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성능 향상을 위한 NAND 메모리 적용 시스템 설계 및 성능평가

        최병윤 아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물리적으로 동작하는 하드 디스크 저장 장치의 성능상의 한계점을 뛰어넘기 위해 시스템 칩셋과 하드 디스크의 사이에 보조 저장 장치로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캐시와 같은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최대 절전 모드 후 재부팅 시간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시간을 줄였음을 확인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Serial ATA 인터페이스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Intel SD74S 512MB NAND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제어하는 Intel Diamond Lake ASIC으로 Half 미니 카드 형태의 기판에 회로를 구성하여 컴퓨터 시스템과 PCI Express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모듈을 제작하여 이를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했다. 제작한 모듈을 적용하여 가장 최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접속한 데이터나 찾을 확률이 높은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NAND 메모리에 저장하여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시간을 단축시키고 최대 절전 모드에 진입시 부팅에 필요한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는 대신 NAND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부팅할 때 메인 메모리로 불러오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결국 부팅에 걸리는 총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었다. 측정한 결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속도는 45% 수준으로 빨라지고, 최대 절전 모드 진입 후 재부팅에 걸리는 시간은 90% 수준으로 빨라졌음을 확인하였다.

      • 유니티를 활용한 토공현장 충돌위험구역 식별 방법론

        최병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hat identifies the unsafe behaviors at the level of near-misses using image analysis. The method establishes potential collision hazardous area in earthmoving operation. It is implemented using a game engine to reproduce the dangerous events that have been accepted as major difficulty in utilizing computer vision technology to suppo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The method keeps realistically track of the ever-changing hazardous area by reflecting the volatile field conditions. The method opens a way to distinguish unsafe conditions and unsafe behavior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and reflects the causal relationship which causes an accident. The case study demonstrate how to identify the unsafe behavior of a worker exposed to an unsafe area created by dump trucks at the level of near-misses and to determine the hazardous areas.

      • Study on the regulation of Lcn2 by estrogen-related receptors

        최병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Lipocalin 2 (Lcn2) is a protein expressed in stress conditions such as infection and inflammation. Lcn2 is a innate immune response that limits the growth of bacteria by binding and sequestering the siderophore of bacteria stealing iron of host cells. In the liver, Lcn2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acute liver injury. Estrogen related receptors (ERRs), one of the orphan nuclear receptors, regulate the expression of specific genes involved in endocrine and metabolic processes. Here I show that ERRα and ERRγ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Lcn2. I performed transient transfection assay in AML12 cells and found that ERRα and ERRγ up-regulate Lcn2 promoter activity. In addition, Lcn2 expression depends on the co-regulator of ERRα and ERRγ including the co-activator PGC-1 gene and co-repressor SMILE gene. To investigate a specific ERR binding site in the Lcn2 promoter, I constructed the deletion form of the Lcn2 promoter and found that the binding site would be after –1642bp. To measure expression and secretion levels of Lcn2 protein, I performed western blot assay and ELISA, and demonstrated that the Lcn2 protein transfected with ERRα and ERRγ were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RRα and ERRγ are a novel transcriptional regulators of Lcn2 gene expression. Lipocain2 (Lcn2)는 감염과 염증 같은 스트레스 조건에서 발현하는 단백질이다. Lcn2는 숙주세포의 철을 가져가는 박테리아의 siderophore에 결합하여 격리함으로써 박테리아의 성장을 제한하는 선천성 면역 반응을 한다. 또한, 간에서의 Lcn2는 급성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다. Estrogen related receptor (ERR)들은 고아 핵 수용체 중 하나이며, 내분비와 대사 과정의 관련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ERRα, ERRγ가 Lcn2 조절에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는 AML12 cell에서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통해 ERRα, ERRγ가 Lcn2 promoter 활성을 상향조절 하는 것을 확인했고 추가적으로, ERR의 co-activator PGC-1 유전자와 co-repressor SMILE 유전자를 통해 Lcn2 발현이 ERR의 co-regulator에 의한 의존적 발현을 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Lcn2 promoter 부분에서 ERR들이 결합하는 특정 부위를 찾기 위해 Lcn2 promoter의 결손 형태를 만들었고 결합 부위가 –1642bp 이후에 있는 것으로 알아냈다. Western blot assay와 ELISA를 이용하여 측정 된 Lcn2 단백질의 발현과 분비 수치는 ERRα, ERRγ를 형질 감염 시킨 Lcn2 단백질이 대조군의 Lcn2 단백질 보다 2배 이상 높게 보였다. 그러므로 우리의 연구는 ERRα, ERRγ가 Lcn2 유전자 발현의 새로운 전사 조절 인자임을 제안한다.

      • 韓國 官僚腐敗의 防止方案에 관한 硏究

        최병윤 漢陽大學校 行政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의 官僚腐敗 問題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公職社會에 漫然되어 온 痼疾的․構造的 問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不正腐敗 現象은 이제 단순한 公職社會 일각의 病弊가 아니라 社會全般에 廣範圍하게 퍼져있어 國家發展에 가장 큰 障碍이며 國論分裂의 根源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그 重要性이 한층 더해지고 있다. 이는 곧 우리가 直面하고 있는 總體的인 經濟危機를 克服함에 있어서 가장 優先的으로 해야 할 일이 官僚腐敗 剔抉인 것을 意味하기도 한다. 어느 國家에서나 腐敗가 없는 나라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부패에 대한 國民一般의 認識과 官僚들의 態度가 어떤가에 따라 그 나라 腐敗의 정도가 決定지워질 것이며, 그 정도의 深刻性에 따라 國家의 흥망성쇄가 달려 있다. 行政의 民主化는 政治의 民主化가 先行되지 않고서는 이룰 수 없을 것이다. 즉 깨끗한 政治의 實行이 곧 行政腐敗를 막을 수 있는 先行條件이라는 意味이다. 따라서 官僚腐敗 防止를 위한 改善方案에 대한 論議는 이와 같은 問題意識에 立脚해서 硏究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日帝侵略期와 美軍政時代를 거치면서 官尊民卑의 思想과 金錢萬能主義, 한탕주의, 拜金主義 등이 澎湃하여 官僚들의 不正腐敗가 慣行처럼 이루어져 왔으며, 政府樹立이후에도 軍事政權이 계속되어 오면서 正統性없는 政權의 維持手段으로 高位官僚들의 不正腐敗가 계속 恣行되어 왔다. 그렇다고 각 政權마다 腐敗防止對策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庶政刷新運動, 社會淨化運動, 새秩序․새生活 運動, 新韓國 創造運動 등과 같은 腐敗剔抉 政策을 政權이 바뀔때마다 樹立․施行하였으나 腐敗를 완전히 除去하는 成果를 올리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政策目標를 成功的으로 이룰수 없었던 理由는 무엇인가? 그 理由가 바로 우리나라 腐敗剔抉 政策의 問題點인 것이다. 즉 政權의 正統性 缺如에서 오는 最高權力者의 意志不足, 政治民主化를 통한 政治 및 行政의 透明性 缺如, 體系的․構造的인 法令 및 制度마련 未洽, 監査機關의 獨立性 缺如, 社會全般에 펼쳐있는 官尊民卑․金錢萬能主義 思想 등이 腐敗剔抉 運動의 成功的 遂行에 障碍를 주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問題要因들을 克服하고 한국에서의 不正腐敗 剔抉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改善方案이 確立되어야 하겠다. 첫째, 法的․制度的 側面에서 綜合的이고 體系的인 法規 마련, 公職者 財産登錄 範圍 擴大 및 公開․實査制度의 確立, 公開行政體制 構築, 行政節次의 簡素化 및 規制의 緩和, 公務員團體의 認定, 職業公務員制 確立 등이 잘 具備되어야 하겠다. 둘째, 腐敗防止對策 推進機構의 側面에서 보면, 司正機關의 體系的인 整備 및 獨立性 確保, 最高權力者의 政治的 利用 자제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事後處罰式 司正에서 事前豫防式 司正으로의 轉換을 追求하여 보다 强力하고 폭넓은 監察은 물론 不正腐敗를 사전에 防止하는 시스템을 構築하여야겠다. 셋째, 環境的 側面에서의 改善方案을 살펴보면, 무엇보다도 最高權力者의 確固한 改革意志가 선행되어야 하며, 一般國民의 倫理意識 確立, 行政文化의 刷新, 內部 및 外部統制 철저, 公職者 敎育訓練 및 弘報活動 强化 등이 具備되어야 外部環境에 의한 부패정책의 失敗는 없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세가지 측면 말고도 여러 가지 改善方案이 있을 수 있겠으나 代表的인 方案이라고 생각하고 向後 政策樹立 및 制度마련에 積極 反影하여 우리사회의 모든 腐敗가 빠른 시일내에 除去되도록 努力해야 겠으며, 誠實하고 正直한 사람들이 잘 살수 있는 正義社會를 만들어야 되겠다.

      • 국어사전 편찬에 대한 고찰

        최병윤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국어 사전 편찬의 사적 흐름과 편찬방식의 비교 검토를 통해 기존 사전들의 미비점과 문제점을 살핌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더 나은 국어 사전 편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확장형 일반 한국어 대사전을 주 고찰 대상으로 하였으나 국어 사전 편찬의 역사적 흐름을 살피기 위해서는 본격적인 국어 사전 이전의 준비 단계에 해당하는 조선 중기 이후의 여러 어휘자료집과 개화기 무렵의 대역 사전들 그리고 국어 사전 편찬에 대한 각계의 노력과 관심도 사적 고찰 대상에 포함시켰다. II장에서는 국어 사전 편찬의 역사를 제 1기부터 3기까지의 세 단계로 나누어 보았다. (1) 제 1기 - 조선 중기 이후 많이 쏟아져 나온 어휘자료집들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국어 사전은 아니나, 사전으로서의 초기 형태를 보인 것으로 중요한 국어사의 자료를 보여준다. 뒤이어 19C 말부터 20여 년간 중점적으로 간행되었던 대역 사전 역시 순수 단일어 국어 사전은 아니나 국어 사전 편찬에 대한 각성을 깨우쳤다는 점에서 이 시기는 국어 사전의 태동기라 부를 만하다. (2) 제 2기 - 이 시기는 본격적인 국어 사전이 집필되기 시작한 시기로, <조선광문회>의 「말모이」(1911∼미완성) 엮기 사업과 <계명구락부>의 「朝鮮語辭典」편찬 과정을 거쳐, 문세영에 의해 최초로 완간된 「朝鮮語辭典」(1938), 이윤재의 「표준조선말사전」(1947) 등이 나옴으로써, 국어 사전 편찬에 있어 기초를 세운 시기라고 할 수 있다. (3) 제 3기 - 한글학회의 「큰사전」(1947∼1957)이 간행됨으로써 국어 사전 편찬 역사는 하나의 큰 획을 긋게 된다. 「큰사전」의 크고 작은 영향 속에서 이후 많은 대사전과 중소 사전들이 왕성하게 간행되는데, 그중 일반인에게 가장 애용되었던 사전들이 이희승편 「국어대사전」과 신기철·신용철 편 「새 우리말 큰사전」(1974), 「금성판 국어대사전」(1991)등이다. 많은 사전들이 새로운 기획을 띄고 그 이전의 사전들에 비해 미비점이 보완되어 간행되었으나 「큰사전」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 사전들도 상당하다. 가장 최근에 발간된 사전으로 연세대 언어 정보 개발 연구원이 주관이 된 「연세한국어사전」(1998)이 기존 사전들과 편찬 방식 등에서 많이 달라졌으며, 현재 국립국어연구원과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에서 이전의 사전 분석 결과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수정한 대사전 간행 사업이 대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II장이 사전 편찬의 역사를 다루었다면 III장에서는 기존 국어사전의 편찬 방식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문제점을 발견하고 간략하나마 편찬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국어사전의 편찬 방식을 살피는 데는 여러 가지가 다루어질 수 있겠으나, 본고에서는 표제어 선정, 표제어 배열, 뜻풀이, 표기와 발음정보, 문법 정보의 표시와 범위 문제에 국한해서 고찰하였다. 우선 표제어 선정에 있어 그동안의 사전들이 공통적으로 드러낸 가장 큰 문제점은 지나치게 표제어 수의 증가에 신경을 쓴 나머지 정작 들어가야 할 내용 대신에, 빠져도 될 고유명사나 전혀 실생활에서 쓰이지도 않고 문헌에도 등장하지 않는 한자어나 외래어 등의 표제어가 자리를 메우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표제어 배열에 있어서는 ① 하나의 표제항으로 올라 있는 낱말의 미시구조의 배열문제, ② 같은 자모로 표기되는 말의 배열순서, ③ 복합어, 속담 등을 표제어로 선정해서 배열할 것인가, 부표제어로 수록할 것인가의 문제, ④ '-하다', '-되다' 따위가 붙어 파생된 말을 어떻게 배열할 것인가의 문제, ⑤ 하나의 표제항에 속한 여러 개의 뜻풀이의 순서는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 등을 사전별로 검토하였다. 뜻풀이에 나타난 기존 사전들의 전반적인 문제점은 순환적 정의가 많다는 것, 뜻풀이가 표제어보다 더 어렵거나 신뢰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것, 하나의 표제어가 여러 가지 뜻을 갖는 경우 풀이의 배열 순서에 대한 원칙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 낱말들의 뜻풀이가 사전마다 거의 똑같은 것이 많다는 것 등을 예를 들어가며 살펴보았다. 표기와 발음은 대체로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 표준 발음법에 따라 일치하고 있으나 표기의 경우 외래어 표기 등에 있어서 약간의 불일치를 보인다는 점(중소사전의 경우는 상당히 차이가 있음)과 발음 표시의 기준이 모호하고 충분하지 못하여 사전별로 약간의 차이를 드러내며 충분한 정보를 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음을 보았다. 문법 정보의 표시와 범위 문제는 그동안 다른 면에 비해 가장 취약한 언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품사 표시나 하위 품사 표시와 같은 형태론적 측면에서의 정보만 표시할 뿐, 통사적 특징에 대한 문법적 정보는 거의 다뤄지지 않고 있다. 그외 주요하게 논의되고 검토되어야 할 것들로 용례, 어원 정보, 관용 표현, 북한어의 수록 등이 있다. 우리 국어 사전이 위에서 살핀 것처럼 아직 많은 미비점을 안고 있긴 하지만 실제로는 완벽한 사전 편찬을 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어찌보면 짧은 사전 편찬의 역사 속에서 이 정도의 사전들을 가지고 있는 것만도 뿌듯하고 자랑스러운 일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세계적으로 이름난 사전들에 비해 부족하고 미비한 점을 채워 넣기 위해서는 사전 편찬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 많이 증대되고 지속적으로 계속되어야 한다. 국어 사전이 민족의 정체성을 확해 주는 구체적 산물이며, 그 나라의 문화적 역량의 상징적 표상임을 생각할 때, 사전 편찬이 지닌 중대한 문하 사업의 의의를 절감하고 과감한 예산 편성, 전문 인력의 확보, 제도적·행정적 지원 등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is projected with the purpose of indicating the better way for the lexicography by examining into the problems and defects that are pointed out from the former dictionaries through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n current and the lexicogrphical way of Korean dictionaries. For this work, we had focused on the universal Korean enlarge-sized dictionaries. But this paper included several vocabulary materials after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which was the preparatory period of real Korean dictionary, the bilingual dictionaries made in the age of reformation, and the efforts and concerns for the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ies to examine the historical current of Korean dictionaries. In chapter II, I divided it into three stages to investigate of historical current of lexicography in Korea. (1) the first stage -- Vocabulary materials that had poured out after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were not the Korean dictionary in a strict sense, but these were the important materials of Korean history for appearing the first figure as real dictionary. The bilingual dictionaries that had published 20 years later from the end of 19 century were, neither the pure single-language Korean dictionary. However, this period is worthy of being called the quickening stage of the awakening of Korean lexicography. (2) the second stage -- This is the period of the real Korean dictionary was to be written, Passing through 「word gathering」 (1911-unfinished) by <Chosunkwangmoonhaie> and 「Korean Dictionary」 fully published by Moon Se-young, 「Standard Korean Dictionary」 (1947) were issued, thus it was the period of establishing the basis in Korean lexicography. (3) the third stage -- As 「Grand Dictionary」 (1947-1957) of <Hangul society> was printed, the history of Korean lexicography made a big stroke. Under the influences of 「Grand Dictionary」, many kinds of dictionaries prosperously were published. Among them, Lee Hee-seung's 「Korea grand Dictionary」, Shin Ki-chol and Shin Yong-chol's 「New mother language dictionary」 (1974), 「Keumseong Korean dictionary」 (1991), etc, were popularly used. 「Yonsei Korean Dictionary」 (1998) that is the latest published by the Center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Development in Yonsei Private University is achieved a little improvement in the lexicographical ways in comparison with former ones. And now, in <National Korean Research Institute> and <Korea Private University Folks and Culture Research>, the grand lexicography project which complements and improves the lacking point is performing through the investigation about existing dictionaries. While chapter II deals with the current of lexicography historically, I indicated the direction of lexicography briefly, discovering and examining the problems out of former dictionaries' lexicographocal ways in chapter III. And I considered only the selection, the arrangement, the definition of headword, in addition to the orthography and pronunciation of headword, the tagging of grammar information and its range. At first, the existing dictionaries on the selection of headword had too many useless things like proper nouns that could be omitted and Chinese or loanwords which were not used in life or documents at all instead of other needed words. On the headword arrangement, I examined f aspects: ① the microscopic structure arrangement of words ② the arrangement of same alphabet words ③ the arrangement of the complex words and proverbs selecting as headwords or sub-headword ④ the derivative words like'-to do', '-to be done' ⑤ the arrangement order of potysemy words The existing dictionaries on the definition of headword had many circular definitions, the tack of arrangement rules on polysemy words, the same definitions about a headword in each dictionary. Even if the orthography and pronunciation generally agree with the rule of Korean orthography and the provision of the standard Korean, I found problems that there exist some disagreement on the orthography. (Considerable differences in case of middle and small sized dictionaries were noted). The tagging of grammar information and its range looked like the most weak linguistic information compared with the other aspects. They were tagged only morphologic information of words such as word class or sub-word class and dealt without grammatical information about general features in syntax. In addition, there are still remained to be discussed : usages, the information of word's origin, references, and the vocabularies which are used in North Korea. Although our Korean dictionaries have several weak points from now on, as I examined above, it is impossible to be the perfect dictionaries. It is worthy that we have established the history of lexicography in short time. More concerns and researches for the lexicography ta fill up the lacking and defection parts against the worldwide renowned dictionaries are needed centinually. Considering Korean dictionary is the concrete product which confirms the national originality, the representative symbol of the cultural ability, we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xicography. In conclusion, much budget capable of the lexicography and the collection of professional agents,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are needs for us.

      • 아파트 화재사례를 통한 피난안전성 분석 연구

        최병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동주택 중 아파트의 거주하는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아파트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재난에 대한 거주자의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아파트의 경우 화재발생시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피난에 대한 문제점 또한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서울특별시에서 화재건수가 많은 상위 6개 자치구를 한정하여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피난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파트 세대 내 각 공간에서 발생하는 주요 화재원인과 화재 발생 장소에 따른 각 세대 내 공간별 피난 동선과 피난안전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피난안전성 향상을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다. 첫째, 주방 및 식당, 발코니, 침실, 거실 공간 등의 순으로 많은 화재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재 원인으로는 주방 및 식당 공간의 경우 가스레인지, 발코니 공간, 침실 공간, 거실 공간의 경우 전기제품에 의한 화재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명피해가 발생한 화재는 주방 및 식당, 침실, 거실 공간 등의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으며, 화재건수에 비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공간은 침실, 거실, 주방 및 식당 공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피해가 많은 화재원인으로는 전기제품, 가스레인지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거실 공간의 경우 현관과 인접하면 모든 공간에서 피난안전성이 다소 낮아지므로 현관과 거실 공간은 인접하지 않도록 계획하고, 주방 및 식당 공간의 경우 또한 현관과 인접하면 모든 공간에서 피난안전성이 낮아지므로 세대 가장 안쪽으로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침실 공간의 경우 각 공간이 독립되어 있어 현관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다른 공간 피난안전성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주방 및 식당 공간의 경우 세대 가장 안쪽으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건축계획 원리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원활한 피난 동선 확보를 위해 동선 상의 방해 요소가 없는 홀(Hall) 개념의 주 동선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발코니 대피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모든 공간 내에서 전기제품과 주방 및 식당 공간의 가스레인지 위치를 문 또는 현관으로의 주 동선에서 멀리하여 최대한 거리를 두는 것이 피난가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households residing in apartments amongst apartment houses, so it is necessary to secure residents' safety about various disasters that can occur in apartments. However, in case of apartments, outbreak of fire accidents causes the most serious human injury and there are also problems about evacu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ill be to deduce measures that can heighten evacuation safet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fire cases that happened in the apartments of 6 autonomous districts with the highest number of fire cases in Seoul City, which is the area with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Based on the main causes of fire in each space of the apartment households and the evacuation routes and evacuation safety analytical results for each household followed by the place of the fire, the following measures were designed to improve evacuation safety. First, the highest number of fire accidents happened by the order of the kitchen and dining space, balcony, bedroom, and living room and for the cause of many fire cases, it was the gas stove in kitchen and dining space and the electric appliances in balcony space, bedroom space, and living room space. Second, fire cases with human injury occurred the most by the order of the kitchen, dining space, bedroom, and living room and the space with serious human injury compared to the number of fire cases was by the order of the bedroom, living room, kitchen, and dining space. Moreover, the causes of the fire with serious human injury were identified as electronic appliances followed by gas stove. Third, in case of the living room space, evacuation safety is rather low from all spaces if it is near the entrance door so plan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entrance door is not near the living room space. In case of the kitchen and dining space, evacuation safety becomes low from all spaces if it is near the entrance door so it should be positioned in the innermost area of the households. Regarding the bedroom space, analysis findings showed that it does not affect the evacuation safety of other spaces even if it is positioned near the entrance door since each bedroom space is independent. Fourth, it is appropriate to design the kitchen and dining space in the innermost area of the households, but it is not fitting to the architecture planning principl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cure a main hall route without any obstructive factor in the route as well as a balcony space. Furthermore, all electronic appliances in all the spaces and the gas stove of the dining space should be distant from the door or main routes that lead to the entrance door as it is anticipated that keeping distance as much as possible will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possibility of evacuation.

      • 트라이애슬론 대회 참여자 특성에 따른 참여만족도 및 재참여의사

        최병윤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트라이애슬론 대회 참여자 특성에 따른 참여만족도 및 재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표집은 20세 이상의 성인남녀로 트라이애슬론 대회 참여자 중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180부를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분석기법은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트라이애슬론 대회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남성위주로 대회를 참가하고 있으며, 30대~40대에서 대부분 참여하고 있다. 학력은 대학졸업한 사람들 위주로 참여하고 있고, 참여자의 대체적으로 전문직이나 사무직에 종사하고 있고 다양한 계층에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대부분이 30대 이상의 연령이고, 상당부분 기혼자들이었다. 둘째, 트라이애슬론 대회 참여자의 참여특성은 대부분 올림픽코스에 출전하였고, 4년 미만의 운동경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자자들 보통 주 3~4회 운동을 하며, 운동시간은 대체적으로 1~4시간 정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년에 대회 참가빈도는 3~6회 정도이다. 대회정보는 인터넷과 동호회에서 획득하며, 참여자들은 자신의 건강과 체력증진 및 기록갱신을 위해 대회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대부분 동호회 회원들과 같이 대회에 참가하고 동호회에 가입되어있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의 참여만족 유형별 비교를 해보면 대회자체만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회운영체제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참여특성별 만족도와 재참여의사에서의 차이는 출전분야, 운동참여빈도, 대회참가빈도에서 만족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재참여의사와 참여만족도 각 요인들은 상호간에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각 요인이 재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대회자체만족이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크고, 다음은 대회진행만족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affect triathlon tournament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This research set up 180 replies as valid data, and the data was obtained by simple random sampling among the participants who were over 20 years old.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features of participants are as follows; most participants are male, who are in their 30s to 40s. Many participants have academic background of college graduation, and their occupations varied although lots of them were professionals or office worker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over 30 and married. Second, most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Olympic course before and had workout history of less than 4 years. They usually work out for 3 to 4 times per week, and it takes 1 to 4 hours each time. They participate in triathlon around 3 to 6 times per year. They acquire relevant information from internet or offline association, and the reason why they participate in the tournament is enhancement of physical strength and renewal of personal record. Many of them are the members of an association and they participate in the tournament with other members of the association. Nex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satisfaction level upon factors, the participant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triathlon tournament itself while being least satisfi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ournament. Moreover, th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level of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upon the event in which they participate, workout frequency and tournament participation frequency. Last, the factors of re-participation intention and satisfaction are prov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e satisfaction to the tournament itself relatively affected the most to athlete’s re-participation intention, and it was followed by satisfaction to tournament operation.

      • 미세조류로부터 지질의 추출과 전처리 에스테르화 반응

        최병윤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석 연료 고갈과 쿄토 의정서에 의해 생산 보급이 활성화된 바이오디젤은 보급량을 충족시키기 위한 여러 종류의 원료 확보에 초점을 이루고 있고, 그 중 3세대 바이오매스인 미세조류는 바이오디젤의 원료로서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하지만 미세조류 내에 함유되어있는 모든 양의 중성 지질을 추출하기 어렵고 추출된 지질 내에는 총 지질 종류인 phospholipid, aminolipid, 유리지방산, lipoprotein, cholesterol 등과 엽록소, Carotene 등의 반응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바이오디젤 전환반응에서 원료유로 직접 사용될 수 없으며, 반응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량의 지질을 추출하고 반응불순물의 추출을 방지하기위해 추출과정 이전에 microwave를 통한 전처리를 추가하였다. 전처리 조건으로 chlorella vulgaris를 사용하여 미세조류와 물의 혼합비, microwave 조사시간, 분쇄크기를 조사하였다. 비극성 용매인 석유에테르를 사용하여 전처리된 chlorella vulgaris로 부터 추출된 지질은 미처리 보다 4배 이상 높은 4.3 %의 수율이었고 반응저해 물질인 엽록소, phosphorus, 수분 등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용매에 따른 추출수율을 비교하여 적절한 추출용매를 조사하였다. chlorella vulgais로부터 추출된 지질은 산가가 80 ~ 85로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고 엽록소와 phosphorus을 다량 함유하였으며 점성이 높아 전이에스테르화에서 낮은 전환율을 갖게한다. 그러한 이유로 원료의 물성을 개선시키는 에스테르화가 추가되며 그에 대한 반응조건인 용매와 산촉매의 종류, 반응온도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 특성을 확인하였고, 불순물인 엽록소와 유리지방산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해 확인된 추출전처리와 에스테르화 조건을 토대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개발된 미세조류 chlorella sp. KR-1에 적용해본 결과, 추출전처리가 진행되지 않은 chlorella sp. KR-1와 비교하여 추출수율의 증가와 반응저해물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에스테르화에서는 비교적 깨끗한 생성물을 얻었고 99.87 %이상의 엽록소를 제거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