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 삶과 공동체의 표현 과정으로서 커뮤니티 아트

        최시내(Choi si nae) 민족미학회 2015 민족미학 Vol.14 No.2

        최근 예술을 통한 도시재생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공예술 사업들은 거주민의 요구가 실질적으로 반영되지 않고 있으며, 예술가들의 창의성도 제한되어 있다. 거주민과 예술가들의 관계 맺기의 과정도 생략되기 일쑤여서 소통과 참여의 예술 활동은 기대하기 어렵다. 도시 공간의 예술 활동이 누구를 위한 공간실천이며 무엇을 위한 것인가 하는 문제는 문화적 도시재생에 참여하는 예술가들의 주요한 과제이다. 본고는 대도시의 예술이 실제 공간의 구체적 삶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 속에서 공동체의 표현 과정으로서 예술을 고찰한다. 도시 공간의 의미를 재발견하려는 공간실천으로서의 예술 활동을 위해서 벤야민이 수행했던 도시와 예술의 사유를 고찰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벤야민의 미학은 역사적인 맥락 속의 이미지 발굴과 도시 사물들에 대한 공간적 성찰, 그러한 환경에 처한 현대인의 삶을 함께 살폈다. 벤야민은 기술과 자본이 만들어낸 도시 공간의 이미지들이 양가성을 지니고 있음을 간파했다. 우리가 꿈을 꾸고 깨어나는 순간의 자각으로서 소망이미지는 인간의 근원적 욕망 즉, 유토피아에 대한 태고적 이미지이며, 대도시인들의 관계맺음 속에서 소통하고 협력하면서 적극적인 표현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현재의 삶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집단의 인식과 자각을 추동하는 상상의 이미지들은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예술 활동을 통해 창작될 수 있다. 도시 공간에서 벌어지는 예술 활동은 소망이미지의 출현을 이끄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소외되었던 도시 거주민의 참여와 소통을 가능케 하는 커뮤니티 아트가 벌어질 때 과거 세대가 꿈꾸었던 이미지를 다음 세대가 의식적으로 기억해 내는 과정이 생겨난다. 이것은 벤야민이 지향했던 소망이미지의 현실화이고 예술의 사회적 기능이라 말할 수 있다. 소통하고 참여함으로써 의식과 감각 체험을 표현하게 도와주는 커뮤니티 아트의 공간성, 관계성, 과정성은 예술을 확장시키고 새로운 예술 활동의 의미를 열어줄 것이다. Recently urban regeneration through art has come into the spotlight. In practice, Public art business for urban regeneration is not embracing the demand of the dwellers, also the creativity of the artists is limited. The proces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dwellers and the artists is so prone to be left out that the dwellers" communicating and participating into the actual art activities is hard to be expected. Who are the art activities in urban space for? What is the spatial practice for? These are the primary tasks for the artists who participate i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ity that Benjamin practised for the artistic activities as spatial practice to rediscover the meaning of the space of cities and its artistic ground. His aesthetics appraises an image excavation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spatial reflection of the ojects in the cities, and modern human life living in these circumstances. Bejamin penetrated that the images of city space produced from technology and capital have ambivalence. Wish-images as awareness of the moment which we dream and awake, namely is the primordial image on Eutopia and it could be presented as an entusiastic expression cooperating and communicating in the relationship among people living in the large city. Imaginary images which drive collective perceptions and self-awareness for overcoming the current crisis of life can be created through an artistic activity based on community. Such artistic activities within the urban areas should be a process for leading the advent of wish-images. When a `Community Art` which enables th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abandoned urban residents takes in place such process would also be taken in place, where the images of the past generations would consciously be recalled by the next generations. This can be said that actualization of the hopeful image of Walter Benjamin"s pursuing goal and the social function of the art. With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 a `Community Art` consisting of spatiality, relationship, and process for helping expression of experiences of consciousness and sense enables the art be extended and embraces the new era of artistic activities.

      • 미적 시공간으로서 대도시의 스펙터클과 감응의 문제

        최시내(Choi, Si Nae) 민족미학회 2014 민족미학 Vol.13 No.1

        인간은 공간을 구성하는 존재인 동시에 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주체이다. 공간은 인간 삶의 기저이며, 인간은 공간을 구성하고 생산한다. 현대인의 삶의 공간인 대도시는 시각중심적 건축물들로 일상을 조직하고, 속도중심적 거리로 구획되어 있다. 현대인의 삶은 공간과 총체적인 감각작용을 하지 못할 뿐 아니라, 스스로의 몸으로 공간을 만나는 것조차 차단당하고 있다. 이 글은 현대 대도시의 삶과 공간적 특징을 ‘스펙터클’이라는 문제로 짚어본다. 공간에 대한 미적체험을 부산이라는 구체적 장소의 대표적 구조물인 ‘광안대교’와 대규모 문화행사인 ‘부산불꽃축제’의 사례를 들어 분석한다. 광안대교는 속도의 효율성을 위한 구조물이며, 부산불꽃축제는 움직이지 않는 관객에게 시각적 자극을 대량으로 쏟아 붓는다. 기 드보르의 스펙터클 이론에 의하면, 광안대교와 부산불꽃축제는 현실세계를 단순한 이미지들로 바꾸어 놓는 것들이 된다. 이러한 스펙터클은 시각을 특권적 감각으로 삼아 인간 고유의 감각활동을 배제하여 장소적 특정성을 망각한 실재와 무관한 이미지를 이루게 한다. 참여하고 생동하는 감각운동, 공간과의 상호감응의 관계는 우리 몸이 자신 고유의 리듬으로 공간과 만나는 ‘걷기’를 통해 되찾을 수 있다. 대도시 생활자인 현대인의 생생한 공간체험은 자신의 삶이 반영된 공간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그 속에서 엮어진 이웃과의 삶을 총체적으로 바라볼 때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거리예술은 우리의 미적체험을 총체적 감각체험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공간적 실천이 될 수 있다. Human exists as a subject that composes spaces as well as interacts with them. Space is the base of human life, humans compose and produce the space. Metropolis as contemporary living space organizes daily life through the visual architectures and divides into speed-centric street. Not only contemporary people cannot do whole sensory action, but also they are obstructed to meet our bodies with space. This paper discusses the life of contemporary metropolis and the spatial character in terms of the problem of visual-centric spectacle. This paper analyzes space for the aesthetic experience by exemplifying Busan, specifically ‘Busan fireworks festival’ and ’Gwangan bridge’ in Busan. Gwangan bridge is a structure for the efficiency of speed, and Busan fireworks festival dumps a large number of Visual stimuli to the stationary audience. According to Guy Debord’s spectacle theory, Gwangan bridge and Busan fireworks festival change the real world into a simple image. The spectacle exclude the human sensory action, make humans to forget the spacial specificity, give them the images not related to the real life. The relation of mutual induction between participating and lively sensory action and spaces can be found through the “walking”, the way meeting the space with our own rhythm. The vivid space experience of contemporary people who live in metropolis is possible when they rediscover the meaning of space reflecting of their life and see generally the life of neighbors that is connected in their life. In addition, street art can be a spatial practice that leads aesthetic experiences to our whole sensory experience.

      • 영상탐색기를 이용한 로봇 자기위치 추정 및 랑데부 유도

        배선호(Sun-Ho Bae),조준연(Jun-Yeon Cho),최시내(Si-Nae Choi),한혜진(Hye-Jin Han),문한빛(Han-Bit Moon),이다연(Da-Yeon Lee),나원상(Won-Sang Ra)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In this paper, self-localization and rendezvous guidance schemes using image seeker and gyro sensor are proposed for non-holonomic robot applications. To effectively avoid the divergence of robot pose calculated by the odometry, image seeker and low-cost gyro are adopted as auxiliary sensors for improved robot localization. The image sensor is designed to detect landmark with known position based on color marker algorithm. Robot self-localization can be achieved by applying the extended Kalman filter algorithm for the nonlinear motion model and intermittent measurement model. Using the estimated pose information, a horizontal rendezvous guidance law is developed for controlling the robot position to the specific position.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s are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