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폐경 여성에서 경구 에스트로겐 종류에 따른 유방 치밀도에 대한 Medroxyprogesterone Acetate의 효과

        이동윤 ( Dong Yun Lee ),최현진 ( Hyun Jin Choi ),최두석 ( Doo Seok Choi ),민용기 ( Yong Ki Min ),최연현 ( Yeon Hyeon Choe ),윤병구 ( Byung Koo Yoon )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2

        연구목적: 한국 폐경 여성에서 경구 에스트로겐 종류에 따른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의 유방 치밀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MPA 치료 (n=10) 및 estropipate+MPA 치료 (n=16)를 1년간 시행하여, 치료 전후의 X-선 유방촬영술상 유방 치밀도의 변화를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판독 및 J-im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치료 대조군 (n=27)과 함께 비교하였다. 결 과: 각 군간 기초 임상 특성의 차이는 없었다. 1년의 호르몬 치료 후, 대조군 (0%)에 비해 CEE+MPA (7/10, 70%; P<0.001) 및 estropipate+MPA (3/16, 18.8%; P=0.002) 치료군에서 유의한 유방 치밀도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CEE를 병합한 경우가 estropipate 병합군에 비해 높은 유방 치밀도 증가를 보였다 (P=0.033). NIH J image로 계산한 치밀 면적의 비율 변화는 대조군에서 0.66%, CEE+MPA 군에서 7.67%, estropipate+MPA군에서 1.48%로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한국 여성에서 estropipate+MPA 치료는 CEE+MPA에 비해 유방 치밀도에 대한 자극 효과가 적으며, 유방 치밀도의 변화는 경구 에스트로겐의 성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향후 유방암 위험에 대한 추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Objectives: We determined if the impact of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co-administered with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 or estropipate differed on mammographic density (MMGD)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53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without prior hormone therapy (HT) use were included. Smokers, habitual drinkers, women with a body mass index ≥27 kg/㎡, and women with a history of mammoplasty or breast cancer were excluded. HT using MPA (n=26) consisted of the following two groups: CEE (n=10) and estropipate (n=16). Twenty-seven untreated women served as the control group. Mammography was obtained at baseline and 1 year later, and MMGD was assessed based on the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by one radiologist who was blinded to treatment.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the dense area after HT was assessed using the J-image program. Data were analyzed with analysis of variance and chi-square or Fisher`s exact tes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MGD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1 year of HT, CEE (7/10 [70%]; P<0.001) and estropipate (3/16 [18.8%]; P=0.002) regimens significantly elevated the BI-RADS grade compared with controls (0%), and CEE induced a greater increase in MMGD than estropipate (P=0.033).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dense areas assessed using the J-image program increased more with the CEE regimen (7.67%) than the estropipate regimen (1.48%),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Estropipate+MPA had a less stimulating effect on MMGD than CEE+MPA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change in MMGD induced with MPA might depend on the oral estrogen preparation. A further study on breast cancer risk based on combination HT is warran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