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테리어 색채 인지 영역의 차이에 관한 실증적 실험 연구

        최미영 ( Mi Young Choi ),박태욱(교신저자) ( Tae Wook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디자인 분야에서 색채는 심리적, 생리적 효용가치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시각 정보 전달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시각적 색채 정보 전달방법에 대한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실재감 높은 컬러 자극물과 색채 인지 영역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여 컬러계열별로 색채 인지 영역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색채 인지 실험은 통제된 환경에서 실험 자극물에 대한 응답자들의 지각 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유효 표본 53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컬러계열은 ‘무채색 > 파랑 > 녹색 > 노랑 > 빨강 > 보라’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톤에 대한 선호는 진한 톤에 비해 연한 톤을 선호하였다. 하지만, 컬러계열별로 비교해볼 때 선호하는 인테리어 색의 컬러 톤은 유의하게 차이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테리어 디자인을 통해 연상되는 컬러 이미지도 컬러계열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인테리어라는 구체적 자극물에 색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개별 색이 가지는 고유의 감성 이미지 뿐 아니라 인테리어 컬러로서 깨끗함, 차분한, 자연스러운 이미지가 추구되고 있었다. 셋째, 먼셀 표색계의 채도와 명도의 변화정도를 고려한 인지 영역의 분포는 컬러계열별 자극물 컬러로 제시한 실제 컬러 값에 가깝게 수렴되는 정도와 색채 인지 편향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인테리어 분야에서의 색채는 공간 디자인 요소로서뿐 아니라 지각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해야하기 때문에 물리적 계측치로서 정량적 접근이 아닌 지각자의 주관적 인지 특성을 반영한 인지심리학적 접근도 필요함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Color has important roles in design, not only psychological or physiological functions but also as communication tools for delivering visual information. To better apply color to interior design, this study desired to make experimental stimuli and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color cognition, and to get quantitative data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eas of color cognition by colors. An empirical experiment was designed in order to induce and measure subjects’perceptual response about the differences among the areas of color cognition in a controlled environment. The data analysis of 530 valid sampl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follows. First,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by interior color preferences; the preference order was neural > blue > green > yellow > red > purple. The overall preference for color tones was pale tone favored compared to the dark tone, but each preferencecolor tone in interior stimul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colors. Second, color images associated with interior design were totally different by colors. They delivered sensitivity of the color itself, but clean, calm, and natural images were commonly pursued with high preference as interior colors. Third, the distribution of color cognitive areas, considering degree of alteration of chroma and brightness in Munsell Color Specification System, showed the closely convergent degree to real exact color value used in experimental stimuli and the differences of color cognitive bias according to colors. Now, in interior design field, color research should not be analyzed physical terms and need to be analyzed in a cognitive psychology perspectiv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subjects because color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a design element for space but also as a concept that can interact with subjects.

      • KCI등재

        지각자 특성이 인테리어 색채인지와 마감재 컬러선택에 미치는 영향

        박태욱 ( Tae Wook Park ),최미영(교신저자) ( Mi Young Choi ),주경임 ( Kyung Im Ch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자 특성에 따라 인테리어 마감재로 제시된 컬러의 색채인지 차이와 컬러선택 행동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공간 사용자와의 색채 커뮤니케이션의 차별화를 강조하는 것이다. 지각자 특성변수로 컬러 관심도 수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3 종의 컬러차트를 이용하여 컬러계열별로 색채인지 차이를 측정하였다. 색채인지 영역구분은 컬러자극물의 실제 컬러 값을 중심으로 컬러계열별 비교를 위해 채도와 명도 변화정도를 고려여 4 단계로 조작화시켰다. 실증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컬러 관심도는 인테리어 관심도 및 인테리어 컬러영향력과 상관관계가 높고, 컬러 관심도에 따른 집단별 인테리어 컬러 선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색채인지 정확도와 색채인지 수렴도는 컬러 관심도와 관계없이 3D 입체 컬러 차트에서 가장 높게 나오고 2D 플레인 컬러차트와 2D 텍스쳐 컬러차트의 효과는 컬러계열과 컬러 관심도에 따라 다른 효과를 보였다. 3) 지각자 특성에 따라 컬러 사용에 대한 기대효과의 차이가 존재하여 컬러 저관심 집단은 공간의 기능성과 개인 선호색을 더 고려하며, 컬러 고관심집단의 경우 정서적 효과와 공간의 효용성 및 전체적인 디자인 요소에 대한 고려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color cognition and color choice behaviors of color perceivers over the suggested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reby emphasizing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lor communication with space users for interior design. For the variables for color perceiver``s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perceivers were grouped by the level of their color interest. For perceiver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subjects were grouped by the level of their color interest and the differences in color cognition by colors were measured using 3 kinds of color chart. With regard to the classification of color cognition areas, they were operationalized into 4 ranges taking account of the level of chroma and brightness variation to compare the actual color values of color stimuli.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 color interest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terior interest and interior color influence,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ior color preference of groups by color interest. 2)the color cognition accuracy and color cognition convergence is the highest in 3D color chart regardless of color interest, and the effect of 2D plain color chart and 2D textured color chart varies according to the colors and color interest. 3)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xpected benefits from color use by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ivers; more specifically, the lower color interest group consider space functionality and individual color preference more important whereas the high color interest group consider the emotional benefit, the space effectiveness and whole design element more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