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속분말 사출성형 제품의 공정능력분석에 관한 연구

        최병기,이동길,최병희,Choi, Byung-Ky,Lee, Dong-Gil,Choi, Byung-Hui 한국생산제조학회 2010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25 No.3

        Metal Injection Molding (MIM) is attractive because it produces consistent, complex-geometry components for high-volume, high-strength, and high-performance applications. Also MIM using in optical communication field, display field, and semi-conductor field is a cost-effective alternative to metal machining or investment casting parts. It offers tremendous single-step parts consolidation potential and design flexibilit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uitability of design, flow analysis, debinding and sinterin processes, and capability analysis. The suitable injection conditions were 0.5~1.5 second filling time, 11.0~12.5 MPa injection pressure derived from flow analysis. The gravity of the product is measured after debinding an sintering. The maximum and minimum gravity levels are 7.5939 and 7.5097.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re 7.5579 and 0.0122; when converted into density, the figure stands at 98.154%. According to an analysis of overall capacity, PPM total, which refers to defect per million opportunities(DPMO), stands at 166,066.3 Z.Bench-the sum of defect rates exceeding the actual lowest and highest limits-is 0.97, which translates into the good quality rate of around 88.4% and the sigma level of 2.47.

      •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기주식물 다양성 및 부착특성

        최병기 ( Byoung-ki Choi ),양주은 ( Ju-eun Yang ),박민지 ( Min-ji Park ),이채빈 ( Chae-bin Lee ),서연옥 ( Yeon-ok Seo ),임은영 ( Eun-young Yim ),최형순 ( Hyung-so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겨우살이(Mistletoe)는 교목이나 관목의 가지에 기생하는 단항목에 속하는 현화식물로 우리나라는 단향과의 겨우살이 (Viscum album L. var. coloratum (Kom.) Ohwi), 붉은겨우살이(Viscum album for. rubroauranticum (Makino) Ohwi),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 등 3분류군과 꼬리겨우살이과의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anch. & Sav.)와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등 2분류군을 합하여 2과 4속 5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Kim et al., 2013). 겨우살이는 항암, 항염증, 항HIV 및 면역조절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Mengoni et al., 2002; Ovesnaet al., 2004; Safayhi and Sailer, 1997; Weissenstein et al.,2011). 이 중 참나무겨우살이는 난대·아열대성 상록의 부착식물로 국내에서는 제주도 지역이 유일한 자생지로 알려져 있다(KBIS 2021). 동백나무를 포함해 상록성 수종에 부착하여 기생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수종에까지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Choi et al. 2009, e-Flora 2020, Fukunaga et al. 1989, Lee et al. 2013). 참나무겨우살이는 기주식물의 다양성에 따라 성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성분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삼나무, 녹나무, 참식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수종 간 성분비교에서 참식나무에 기주한 참나무겨우살이가 가지 및 잎 추출물에서 항염증 및 항암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Park et al., 2018a; Park et al.,2018b). 그러나 최근 자생지에서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종 이외의 다양한 기주식물에서 기생현상이 확인되어 참나무겨우살이의 한국 내 기주식물 다양성 및 기생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기주식물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및 난대·아열대산림의 지속적인 관리에 있어 기초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대상지는 제주도 전역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생물자원관,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등의 공공기관 표본수집 정보를 기반으로 하였다. 현장조사는 참나무겨우살이의 분포 위치정보와 함께 기주식물의 수종, 수고, 부착부위(3단계), 부착가지구분(3단계) 등을 면밀히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참나무겨우살이의 기주식물 다양성은 23속 30종 1변종 3품종 등 39분류군(동정보류 5분류군 포함)으로 확인되었다. 참나무겨우살이 분포가 확인된 지역은 서귀포지역 저지대(해발 200m이하)에 제한되어 있었으며, 347그루에서 참나무겨우살이 기생을 확인하였다. 기주식물 중 자생종이 18분류군으로 전체의 52.9%를 차지하였으며, 외래종도 9분류군, 재배종 12분류군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교목 및 아교목성이 82.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보리수나무, 까마귀쪽나무 5079>등의 관목성인 종에도 기생하였다. 나자식물은 삼나무와 은행나무 2분류군의 5.9%였으며, 상록 활엽수는 참식나무,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등 16분류군의 47.1%, 팽나무, 목련, 감나무 등 하록활엽수도 16분류군의 47.10%를 차지하였다. 부착특성은 수형 중 상부 89개체, 중부 255개체, 하부 20개체였으며, 가지부착은 주 줄기 46개체, 부 가지 225개체, 잔가지 104개체가 확인되었다. 특정 수종의 경우 참나무겨우살이 부착에 있어 배타성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솔레노이드 소음 및 진동 저감 제어 알고리즘 연구

        최병기(Byeong Gi Choi),김준성(Jung Seong Kim),송준용(Jun Yong Song),이경환(Kyung Hoa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5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5 No.11

        본 연구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기어엑츄에이터용 솔레노이드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수동 변속기 메커니즘에 기반을 두고 클러치를 이용하여 빠른 변속이 가능한 수동변속기의 효율성과 자동변속기의 편리성을 모두 갖춘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는 PUSH, PULL 동작을 통해 작동력을 발생하고 이를 통해 변속 시 컨트롤 핑거의 수직 위치를 변화 시킨다. 기어에츄에이터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는 상대적으로 긴 구동 변위와 빠른 응답속도를 만족하기 위해 고속으로 작동되는 과정에서 기구적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크다. 이 때 발생하는 소음이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불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음을 개선하기 위하여 AMESim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솔레노이드 구동 시 소음 및 진동을 비교 분석하고, 제어기에서 솔레노이드의 위치 정보를 솔레노이드 내부의 위치 Sensor를 통해 수신 후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제어 알고리즘을 검토하여 현재 솔레노이드의 기구적 문제를 제어로 개선 하고자한다.

      • KCI등재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림의 식물생태학적 가치 제고

        최병기 ( Byoung Ki Choi ),이진범 ( Chin Bum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4

        제주도 평대리에 위치한 천연기념물 374호, 비자나무림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방법 및 수리적 분석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나무림이 가지는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한반도 내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지역에 분포하는 식생대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NMDS와 집괴분석법이 활용되었다.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림은 12개의 식물사회학적 조사표를 바탕으로 비자나무-상산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서식처 환경을 반영한 전형하위군락과 가는쇠고사리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식생의 서식처 특성과 비자나무림 발달에 근거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진단종군(꽝꽝나무, 단풍나무, 양하, 산쪽풀, 긴사상자, 처녀이끼 등)이 제안되었다. 제주도 내 동일식생대 식생의 종조성 분석 및 국내 기타 비자나무림들과의 좌표결정과 집괴분석 비교를 통해서 평대리 비자나무림은 종조성 및 식생구조에 있어서 매우 독립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외 비자나무림과의 비교에서 평대리 비자나무림이 가지는 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자생지와는 종조성 및 식생유형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대리 비자나무림에 대한 식물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국가중요자연자원에 대한 평가규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natural monument forests (no.374) located at Pyeongdae-ri in Jeju island are described and classified by using phytosociological methods and numerical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ecological character of Torreya nucifera forests between natural habitat and artificial habitat, as well as their spatial and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in the Korea. The comparison of forests between Pyeongdae-ri and other regions was analyzed by using a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NMDS) and hierarchical clustering. On the basis of the 12 phytosociological releves, the vegetation of T. nucifera dominant forest in Jeju island was arranged in one syntaxon (Alangium platanifolium-Torreya nucifera community included typicum and one subcommunity) within Camellietea. The community of T. nucifera dominant forests were characterized floristically and ecologically. We discussed diagnostic species with references, and proposed a few important diagnostic species (Ilex crenata for. microphylla, Acer palmatum, Zingiber mioga, Mercurialis leiocarpa, Osmorhiza aristata, Mecodium wrightii etc.) to explain condition of the habitat and synecological character. The communities were described by concerning their edaphical and syndynamical niche; we discussed their total distribution in Korea. In most forests they are widespread in Korean peninsular and their distribution is primarily determined by artificial plantation and periodical management. The forests consisted of T. nucifera have developed from natural environment element and artificial management. As a result they have very unique characters with the floristic,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Furthermore, we identified that they need to apposite management for sustain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단양군 도담삼봉과 단양석문 일대의 현존식생

        최병기 ( Byoung Ki Choi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2

        명승 도담삼봉(제44호)과 단양석문(제45호) 일대의 측백나무림 및 주변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지역 일대의 식생은 종조성 및 서식처환경에 따라 4개 상관형, 8개 식생단위가 구분되었다: 삼림형(측백나무-회양목군락, 소나무-은조롱군락, 굴참나무-찰피나무군락), 임연형(나도국수나무-미나리냉이군락), 건생이차초지형(큰기름새-민둥갈퀴군락, 잔디-아마풀군락), 암극형(개부처손-돌마타리군락, 금털고사리군락). 식생을 구성하는 총 출현종수는 54과 109속 144분류군이었으며, 환경부 지정 법정 보호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그러나 석회암 지역의 토지적 특성으로 인해 국지적 분포종 및 지리적 분포한계종, 한국 특산종 등이 모든 식생단위에서 높은 빈도와 피도로 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지역 일대의 서식처 환경이 지역적 종급원 및 국가 생물종다양성 확보 측면에서 중요서식공간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식생을 결정짓는 중요환경요인은 토심의 발달, 경사도, 인위적 간섭 등으로 확인되었다. 식생보존등급의 평가결과 측백나무-회양목군락, 굴참나무-찰피나무군락, 개부처손-금털고사리군락 등이 높은 등급으로 나타났다.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고려한 보호구역의 선정은 서식처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scription of vegetation cover and floral composition was undertaken in terms of phytosociological study in Dodamsambong (scenic site no. 44) and Danyangseokmoon(no. 45). In this study a total of 17 releves containing 144 tax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ight plant communities are differentiated, grouped into 4 physiognomic types: forest type(Buxus microphylla var. koreana-Thuja orientalis community, Tilia mandshur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Cynanchum wilfor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mantle type(Cardamine leucantha-Neillia uekii community), secondary meadow type(Galium kinuta-Spodiopogon sibiricus community, Diarthron linifolium-Zoysia japonica community), and crevice type(Patrinia rupestris-Selaginella stauntoniana community,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community). The vegetation of Dodamsambong and Danyangseokmoon is characterized by local flora, such as calciphilous plants, geological distribution-limit species, and endemic species. The soil depth, slope, and human impact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differentiating ecological factors.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Thuja orientalis community, Tilia mandshur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atrinia rupestris-Selaginella stauntoniana community were evaluated highly by National Vegetation Naturalness. In order to restore the value of specific landscape for scenic site, we should improve the problems of protected area such as wrong management on habitat, forest fragmentation by facilities and decline in vegetation by lack of growing the next succession.

      • KCI등재

        장도의 식생

        최병기 ( Byoung Ki Choi ),김종원 ( Jong Won Kim ),김성열 ( Seong Yeol Kim ),임정철 ( Jeong Cheol L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4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서단(西端)에 위치하는 장도(면적 1.54㎢)는 고층습원의 발달과 국가적 생물다양성 중점지역 (hotspot)으로 주목받고 있는 생태지역(ecoregion)이다. 본 연구는 장도에 발달하고 있는 식물군락의 다양성을 규명하고, 보전생태학적 식생관리전략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장도 식생은 10개 상관형(physiognomic types)에 총 22개 단위식생(syntaxa: 3개 군집, 15개 군락, 4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현존 습지식생(actual wetland vegetation)은 갈대군강(Phragmitetea)과 벼군강(Orizetea)에 귀속되는 비교적 낮은 자연도(naturalness)의 식물군락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고층습원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의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가운데 구실잣밤나무-가는쇠고사리군집은 장도가 새로운 최북단 분포지(northernmost distribution sit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 및 국가 특산식생형(regional and nation-wide endemic vegetation type)으로 소사나무-흑산비비추군락을 특기하였으며, 토지적 지역식생형(regional edaphic vegetation type)으로 해안 절벽에서 섬향나무-밀사초군락이 기재되었다. 장도는 험준한 섬 지형에도 불구하고 집약적인 인간간섭(방목, 벌채, 산불, 개간 등)이 대부분의 식생형에서 종조성으로부터 밝혀졌다. 그러나 장도는 난온대 속에서의 높은 무상일수와 연평균 최대 안개 일수를 가지고 있는 지역생물기후 특성, 차별침식에 의하여 형성된 함몰 분지에서의 대수층 발달과 같은 토지적 수리수문체계를 반영하는 독특한 식생자원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장도습지는 보전생태학적 관점에서 그 존재의 가치가 지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장도습지는 습지 지표면의 근본적인 수리수문 체계의 변질을 야기하는 인간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이에 대한 즉각적인 습지생태계관리 매뉴얼 구축이 요구되었다. Jangdo Island (area 1.54km²) located in the western end of Dadohae Haesang National Park has been recognized as an prominent ecoregion possessing high moor and national biodiversity hotspot. In terms of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phytosociology, we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plant communities on the island and reevaluate the Jangdo wetland designated as Ramsar site. Ten physiognomic types of the Jangdo`s vegetation were classified into 22 syntaxa (3 associations, 15 communities and 4 subcommunities). Jangdo wetland was actually denominated as ``eutrophic wetland`` by Pharagmitetea and Orizetea rather than ``high moor``. Nevertheless, existence value of the Jangdo wetland is evaluated very high as a stepping stone for migratory birds and even plant dispersions. A new site of the northernmost distribution of Arachniodo-Castanopsietum sieboldii, which is a kind of cold-resistant phytocoenosis among the Camellietea japonicae of the warm-temperate broad-leaved forests, was described. Hosta yingeri-Carpinus turczaninovii var. coreana community and Carex wahuensis var. robusta-Juniperus chinensis var. procumbens community were described specifically as an endemic and an edaphic vegetation type, respectively. The unique Jangdo`s vegetation reflects region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much higher frequency of frost-free days and the highest number of annual average foggy days in Korea and a well-developed aquifer in the depressed basin formed by differential erosion. We identified that human interventions (pasture, logging, forest fire, cultivation, etc.) has been involved intensively on every vegetation types, even though a rugged and inaccessible topography of the island. Particularly the Jangdo wetland has been recently threatened by fundamental distortion on hydrological system. We request an immediate establishment of the conservation prescription manu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