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st Human Feminists’ View on ‘Women and Nature’ in comparison with Ecstatic Naturalism

        최순양 한국민중신학회 2017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0 No.28

        In this paper, I argue how posthuman feminists such as Rosi Braidotti d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nature which has been connected in many ways. The reason of the deconstruction for Braidotti is that connection between women and nature in many ways lead another type of anthropocentrism. Meanwhile the parties which relate women and nature seek the improvement of women and nature because they, for example, Ecofeminists see that there i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adation of women and that of nature. In this way I introduce mainly two types of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nature. After investigating post human feminists’ management of the connection between women and nature, I will move to Ecstatic naturalism’s assumptions about ‘women and nature’ which in some ways connects to Ecofeminism’s perspective. When Robert Corrington explains ‘selving process’ and chora, it seems like he ties nurturing (and giving birth) with nature. This assumption does not fit well with his suggestion that ‘nature naturing’ cannot be fully expressed in human language and sign because nature exceeds human gender identity and traits. In this way, I would like to delicately argue that in what ways ‘nature’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with women in academic discourses of posthuman feminisms and Ecstatic naturalism.

      • KCI등재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여성신학적 이해

        최순양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3 기독교사회윤리 Vol.57 No.-

        이 글에서는 그동안 여성이 누구인가를 정의내려온 인식론적 여성정의에 관해 비판하고, 서구 백인 남성이라고 하는 주체의 반대자로 생명, 출산 등의 이미지로 여성을 정의 내려온 인간중심적 신학과 생태주의 여성 신학에 대해 비판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간을 정의내리는 범주들이 이분법적이고 주체와 열등한 타자를 끊임없이 본질화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정적이고 본질적인 여성 정의들을 넘어서기 위해 로지 브라이도티 등이 주장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은 여성을 붙박여있고, 정적인 존재로 정의내리기 보다 끊임없이 움직여가고, 다른 존재들과 얽혀있는 존재로 읽어내려간다. 이러한 인간중심적 언어들을 해체하며 모든 존재들이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전제를 신학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필자는 기독교의 창조주 개념과 돌보시는 하나님 개념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신비'와 '흑암'으로의 하나님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criticize the epistemological definition of women and human-centered theology. They define women through images of mother, childbirth, etc. as opponents of the subject called Western white men. This is because the categories that define humans are dichotomous and tend to essentialize women as the inferior other. To go beyond these fixed and essential definitions of women,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critical posthumanism advocated by Rosie Braidotti. They read women as beings who are constantly moving and inꠓtertwined with other beings. To dismantle these human-centered languages, I will criticize the Christian concept of the Creator and the caring God and propose the concept of God as 'mystery' and 'darkness'.

      • KCI등재

        한국개신교의 ‘가족강화’ 신앙교육과 여성

        최순양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연구 Vol.- No.25

        한국개신교에서는 여성들을 위한 신앙교육이 있어 왔는데, 그것은 그들을 ‘어머니’와 ‘가족 구성원’으로 키워내는 성역할 강조와 맥을 같이해 왔다. 사회에서 여성들이 직장일과 집안일이라는 이중노동에 버거운 것처럼, 교회에서도 여신도들은 예배와 행정에 봉사하면서 먹을거리도 준비해야 한다. 여신도들에게는 항상 ‘좋은 어머니가 되려면 신앙이 좋아야 한다.’는 교육방향이 정해져 있어서, 그들이 교회에 가고 기도를 하는 이유가 ‘자식과 가족이 잘되기 위해서’인 경우가 많다. 이런 성역할 고정화 경향은 신자유주의 가치관과 부합하여, 중상층 여성들의 계급이해와 맞물리는데, 영어 배우기와 ‘순결교육’ 등의 혜택을 위해 교회에 가는 경우도 있고, 신앙을 가지는 경계선이 ‘가족이 잘되는 것’에 맞춰있기 때문에 여성 신앙교육은 늘 ‘가족강화’에 맞춰 진행된다. 그러나 이런 경향은, 경제적으로 스스로 가족을 이끌어가야 하는 ‘혼자 돌봄’ 여성이나 결혼을 하지 않는 여성의 경우, 자신을 계속해서 ‘좋은 여성’이 아닌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이렇듯, ‘가족강화’ 신앙교육은 한국개신교 안에서 여성들에게 ‘좋은 신앙인’이 되기를 강조하는 것에 더해져 ‘좋은 엄마’, ‘좋은 아내’로 살아갈 것을 강요하는 성역할 고정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가족강화 논리가 ‘중상층’ 여성들에게는 어떠한 성역할을 교육하면서 상승효과를 나타내는지, 또 경제적으로 어려운 ‘혼자 돌봄’ 여성들에게는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를 논할 것이다.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ere have been such a strong faith developments towards married women which make them as a good mother and family member. Women of faith have been raised believing to be a good believer means to be a good mother. In this paper, therefore, I would like to address 1) what kind of ‘gender role’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educated women 2) how this kind of education influence middle-high class women and satisfy their family oriented desire. 3) How this ‘gender role’ affects single moms or women who make money by herself for their families. Family oriented faith developments in Korean church have several problems. They do not address and satisfy single young women who want to be independent and professional. They also have strong classism which reinforce middle-high class women to keep their family’s economic level. Futhermore, family oriented faith developments do not help poor women to overcome their physical and economic violence from their husbands because they keep the women to be loving, patient and obeying. I, therefore, propose Korean protestant churches to try a new kind of education which help women to be independent followers of God.

      • KCI등재

        낙인찍힌 죄에 대한 해체 ―민중신학적 죄론에 대한 재해석

        최순양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2 신학연구 Vol.59 No.2

        예수의 복음 선포는 민중들에 대한 해방사건과 다르지 않다. 예수가팔복선언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만나면서 어떻게 복음을 전파했는지를 알아가다 보면 민중의 해방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조금을 알 수 있을것이다. 이 글에서는 따라서 민중신학에서 이야기하는 ‘해방’의 의미를‘죄인’을 만난 예수를 통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소위 사회에서 죄인이라고 낙인찍은 사람들을 만나서 예수는 그들에게 죄로부터의 해방을 선포했다. 만약 이 현실이 예수에게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에게서도 이어지게 하려면 이 사건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면밀히 살펴볼필요가 있을 것이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민중을 해방시킨다는 의미를 언어에 이미 내재되어 있는 이분법과 차별적 요소를 해체함으로써 민중을 죄인의 위치에 놓치 않으려는 노력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이 작업을 위해서 먼저 서남동을통해 민중신학에서 말하는 죄는 전통 신학적 의미의 죄 이해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민중신학적 접근을 더 심화시키기 위해서 언어에 놓여진 기득권 중심성을 해체하고자 하는 학자들, 즉 포스트식민여성운동가 가야트리 스피박(Gayatri Spivak)과젠더의 이분법을 해체한 쥬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이론을 살펴볼것이다. 그 후에 한국에서 이러한 지식인 중심성을 극복해야 하는 딜레마를 가지고 있었던 사례로서 성매매특별법에 대한 문제를 다루어 볼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이주민 여성들과 유목적 주체로의 신학적 형상화

        최순양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2

        This paper theorizes the reality and experiences of immigrant women who live in Korea with a focus on immigrant women who came for marriage. The suffering and negative experiences of immigrant women are not the only concern but also their struggle and self-actualization. The theory of Rosi Braidotti, and the concept of Nomadic Self is presented as a way to understand immigrant women’s self-actualization. Using this approach, the author renames immigrant women in Korea and suggests that they are unique and creative beings who meaningfully contribute to and help to creat Korean culture and reality. In this way, this paper offers a new way to interpret immigrant women as subjects not simply as the Other in Korean society but as Nomadic Selves who have their own territory and particularity. This paper also suggests how we consider Immigrant women as equal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s Mystery. In this , this work draws on the insights of feminist theologians such as Elizabeth Johnson and Catherine Keller who talks about God as mystery. Through this feminist and theological application, this paper finally suggests that immigrant women are mysterious and nomadic subjects with their own uniqueness and diversity. 이 글에서는 한국에서 살고 있는 이주민 여성들에게 일어나고 있는 경험과 현실들이 ― 부정적인 측면들을 포함해서 ― 무엇인 지에 대해서 분석하면서 동시에 이들이 독창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주체적 현실은 어떤 것인 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이주민 여성 중에서도 결혼 이주 여성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다. 전반적인 이주 여성의 문제를 광범위하게 다루지 못하지만 결혼한 이주 여성의 문제를 여성의 문제로 분석하면서, 타자나 희생자로서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도 다양하면서 차이를 가진 ‘여성’의 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어 다루어보고자 한다. 이주 여성들을 희생자와 보호의 대상으로 바라봤던 글들도 많이 나왔지만, 이 글에서는 이들의 현실과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주민 여성, 특별히 결혼 이주민 여성의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주체로 형상화할 수 있는 로지 브라이도티의 “유목적 주체” 개념을 통해 해석해 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목적 주체”로서의 여성 정체성 확립이 이주 여성들을 어떻게 여성을 이루고 있는 다양한 고원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다룰 것이다. 이에 더하여 브라이도티의 ‘유목적 주체’로부터 고민해 볼 수 있는 신학적 개념 ― 신비와 다양성의 하나님 형상을 닮은 사람들 ― 을 제안할 것이다. 그리고 하갈을 성경적 여성의 주인공으로 해석한 들로레스의 관점 또한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주 여성들을 한국 여성의 타자로 희생자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주체로, 따라서 신비한 하나님 형상을 지닌 동등한 존재로 이해하는 인식의 전환과 새로운 명명의 방식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트린 민하(Trinh T. Minh-ha)와 스피박(Gayatry Chakravorty Spivak)을 통해 본 탈식민지적 여성이해

        최순양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3 여성신학논집 Vol.9 No.-

        It is not exaggerate to say that main theme of feminism has been mostly, ‘who are women’, ‘how to define women.’ However, as the understandings of ‘subject’ become complicated and diverse, it is not easy to define and categorize women’s subject. In this essay, therefore, I would like to introduce film-maker and theorist Trinh T. Minha and her way of understanding colored women. Trinh tries to articulate the subject of women through writing and narratives. In this process, however, the observer’s attitude plays very important role. Trinh suggests that the observer should struggle with her own prejudices and tries to be free from them. Also, I would like to deal with Gayatry Chakravorty Spivak understanding of ‘subaltern’ and how she connect it with women’s subjectivity. Postcolonial theorist, Gayatry C. Spivak raises some serious question about ‘representation’ and how intellectuals oftentimes violate the subject of sublatern women. Intellectual (women) tend to build some stereotypes toward subaltern even in the process of engagement and communication. In this paper, therefore, I have introduced Trinh Minha and Spivak’s theory related to subject of (colored) women and have compared two theorists’ ideas. For two theorists together, how the observers(intellectuals) deal with subaltern women influences the subject of the women. In this way, I have tried to seek more delicate and complicated understanding of colored women who, for long time, have been silent in many academic discourses. I have also suggested how important the attitudes of intellectuals play in the academic theories especially feminist (theological) the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