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하우스 뮤지엄의 전시 소재와 의미에 대한 고찰: ‘딜쿠샤(Dilkusha)’ 사례를 중심으로

        최아름(Choi, Areum)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3

        하우스 뮤지엄(House Museum)은 다양한 박물관의 유형 중 하나로서, ‘가옥을 박물관화’ 한 것을 지칭한다. 가옥을 전시 소재이자 전시 공간으로 바라보고 이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여 콘텐츠를 담아내는 그릇으로서 재탄생시키는 하우스 뮤지엄은 유산으로서 ‘가옥’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콘텐츠로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 대해 고찰해볼 수 있는 하나의 사례이다. 국내에서는 하우스 뮤지엄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편으로, 이에 관한 개념 고찰 및 콘텐츠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이는 많은 국내의 하우스 뮤지엄이 ‘가옥’의 의미를 다각적으로 살펴보기보다는 일차원적인 해석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하우스 뮤지엄의 전시 소재 다양성 및 해석의 다각화 측면에서 아쉬움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우스 뮤지엄의 개념 및 소재 유형화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토대로 하우스 뮤지엄의 개념을 비롯해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어떤 소재를 가지고 박물관화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그동안 국내에서는 소수의 연구자만 들여다보 았던 하우스 뮤지엄에 대한 연구 저변을 확장하고, 다양한 이야기 소재들을 하우스 뮤지엄의 전시 소재(Objects)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소재들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부여받을 수 있는지, 이렇게 부여받은 의미들이 하우스 뮤지엄의 전시 구성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딜쿠샤(Dilkusha)’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House Museum is one of the various types of museums and refers to the "musealization of houses". The House Museum, which views houses as exhibition objects and exhibition spaces and re-creates them as containers for contents, is an example of the question of what the meaning of "house" as a heritage and how to use it as cultural contents. In Korea, research on house museums is insufficient, and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concepts and contents. This is because many domestic house museums don"t pay attention to the meaning of "house" in various ways, so the house is limited to a one-dimensional interpretation. As such, there are many regrets in terms of diversification of the exhibition objects and interpretation of the House Museum. In this paper,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the concept and objects categorization of the house museum, we will examine the concept of the house museum, what meaning and value it has, and what material it is being musealized. Therefore, I would like to expand the research base on the house museum, which has only been looked at by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in Korea, and present various story materials as objects of the house museum. And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meaning and value these objects can be given and how these meanings are reflected in the exhibition composition of the House Museum through the case of "Dilkusha."

      • SCOPUSKCI등재

        어육장의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윤미경(Mi Kyung Yoon),최아름(Areum Choi),조인희(In Hee Cho),유민정(Min Jung You),김지원(Ji Won Kim),조미숙(Mi Sook Cho),이종미(Jong Mee Lee),김영석(Young-Suk Kim)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4

        어유장의 휘발성 향기 성분들을 용매추출을 이용하여 분리, 농축하였으며, GC-MS로 분석하였다. 총 36가지의 휘발성 성분들이 검출되었으며, 11개의 aliphatic hydrocarbons, 4개의 acids, 2개의 ketones, 5개의 phenols, 7개의 alcohols, 1개의 pyrazines, 4개의 pyrones와 furanones, 2개의 miscellaneous components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acids인 but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어육장의 향기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용매추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분리 후 향추출물 희석분석법으로 flavor dilution(FD) factor(Log₃ FD)를 구하였다. 이 결과 어육장에서 총 20종의 향기활성 성분들이 확인되었다. 이 중 군덕내의 특성을 지닌 butanoic acid와 구운 감자향을 지닌 methional이 높은 FD factor를 보였으며, 이들 성분 외에 높은(Log₃ FD>7)를 나타내는 성분들로는 2-methyl-2-butanol(soysauce-like), 3-hydroxy-2-butanone(buttery), 2-furanmethanol(burnt sugar-like) 등이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어육장용 시료로 하여 휘발성 향기성분 및 향기활성 성분들을 GC-MS 및 AEDA법에 의해 분석함으로 어육장 특유의 향미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는 앞으로 고급화된 장류 제품으로서는 물론, 다양한 식품에서 조미소재로의 어육장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volatile components in Eoyuk-jang,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were isolated using solvent extraction,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 total of 36 components, including 11 aliphatic hydrocarbons, 4 acids, 2 ketones, 5 phenols, 7 alcohols, 1 pyrazines, 4 pyrones and furanones, and 2 miscellaneous components, were found in Eoyuk-jang; among them, butanoic acid was quantitatively dominant. In addition, the aroma-active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 using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AEDA). A total of 20 aroma-active compounds were detected by GC-O. Butanoic acid (rancid) and methional (cooked potato-like) were the most potent aroma-active compounds with the highest FD factors (Log₃ FD), followed by 2-methyl-2-butanol (soysauce-like), 3-hydroxy-2-butanone (buttery), and 2-furanmethanol (burnt sugar-like).

      • KCI등재

        경엽식물 잎의 첨가가 김치의 발효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효과

        박동일(Dongill Park),최아름(Areum Choi),우혜진(Hyejin Woo),이성갑(Seong Kap Rhee),채희정(Hee Jeong Ch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4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추출물 및 세절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김치의 발효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먼저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 및 유산균 증식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감잎 추출물이 뽕잎 추출물과 댓잎 추출물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았고, 유산균의 생육을 더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세절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담근 14일 후의 관능평가 결과, 감잎 세절물 0.3%를 첨가한 김치에서 색, 풍미,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 감잎 세절물과 감잎 추출물 0.3%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담근 당일과 담근 14일 후의 pH와 산도의 변화량( ΔpH, ΔTA)을 계산한 결과, 감잎 세절물에서 유의적으로 적은 변화량을 보였다(p<0.05). 또한, 담근 14일 후의 감잎 세절물 0.3% 첨가한 김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김치 제조 시 감잎 세절물 0.3%의 첨가가 김치의 숙성 중 pH, 총산도의 변화, DPPH 전자공여능, 총 폴리페놀 함량 및 관능평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persimmon, mulberry and bamboo leaves addition on the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investigated.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inhibition of EtOH extract from persimmon lea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mulberry and bamboo leaves. From the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added with three chopped plant leaves, kimchi added with chopped persimmon leaves gave the highest point in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significantly (p<0.05). When the chopped persimmon leaves were added at a ratio of 0.3% based on cabbage weight, the changes of pH and total acidity (TA) during the storage for 14 days were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general kimchi (p<0.05).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kimchi supplemented with chopped persimmon leaves at 0.3%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torage for 14 days (p<0.05), and this kimchi provide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general kimch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perisimmon leave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 KCI등재

        아동병동 환아 어머니가 인지한 간호사의 의사소통유형과 간호사와의 파트너십, 불안이 대처에 미치는 영향

        김용희(Kim, Yonghee),최아름(Choi, Areum),장인순(Jang, Insun) 한국간호교육학회 2023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9 No.2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nurses’ communication styles, nurse-mother partnerships, and mothers’ anxiety levels to the coping of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se fact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ly 12 to October 29, 2018.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200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in the pediatric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Results: The coping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urses’ informative communication style (r=.26, p<.001), affective communication style (r=.28, p<.001), nurse-mother partnership (r=.50, p<.001), authoritative communication style (r=-.28, p<.001), and mothers’ anxiety (r=-.23, p=.001).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R2=.32) indicat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mothers’ coping included nurse-mother partnership (β=.47, p<.001), another caregiver (yes) (β=.17, p=.006), and mothers’ subjective health status (very healthy) (β=.15, p=.047). Conclusion: Considering that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partnerships between mothers and nurses found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s’ coping skills, it appear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for improving nurses’ communication skills and ability to form partnerships, beginning from undergraduat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