의자에 의존하여 입력 요소가 개발되어도 실제 관리가 미비하였다. 둘째, KEM을 기준으로 대학에서 현용하고 있는 범주의 사용 실태를 비교한 결과 생명주기 범주에 해당하는 요소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일반 범주, 관계 범주, 분류 범주, 기술 범주, 메타-메타데이터 범주, 교육 범주, 저작권 범주, 주석 범주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범주별 요소의 필수 요소 사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일반 범주에서는 식별자(Identifier)와 하위 요소, 생명주기 범주에서는 기여자(Contribute)와 하위 요소, 기술 범주에서는 형식(Format), 크기(Size), 위치(Location), 관계 범주의 자원(Resource)과 하위 요소, 분류 범주의 분류법(Taxon)과 하위 요소를 공통적으로 필수 관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서지정보(Bibliographic Citation), 유효 날짜(Valid), 이용 가능 날짜(Available), 온라인 제출 날짜(Placed Online), 수혜자(Beneficiary), 서지정보 수록 자원(hasBibliogrphicInfo), 후원자(Sponsor), 초록(Abstract) 등의 항목에 대하여 확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국내외 사례 조사 및 현황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KEM의 요소를 기반으로 국내 대학의 현황을 반영하여 강의자원 메타데이터의 필수 요소와 확장 요소를 제안하였다. 필수 요소로는 69개 요소를 2개 수준으로 단계별 제안하였다. 제 1수준은 총 31개 요소로, 7개 면담 기관 중 4개 기관(57%) 이상이 필수 요소로 관리하고 있거나 KEM에서 필수로 설정한 요소로 설정하였다. 제 1수준에서 제안한 요소들은 강의자원 관리를 위해 대학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해야하는 필수 항목으로, 대학 간의 강의자원 공유나 메타데이터 교환 과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하는 요소이다. 여기에는 일반 범주의 식별자와 하위 요소, 제목, 설명, 생명주기 범주의 기여자와 하위 요소, 메타-메타데이터 범주의 식별자와 하위 요소, 메타데이터 스키마(Metadata Schema), 기술 범주의 형식, 크기, 위치, 기간(Duration), 교육 범주의 학습자원 유형(Learning Resource Type), 저작권 범주의 비용(Cost) 요소와 저작권과 기타 제한 사항(Copyright and Other Restrictions), 저작권 소유자(Rights Holder) 요소와 이름(Name), 관계 범주에서는 종류(Kind), 자원 요소와 하위 요소, 분류 범주의 분류 경로(Taxon Path)와 하위 요소를 제안하였다. 제 2수준 필수 요소는 총 38개 요소로, 일반 범주의 언어(Language), 목차(Table of Contents), 주제어(Keyword), 자원구조(Structure), 조합수준(Aggregation Level), 생명주기 범주의 버전(Version), 상태(Status), 메타-메타데이터 범주의 기여자와 하위 요소, 언어, 기술 범주의 요구사항(Requirement)과 하위 요소, 인스톨 안내(Installation Remarks), 기타 플랫폼 요구사항(Other Platform Requirements), 교육 범주의 주사용자(Intended End User Role), 사용시간(Typical Learning Time), 설명, 언어, 저작권 범주의 이름을 제외한 저작권 소유자의 하위 요소, 라이센스 발행자(Rights Issuer)와 하위 요소, 분류 범주의 목적(Purpose)과 주제어가 포함되었다. 제 2수준에서 제안한 요소들은 강의자원 관리를 위한 핵심 요소는 아니지만, 개별 대학에서 이 요소를 필수 요소로 사용하도록 권고하였다. 확장 요소는 면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6개 응답 기관 중 50% 이상에서 확장이 필요하다고 선택한 12개를 제안하였다. KEM의 메타데이터 구조에 적합하도록 8개 항목은 요소로 추가하였으며, 4개 항목은 특정 요소의 값영역을 확장시켰다. 확장 제안 요소는 일반 범주의 서지정보, 초록, 생명주기 범주의 유효 날짜, 이용 가능 날짜, 온라인 제출 날짜, 관리 및 소유 이력(Provenance), 교육 범주의 수혜자와 선수지식(Prerequisites) 요소를 추가하였다. 이 중 서지정보, 검토와 하위 요소, 이용 가능 날짜, 온라인 제출 날짜는 대학에서 필수 요소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값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생명주기 범주의 역할(Role) 요소에 후원자, 관계 범주의 종류 요소에 서지정보 자원, 대체 자원(‘Replaces’, ‘isReplacedBy’) 관계를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필수 및 확장 요소를 이용하여 국내 대학에서 현용하고 있는 강의자원에 적용해 보았다. 적용 결과 필수 요소의 경우, 강의자원을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강의자원이 가지는 교육적 측면을 풍부하게 기술할 수 없었다. 확장 제안 요소는 수혜자 요소를 제외한 항목들이 국내 강의자원에 적용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소는 국내 표준과 외국 규격에 근거하였기 때문에, 개별 대학의 담당 부서에서 강의자원 관리에 필요한 요소를 선정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국내 대학의 현황 조사 및 확장 제안 요소는 향후 KEM의 개정 방향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 세포의 자기조직화 현상을 조형화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최윤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제 목 : 세포의 자기조직화 현상을 조형화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유기체는 생성, 형태발생, 성장을 통해서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가 상호작용하여 복잡한 관계를 가지며 자발적으로 새로운 질서를 창출한다. 이것을 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 현상이라고 말한다. 자기조직화 과정에서 생기는 패턴과 복잡한 구조는 조형 설계의 방법과 밀접한 관계로 이 생물학적 시스템은 현대 건축디자인의 조형분야에 많이 적용된다. 이렇게 외부의 압력 없이 나타나는 조직현상은 현실의 세계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 현재는 소셜 네트워크의 시대로 정보를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형성해주는 온라인 서비스인 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쉽게 접하고 있다. 매일 스마트 폰을 통해서 소셜미디어를 보고 개인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으로 비슷한 관심을 가진 사람끼리 모여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게 되고, 더 나아가 사회운동으로 커지기도 한다. 소셜미디어인 페이스 북은 생물의 자기조직화 시스템을 적용한 웹 사이트로 전 세계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것이다. 인터넷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형성된 집단은 과거와는 다르게 계급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아닌, 자율적인 다층구조로 사람들이 관계를 구축하면서 결집하는 방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네트워크 세상에서 여러 사람과 정보를 공유하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기조직화라는 현상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를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먼저, 유기체의 의미와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두 번째, 자기조직화 현상이 무엇인지 그리고 자연을 포함한 유기체, 유기체의 최소단위인 세포의 자기조직화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 자기조직화 현상을 조형화한 사례로 건축, 조형물, 주얼리를 조사하였다. 네 번째, 위의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자기조직화를 조형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자의 작품은 세포의 자기조직화 현상을 조형원리로 해석하고 반복, 중첩, 배열과 조합의 방법으로 주얼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생명체의 자기조직화를 볼 수 있는 세포 형태와 구조를 재해석하였고, 작은 구성요소가 모여 하나의 유기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본 연구자의 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제작은 유기적인 곡선과 유연함을 표현하기 쉬운 소프트 왁스를 이용해 형태를 만들고, 정밀주조기법으로 장신구를 만들었다. 주재료는 925 Silver를 사용하고, 시각적인 효과를 더하기 위해 그라데이션 도금과 대비되는 색으로 도금을 하여 강조시켰다. 또한 원석과 큐빅 지르코니아(CZ)의 사용으로 장신구의 아름다움을 더하였다. 연구를 통해서 자기조직화 현상을 조형적으로 접근하여 본인의 주관적인 해석방법으로 다양한 장신구 디자인을 전개할 수 있었다. 세포가 자기조직화로 인해 만들어내는 형태발생은 예술 활동에 있어 조형표현방법과 유사한 관계를 알게 되었고, 그것은 하나의 창조수단이라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작업과 전시를 통해 나와 나의 작품을 착용하는 자의 새로운 관계를 구축하고, 소통할 수 있기를 바란다.

      •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프로그램 개발

        최윤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is stud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total score of the three factors assessed by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Choi & Kim, 2012). The three factors are self-understanding behavior.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 job world search behavior. The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ill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be developed properly? 2. Will the validity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be verified empirically? 2-1. Will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crease the total scor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 effectively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2-2. Will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crease the scores of sub-factors(self-understanding behavior. career empowerment behavior, job world search behavior) more effectively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previously designed in this study. The procedure was as follows: 1) confirmed the need for program development 2) needs analysis 3) setting goals and objectives 4) content selection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5) selected assessment tools 6) program embodies 7) pilot program conducted 8) program implementation 9) program evaluation 10) program managemen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made up of 12 sessions, 90-100 minutes per sessi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Choi & Kim, 2012)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of B University in Daegu. They were then randomly alloted to 3 groups of 9 students.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evaluated based on the program evaluation model previously designed in this study. In the program evaluati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Choi & Kim, 2012)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test the effect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sign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variance analysis was used. The program used for data analysis was SPSS 18.0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constructed in a valid manner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creases the total scor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 effectively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ir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creases the scores of sub-factors(self-understanding behavior. career empowerment behavior, job world search behavior) more effectively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developed properly. 본 연구에서는 앞서 밝힌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과 기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근거로 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준비행동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자 한다. 즉, 기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준비행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타당하고 신뢰로운 프로그램 평가 방법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보다 타당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메이창 오일을 이용한 후경부마사지가 고혈압 고령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최윤경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xtension of people's average life span has increased the number of aged patients suffering from the chronic disease of hypertension. The hypertension for the aged cannot be completely cured by taking the medicine for blood pressure, even if the maximum amount is taken. Regardless of the amount of medicine, a high level of blood pressure is kept by the patients. More than 87% of the aged patients depend on the medicine for blood pressure, because of such factors as the shortage of exercise and the difficulty of changing lifestyles. In this study, the May Chang oil which has an effect of decreasing the level of blood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posterior neck massage, and its influence on the blood pressure is observed. Citral, the main substance of the May Chang oil, enables the aged patients to improve their emotional state. Also, such a substance improves the contents of blood and changes hormones. The point of operation for the scent method is located on the posterior neck part between No.1 of the cervical vertebral and No.2 of the thoracic vertebrae. The part becomes hardened for the first time when the blood pressure increases. The subject groups of this study include the aged women over the age of 70 years living at Z Apartment in B-dong, S-gu. The women in the subject groups regularly take the medicine for blood pressure. 10 of them are included in the comparison group, while 10 are included in the May Chang posterior neck massage group and 10 are included in the lavender posterior neck massage group. Also, 10 are included in the vaseline posterior neck massage group. Each experimental group has received a total of 18 posterior neck massages for six weeks with three times a week. The comparison group does not carry any media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PSS 16.0 is used for the analysis. In regard to the certification of homogeneity of the patients in each group of study, the one-way ANOVA is applied. Such factors as blood pressure and changes related to the blood substances for the experimental period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analyzed with the responding sample t-certification method. After applying the massage, blood pressure in the contraction period shows a noticeable change for reduction for the patients in the May Chang massage group and the lavender massage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Blood pressure in the relaxing period shows a noticeable change for reduction in the May Chang oil. Meanwhile, there seems to be no noticeable change in the vaseline and the comparison groups. The changes for the blood substances in the May Change massage group, the lavender massage group and the vaseline massage group are observed through such categories as blood sugar, cortisol, AST, triglycerol, HDL, cholesterol, renin, and uric acid. The May Chang massage group shows a noticeable decreasing amount in every category. In case of HDL, there seems to be a noticeable increasing amount. The cortisol result of the lavender massage group shows a minimum decreasing amount. Such factors as triglycerol, renin and uric acid show a noticeable decreasing amount, while HDL shows a noticeable increasing amount. There seems to be no noticeable change for blood substances in the vaseline and the comparison massage groups. After applying the posterior neck massage, the difference of the change related to the microcirculation shows the shape of a gentle roof together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blood flow in the May Change and the lavender massage groups. Also, such a difference shows a decreasing amount of united blood flow. As a result, the general condition becomes improved and better. Meanwhile, there seem to be no differences for the blood flow changes and shapes in the vaseline and the comparison massage groups.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massage using the May Chang oil is a way of controlling blood pressure of the aged women suffering from hypertension without using any medicine. It shows the effect of decreasing blood pressure in the state when the medicine for blood pressure is taken. A way of decreasing the side-effect of the hypertension medicine through the change of the blood substances of the May Chang oil is considered. As a result, by using the scent method with the May Chang oil for the chronic hypertension dise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vel of blood pressure together with chemical substances. It is thought that such a method will b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istant hypertension of the aged. 인간 수명의 연장은 만성질환인 고혈압 고령 인구를 증가하게 하였다. 노인성 고혈압은 혈압약을 최대치로 복용하여도 일정 상태의 높은 혈압을 유지하며 고령 인구의 87% 이상은 노화로 인하여 운동력 부족과 생활 습관 개선의 어려움으로 혈압약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화학 제제의 부작용을 줄이고 혈압을 하강시킬 수 있는 보완 요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혈압 하강의 효능이 있는 메이창 오일을 후경부마사지로 적용하여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고령 인구에게 메이창 오일의 주성분인 citral은 기분을 전환시켜 주며 혈액 성분을 개선하고 호르몬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향 요법에서 고혈압의 작용점은 경추 1번에서 흉추 2번까지의 후경부부위이며 혈압이 상승할 때 가장 먼저 경직되는 부위이다. 연구 대상자는 S구 B동 Z아파트에 거주하는 70세 이상의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여성으로 대조군 10명, 메이창 후경부마사지 10명, 라벤더 후경부마사지 10명, 바세린 후경부마사지 10명으로 선정하였다. 각 실험 집단은 6주 동안 주 3회씩 총18회의 후경부마사지를 받았으며 대조군에서는 어떠한 중재도 시행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SPSS 1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동질성 검증은 일원변량분산분석으로 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실험 기간에 따른 혈압, 혈액성분에 대한 변화정도는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마사지 실시 후 메이창 마사지군, 라벤더 마사지군의 수축기 혈압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완기 혈압은 메이창 마사지군이 유의한 감소변화를 보였다. 반면 바세린 마사지군과 대조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메이창 마사지군, 라벤더 마사지군, 바세린 마사지군, 대조군의 혈액성분 변화를 혈당, 코티졸, AST, 중성지질, HDL, 콜레스테롤, renin, uric acid 항목을 통해 살펴보았다. 메이창 마사지군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HDL의 경우 유의적 상승을 하였다. 라벤더 마사지군의 코티졸 결과는 최대 감소치를 보였으며 중성지질, renin, uric acid의 유의적 감소와 HDL의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바세린 마사지군과 대조군은 유의한 혈액 성분변화가 없었다. 후경부마사지 후 미세혈류의 변화의 차이는 메이창 마사지군과 라벤더 마사지군에서 혈류의 증가와 완만한 루프의 형태, 뭉친 혈류의 감소를 보이며 호전적으로 개선되어진 반면 바세린 마사지군과 대조군에서는 혈류 변화와 형태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 고혈압 여성 노인을 위한 비약물 혈압 조절 방법으로 혈압약 제제를 복용하는 상태에서 메이창 오일 마사지는 혈압 하강의 효과를 보였고 메이창 오일의 혈액 성분 변화를 통하여 고혈압 제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만성적인 고혈압 질환에 메이창 오일을 이용한 향요법이 화학적 약물과 병행하여 혈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노인의 저항성 고혈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어머니가 지각한 결혼친밀감과 부모공동양육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한 결혼친밀감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모공동양육이 매개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5년 3월 10일부터 11일까지 2일 동안 인터넷 리서치 전문업체인 서베이스테이션(www.surveystation.co. kr)에 의뢰하여 조사를 실시하여 29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혼친밀감은 이경희(1995)가 개발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부모공동양육은 Margolin, Gordis, & John(2001)이 개발한 부모공동양육질문지(Coparenting Questionnaire; CQ)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Schaefer(1995)의 어머니 양육행동 모형을 토대로 박영애(1995)가 번안·수정한 부모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 사용하여 변들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고, ANOVA와 t 검정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하는 결혼친밀감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밝힐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부모공동양육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결혼친밀감이 높을수록 부모공동양육이 잘 이루어지며, 어머니는 보다 더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수행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별로 살펴본 결과, 직접효과는 긍정적 양육행동과 부정적인 양육행동 모두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간접효과의 경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친밀감과 부모공동양육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긍정적인 양육행동의 경우 긍정적인 부모공동양육과 부정적인 부모공동양육 모두에 영향을 받는 반면 부정적인 양육행동(거부-재재, 허용-방임)의 경우 부정적인 부모공동양육(삼각화, 갈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공동양육의 하위요인 중에서, 갈등, 삼각화, 협력 순으로 매개적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협력의 경우 거부-제재와 허용-방임적 양육행동에 대해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공동양육의 부정적인 측면에서도 하위요인 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삼각화는 모두 부분매개를 보였으나, 갈등은 부정적 양육행동과 관련해서 완전 매개적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부모공동양육의 현실적, 정책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부모공동양육에 대한 연구가 드문 실정에서, 결혼친밀감과 부모공동양육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앞으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ether marital intimacy, as perceived by the mother, is related to co-parenting. For such purpose, a survey was done by an online survey specialized company (www.surveystation.co.kr), compiling a data from 294 participants from March 10, 2015 to November 2, 2015. A measure developed by Gyeoung Hee Lee (1995) was used for measuring marital intimacy, and a translated version Co-parenting Questionnaire (CQ) by Margolin, Gordis & John (2001) was used to measure co-parenting. Furthermore, to measure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parenting behavior measure created by Young Yae Park (1995) on the basis of Schaefer’s (1995) mother’s parenting behavior model was used. Software SPSS 21.0 was used to calculate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and to execut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A correlation between marital intimacy, as perceived by the mother, and parenting behaviors were found, in which co-parenting was involved. Therefore, the higher the intimacy of marital relationship, the better co-parenting showed, and greater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as shown for the mothers. Observations of individual parenting behaviors of the mothers showed that direct effects were present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Indirect effects, however, showed to differ in its correlations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co-parenting behavio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affected by both positive co-parenting and negative co-parenting, while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affected by only co-parenting (triangulation, conflic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co-parenting showed in the order of conflict, triangulation, and cooperation. No mediating effects of cooperation were found for negative parenting. Negative aspects of co-parenting were also affected by its sub-factors; triangulation showed partial mediation, and conflict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lays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parent education programs amidst scarce amount of research being done in the area of co-parenting despite its realistic and political importance.

      • 화학 시술 시 펄빅산 기능수 사용이 모발 내 중금속 저감에 미치는 영향

        최윤경 호서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모발의 퍼머넌트 웨이브나 염색은 현대인의 개성연출로 다양하게 표현되어지고 있다. 모발에 시술되어지는 퍼머넌트 웨이브나 다양한 색상의 컬러링은 결과적으로 화학적인 손상으로 이어져 회복 할 수 없는 모발 손상을 만들어 버린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시술 중 모발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환원제에 펄빅산(fulvic acid) 을 첨가하여 시술 시 농도에 따른 중금속 변화와 모표피의 형태학적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천연 첨가물인 펄빅산을 사용하여 화학제품의 중금속 수치를 저감시켜, 모발 장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12개 시료 모발을 제작하여 물리, 화학적 손상(chemical damage) 도를 알아보고, 퍼머넌트 환원제와 염모제에 펄빅산의 농도를 다르게 첨가하여 적용한 시료모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염색(dye) 또는 퍼머넌트(perm) 시술 시 펄빅산(fulvic acid) 의 사용은 모발의 형태학적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염색 모발 시술시 펄빅산(fulvic acid) 을 5%(5㎖) 첨가 시에는 Pb, Al, Cd, Tl, Cs , 10%(10㎖) 을 첨가 시에는 Ba, U , 15%(15㎖)을 첨가 시에는 Hg, As, Bi의 저감 효율이 크게 나타났으며, 펌 모발 시술시 펄빅산(fulvic acid) 을 5%(5㎖) 첨가 시에는 Hg, Tl, Cs , 10%(10㎖) 을 첨가 시에는 Pb, Cd, As, U, Bi, 15%(15㎖) 을 첨가 시에는 Ba의 저감 효율이 크게 분석되어진 것으로 보았을 때, 자연모(normal hair) 에 염색(dye) 이나 퍼머넌트(perm) 등 화학 시술 시 펄빅산(fulvic acid) 을 최적 농도별로 첨가하면 모발 시술 시 사용되는 염모제 및 펌 제 에서 발생하여, 잔류하는 유독성 미네랄(중금속) 저감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대처 방식의 조절 효과

        최윤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ward nurse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e subjects eligible for this study were 165 cancer ward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at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wangju. For research tools,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developed by Gu, Mi-ok and Kim, Mae-ja (1984) and revised by Han, Myeong-ja (2007). Stress coping styles were measured using ‘WCCL (The Way of Coping Checklist) developed by Lazarus and Folkman (1984) and revised by Han, Jeong-seok and Oh, Ga-sil (1990) and Han, Myeong-ja (2007). For quality of life,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BREF), developed by Min, Sung-gil et al. (2000)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 was us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December 01, 2019 to December 14,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With SPSS 21.0 for window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 of job stress of the cancer ward nurse was 2.44 ± 0.45 points, the mean value of stress coping was 2.34 ± 0.29 points, and the mean value of quality of life was 3.17 ± 0.43 points. 2) In comparing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job satisfaction (t=3.905, p<.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8.068, p<.001). There was a difference in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 level (F=4.043, p=.019) and the position (F=3.951, p=.021). Quality of life was different in gender (t = 3.842, p <.001), job satisfaction (t=-2.400, p=.018),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43.746, p<.001). 3)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216, p=.005)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coping (r=.303, p<.001). Stress coping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248, p=.001). 4)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ward nurses were: gender (ß=-.178, p=.007) and stress due to lack of expertise and skills(β=-.192, p=.016) which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Perceived health status (ß=.527, p<.001), positive perspective coping (β=.194, p=.011), and social support exploration coping (β=.151, p=.025)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nurses in cancer wards, the moderating effect of wishful thinking cop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found to have a buffering effect(β=.175, p=.023, R2=.078).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ward nurses, and was meaningful as it revealed that wishful thinking coping had a pur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reduce the job 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nurses in cancer wa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ncrease wishful thinking coping skills. 본 연구는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C도에 위치한 C대학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는 암 병동 간호사 165명이다. 연구 도구로 직무 스트레스는 구미옥, 김매자(1984)가 개발하고 한명자(2007)가 수정⦁보완한 ‘간호사가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Lazarus와 Folkman (1984)이 개발하고 한정석, 오가실(1990)이 번역하여 수정⦁보완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 척도(The Way of Coping Checklist)’를 한명자(2007)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삶의 질은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의 지침에 따라 민성길 등(2000)에 의해 개발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2월 01일부터 2019년 12월 1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21.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평균 2.44±0.45점, 스트레스 대처는 평균 2.34±0.29점, 삶의 질은 평균 3.17±0.43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과 직무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t=3.905, p<.001)와 지각하는 건강 상태(F=8.068, p<.001)에서, 스트레스 대처는 최종학력(F=4.043, p=.019)과 직위(F=3.965, p=.021)에서, 삶의 질은 성별(t=3.842, p<.001), 직무만족도(t=-2.400, p=.018), 지각하는 건강 상태(F=43.746,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직무 스트레스는 삶의 질(r=-.216, p=.005)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스트레스 대처(r=.303, p<.001)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는 삶의 질(r=.248,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암 병동 간호사의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은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β=-.192, p=.016)와 성별(ß=-.178, p=.007)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지각하는 건강 상태(ß=.527, p<.001)와 긍정적 관점 대처(β=.194, p=.011), 사회적 지지 탐색 대처(β=.151, p=.02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희망적 관측 대처의 조절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완충효과(buffering effect)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175, p=.023, R2=.078). 본 연구를 통해 암 병동 간호사의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고, 희망적 관측 대처가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순수 조절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희망적 관측 대처에 관한 교육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