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문화자본론의 관점에서 본 영어의 한국적 의미와 구조

        최샛별(Choi Set-Byol),최유정(Choi Yu-J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0 No.-

        ??본 연구는 부르디외의 문화 재생산론에 근거하여 대표적인 문화자본으로 전제되어 온 문화예술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영어가 차지하는 위상과 내적 구조를 탐색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영어가 지니는 문화자본론적 함의와 실제 다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계급재생산 기제들의 지형에 대한 경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705명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과 영어에 대한 인식과 태도, 문화예술적 교양과 영어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의 이미지 등을 조사해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요도에 있어서 영어가 문화예술보다 더 높이 평가되었고 계급이 높을수록 중요성을 강조하는 양상도 영어에서 더 명확히 나타났다. 높은 계급일수록 투자 의향 또한 커지는 문화예술 영역에 비해, 영어에 대한 계급의 효과는 미비했다. 실제 자신의 능력에 대한 평가는 계급이 높아질수록 확연히 비례해 높아졌다.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보면 그 구성 요인들이 문화예술적 교양을 가진 사람들의 그것과 거의 유사했다. 특히 국내 교육만으로 뛰어난 영어 실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이미지는 문화예술 관련 교양을 지닌 사람들의 이미지와 완전히 일치하는 구조를 띠었다. 또한 문화예술적 교양과 마찬가지로 영어 실력도 그 소유자 개인의 능력이나 고급스러움, 성공의 이미지로 비추어지는 경향이 강했다. 각 요인별 평균 점수의 계급별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영어와 영어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은 문화예술을 준거로 했을 때 영어가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문화자본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케 하는 동시에, 응답자의 계급적 배경이 보다 체계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난 문화예술에 비해 영어의 경우 부분적으로 계급별 인식이 혼재되어 있는 ‘과도기’적 과정을 거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tatus and inner structure of English compared with cultural art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a representative cultural capital according to Bourdieu’s cultural reproduction theory. Through this study, an empirical explanation toward the implication and the feature of class-reproduction mechanism of English in the Korean society is delivered. For such explanation, investigation on 705 people residing in Seoul, Kyeongki and Incheon region has been done toward the awareness, attitudes and images on people with high cultural art refinement and English skill. As a result, English has been evaluated to be more important than cultural art. Moreover, higher the class, the importance of English has been clearly defined. Also, higher the class, the intention toward cultural art was higher. However, the class-effectiveness was inadequate for English. Evaluation toward one’s actual ability was definitely proportionally higher as the class was higher. Also, the image components of people with high English skill reflected the components of people with high knowledge in cultural art. Expecially, images of people with high English skills from domestic education coincided with the images of people with high cultural art knowledge. Like cultural art refinement, English ability also reflected a person’s exclusivity and successive image. The average scores of each factors did not have class deferences. The overall awareness toward English and people with high English skill complied with cultural art, it has been found that English skill should be understood as cultural capital in the Korean society. Moreover, English can be implied to be in a transformation period with mixed class awareness when compared with cultural art which systematically reflected the respondents’ class backgrounds.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의 문화자본 지형도 구성을 위한 척도개발 기초연구;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선호를 중심으로

        최샛별 ( Set Byol Choi ),이명진 ( Myoung Jin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2 조사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대규모 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지형도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다른 국가들에서 집적된 기존 자료와의 비교가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현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질문 문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국내의 문화자본 관련 문헌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고, 주요 문헌과 조사에서 사용한 척도 및 관련 질문지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질문지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영역과 차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각 영역과 차원을 고려하여 한국 사회에 보다 적합한 질문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각 분야별 문헌조사와 전문가 조사, 그리고 대상자 질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본 연구는,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장르를 주요 영역으로 선정하고 문화의 ``고급/대중`` 차원과 ``소비/생산`` 차원, 그리고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항목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각 항목들에 대해서는 그 동안 문화자본의 보유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기존의 연구들에서 일관성 없이 사용된 문화자본 측정의 세 가지 측면(선호, 참여, 인지)을 통합·보완하여, 각 항목을 좋아하는 정도(선호), 각 항목에 참여하는 정도(참여), 그리고 각 항목이 고급스럽다고 생각하는 정도(인지)와 각 항목이 멋있다고 생각하는 정도(인지)를 묻는 질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자본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방대한 양의 질문 문항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한 항목들을 추가하여 보다 한국적인 문화자본을 찾아낼 수 있는 큰 틀을 마련하고, 이로써 그 동안 서구 중심적으로 진행되어 왔던 문화자본 논의에 있어서의 비서구적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research is a part of a fundamental research to form the topographic map of the South Korean society`s cultural capital, based on large scale research data. Its purpose is to suggest suitable questions for today`s Korean society as well as to compare with previous data accumulated from other nations. For this,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critical study on the extensive literature on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capital and collect measures, questionnaires, and data used in important literature and surveys. Based on this, the major domains and levels that should be dealt in the questionnaire were chose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r each field; expert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questions more suitable for the Korean society considering each domain and level,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ubjects were conducted. This research as seen through the above processes, music genres and culture activities were chosen as major domains, "high/popular" level and "consumption/ production" level were chosen as items, and specific items were composed considering Korea`s distinct characteristics. Each of these items combine and complement the three aspects of measuring cultural capital(preference, participation, perception), which have been used incoherently in previous researches in measuring the level of possession in cultural capital. This led to developing questions such as the level of liking each item(preference), the level of participating in each item(participation), the level of luxuriousness in each item(perception), and the level of stylishness in each item(perception).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critically examines the vast amount of questionnaires used in the past for cultural capital research, provides a large framework to find Korean cultural capital by adding items considering Korea`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groundwork to fill in the non-Western gap in the discussion of cultural capital, which has been based on the West.

      • KCI등재

        한국사회의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상징적 경계에 대한 예비적 고찰

        최샛별(Set Byol Choi)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06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6 No.-

        상징적 경계라는 개념은 1960년대부터 상징적 체계와 간접적 형태의 권력에 대한 연구들이 수렴되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현재 사회과학전반에 걸쳐 새롭게 부상하는 중요한 학문적 조류에서 핵심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한국학계에서는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 않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상징적 경계가 인지적 도구로서 사람들의 사고 속에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인지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 논문은 2005년 대학생 1.419명으로 대상으로 실시된 음악장르에 대한 고급스러움의 인지정도를 통하여, 상징적 경계의 인지적 차원에서의 대표적인 연구주제라고 할 수 있는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의 경계의 한국적 지형에 대한 기초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그 결과 2005년 한국사회 음악의 인지적인 경계는 전통적인 고급문화라고 할 수 있는 클래식을 최상위로 그리고 성인가요를 최하위로 하는 위계적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식적으로 가지고 있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위계와 구별되는 특징으로는 고급문화라고 할 수 있는 클래식과 대중문화라고 할 수 있는 음악 장르와의 차이보다는 대중음악장르 내에서의 위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서구 또는 외국음악이 같은 장르의 국내음악보다 높은 위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사회에서의 대중문화의 위치의 변화와 한국사회의 역사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The concept "symbolic boundaries" has gained importance since the 1960s when studies on symbolic system and indirect form of power began to converge. Now it is a core concept in a newly emerging field of social sciences. Yet, there are few studies done on symbolic boundaries in Korea, let alone on the cognitive aspect which emphasizes that symbolic boundaries are rooted in people as a cognitive tool. Analyzing 1419 college students surveyed in 2005, this study attempts to draw a Korean map of boundaries between high culture and popular culture by looking into who considers which musical genre high quality. The result shows that cognitive boundaries of Korean society in 2005 puts classical music at the top of the hierarchy with Korean adult pop at the bottom. And the hierarchical difference within popular music genres i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classical music and popular music. Within the same genre of music, western music or foreign music occupies higher hierarchy than domestic music. It seems to reflect changes in the position of popular culture and historical peculiarity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세대별 비교를 통해 본 가족 관련 정체성의 변화와 그 함의

        최유정(Choi, Yu-Jung),최샛별(Choi, Set-Byol),이명진(Lee, Myoung-Jin)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2

        본 연구는 감정조절이론을 이론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사회 구성원들이 가족과 관련한 다양한 정체성들에 대해 부여하는 감정적 의미(affective meaning)의 총체를 드러냄으로써 오늘날 한국 가족의 현실을 조명하는 한편, 세대별 비교를 통해 가족을 둘러싸고 진행되고 있는 변화의 실체를 규명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가족과 관련된 사회정체성의 3가지 감정적차원인 평가성, 권력성, 활동성 점수를 분석한 결과, 가족 관련 정체성들에 대한 응답자들의 평가에서는 세대간 차이보다 합의가 두드러졌다. 부모, 자녀, 부부관계에서는 ‘부부중심성’이 아닌 ‘어머니’ 내지는 자녀가 전제된 ‘부모로서의 부부’가 관계의 핵을 이루었다. 친족관계에서는 처가와의 정서적 거리가 줄어드는 양계화의 경향이 발견되었으나, 그 기조에는 여전히 가부장제의 견고한 뿌리가 존재하고 있었다. 곳곳에서 민주화가 빠르게 진전된 부분과 함께 젠더관계와 세대관계에서 여전히 불평등한 권력구도가 공존하는 양상 또한 발견되었다. 다양한 가족과 관련한 정체성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 인식이 팽배해있고 세대별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전혀 드러나지 않아 가족의 변화가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를 견인하지 못하고있는 현실을 엿볼 수 있다. This study reveals the affective meaning delivered by social members toward the diverse identities regarding family in general by using the affective control theory as a theoretical device. Through such attempt, this study penetrates the present picture of the Korean society and establishes the substantiality of the family transformation by comparing generational differ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 affective dimensions of family-related identities which are evaluation, power and activity, generational agreement was stronger than opinion difference toward the family-related identities. In parent, children, and marital relation,‘mother-oriented’ or ‘child-focused marital relationship’ was the main spotlight rather than‘partner-oriented’ marital relationship. Although the affective distance with the wife’s family has decreased, strong roots of patriarchy still existing the base. Moreover, inequalities in gender relations and generational relation have shown to co-exist with the fast stream of democratization. However, negative perspective toward family-related identities still exists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generational difference. Through such result,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m of family does not affect the awareness of the family members.

      • KCI등재

        계급과 젠더의 교차를 통해 본 여가의 의미

        최유정(Choi, Yu-Jung),신아름(Shin, A-Reum),최샛별(Choi, Set-Byol)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여가에서 드러나는 계급적 특성과 차이를 파악하되,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해 행위자의 인식체계에 접근함으로써 그러한 차이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상, 중, 하로 분류된 각 계급별로 총 36명의 여성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외현적인 여가 행위의 상이함 이외에도 여가에 부여하는 목표나 의미, 구체적인 방식 등에서 계급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먼저 상층은 경제적, 시간적 여유를 바탕으로 자기 계발에나 문화 자본 향유와 연계된 개인적인 여가를 누리는 유일한 집단이며, 자녀 및 가족과의 여가에서는 주로 자신이 가진 문화 자본, 특히 영어 실력이나 문화예술적 소양을 자연스럽게 자녀에게 전수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지향하는 면모를 보인다. 반면 중층은 대개 자녀나 가족의 요구에 맞추는 공동체적인 여가관을 내면화한 가운데,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이나 가족 단위의 여가 시간 모두를 자녀 교육이라는 목표 하에 수단화하는 경향에 뚜렷하다. 특히 자녀의 학업이나 성적에 방점을 두고 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이나 ‘주입’을 통해 자녀가 영어 능력이나 문화 예술적 소양 같은 문화 자본을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 또한 중층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경제 자본이 더욱 부족한 하층의 경우 미래의 직업활동을 위한 준비나 자녀 및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에 한해서만 부분적으로 여성의 여가가 인정된다. 이들은 타계급에 비해 전반적인 교육과정을 중시한다거나, 자녀가 영어 실력이나 문화 예술적 소양을 쌓는 것보다는 다양한 경험을 하는 그 자체를 강조하면서 ‘엄마가 직접 가르치는 것’, ‘부모가 함께 하는 활동’ 등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차별성을 보인다.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lass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focusing on full-time housewives who hav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is research will utiliz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pproach the performer’s cognitive system and specifically examine the meaning of these differences.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of 36 women classified into high, middle, lower classes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objectives or meanings of leisure, specific methods, etc. according to their class. First of all, the high class was the only group that enjoys leisure through self-development or persona1 leisure related to cultural capital based on economic means and time to spare. Also, when spending leisure time with children and family, they pursue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naturally pass down their own cultural capital, especially English skills or cultural arts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middle class usually internalize a communal leisure based On the needs of their children and family. They have a strong tendency to take the time they spend with their children or all of their family leisure time to make it a means, under the objective of educating their children. Especially, i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middle class to support the children,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obtain English skills or cultural knowledge by putting emphasis on the children’s education or grades through “direct-education” or “implantation.” For the lower class, who have insufficient economic capital, only job preparation for the future or time spent with children and family were limited to being partially acknowledged as women’s leisure. Unlike the other classes, the lower class does not emphasize their children’s English skills or cultivating cultural arts knowledge, but emphasize the overall education process and the various experiences itself by giving meaning to “mom teaching first-handedly” and “activities done together with parents.”

      • KCI등재

        선호하는 친구의 자질에 대한 동아시아 국가 간 비교연구

        김수정(Su Jung Kim),최샛별(Set Byol Choi)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0 No.2

        본 연구는 아시아 국가들 내에 존재하는 역사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서구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문화자본 논의에서 이들 국가들이 단순히 서구 사회와 구분되는 하나의 단일 문화권으로 간주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 같은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아시아 국가들 내에 존재하는 문화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2008년 ‘동아시아 사회조사(East Asian Social Survey, EASS)’ 자료를 활용하여, 이 중 ‘선호하는 친구의 자질’에 관한 문항에 대해 빈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그리고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 결과 한중일 3국은 공통적으로 친구의 도덕적 자질에 대해 중요하게 평가하였으나, 문화적 자질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국가 변수는 선호하는 친구의 자질에 해당하는 8개 항목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한중일 3국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응일치분석 결과 한중일 3국은 유교적 특성과 관계된 충의와 공통적으로 가깝게 대응되는 한편, 한국은 지성과 교양, 중국은 부와 권력, 일본은 정직과 책임, 온정 등의 항목과 가깝게 대응되어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문화자본 연구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았던 ‘친구의 자질’에 관한 연구를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진행하였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서구국가와 대별되는 아시아국가가 아닌 아시아 국가들 내에 존재하는 차이에 주목 그 실체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case study explores the intersection of Hallyu and Han in globalizing South Korea by analyzing celebrities’ narratives on a national talk show, Strong Heart, aired from October 6, 2009 through February 12, 2013. Most specifically, it focuses on stories shared by the so-called K-pop idols who have taken the Korean Wave phenomenon beyond Asian borders since the 2000s. As evidenced in this empirical analysis of the 11 personal, often melodramatic, stories, the long-held sentiment of Han is embedded in their narratives about success, stardom, family tragedies, filial piety, and even romance. What is interesting about this phenomenon is that the personal lamentations brought about collective catharsis on a national level. This paper proves that Han is an experiential reality to contemporary Koreans, which is revisited and relived through the collective memory and national identity in present day Korea in the wake of the Korean Wave phenomenon. Furthermore, the celebrities’ Han stories were shared by online global fan communities simultaneously. The local discourse, thus, becomes globalized and refutes the local versus global dichotomy.

      • KCI등재

        예술가의 정체성 갈등과 대응전략

        정필주(Pil Joo Jung),최샛별(Set Byol Choi)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08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9 No.-

        본 논문은 개인이 경험하는 정체성갈등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위한 모델 정립을 목적으로 사회학자 어빙 고프만의 낙인과정에 대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재구성 한다. 특히 작업이라는 개체에 자신을 전사하는 예술가들의 경우에 주목하여 창조자와 관람자라는 이중적 시각을 가진 이들이 작품창작과정에서 타자의 시선으로 자신의 작업을 읽어내는 과정을 개념화한다. 이것은 개인 vs 사회라는 개인의 정체성 갈등을 바라보는 기존의 틀이 갖는 인지적 불평등에서 벗어나 상호 동등한 수준에서의 미분화된 가상적 정체성 간의 갈등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 상에서 예술가들은 작품제작과정에서 끊임없이 작업에 대한 해석행위를 수행하며 그 과정은 적극적인 선택 의 과정임을 강조하였다. 이 선택의 과정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외부의 평가에 저항해 낼 수 있는 기제를 담보해준다. 마지막으로 이 모델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국의 예술가의 사례를 분석하고 예술가의 경계를 넘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정체성갈등모델의 중요성과 그 방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how artists construct their own identity by showing that, in the process of artwork-creation, they experience identity conflicts and tend to resist outsiders` evaluation on their identity. A new concept of “differentiated virtual identity” will be introduced, which is a revised version of the “virtual identity” originally proposed by Goffman. Unlike Goffman, this paper assumes that the stigmatization process occurs actively by social actors and it is found in everyday life. In doing so, the meanings of ``reading`` and ``resisting`` are redefined. When artists read their work from “others``” eyes in their artwork-creation, they actively stigmatize themselves rather than passively adopt an identity. By taking this approach, the possibility that a person can actively resist is sec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