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벽지디자인이 소비자 반응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무채색의 기하학적인 패턴을 중심으로

        주경임 ( Kyung Im Choo ),최망식 ( Myung Sik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주거 공간의 인테리어 마감재중 가장 많이 쓰이는 벽지 디자인에 대한 일반인의 소비자 평가가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실내공간과 소비자는 서로 상호연관성을 가지며 마감재의 디자인에 따라 소비자의 반응이 달라지고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호관계성을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실증적 조사 결과 인테리어 제품 구매 시 응답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소재 및 재질이며, 같은 소재 및 재질이라도 색상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가 가장 좋아하는 거실의 컬러군은 아이보리 베이지 계열이고, 벽지 마감재 재질은 실크벽지의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디자인 평가와 소비자 선호도에서는 상징성이 높을수록 공간선호도와 공간친근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내공간에서 벽지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디자인 평가는 공간 선호도와 공간 친근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테리어 마감재인 벽지디자인에 대한 각종 선호도 조사에서 응답자들의 성별, 연령대별, 학력별, 소득수준별 계층에 따른 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주거 공간의 인테리어 마감재 디자인이 개인의 개성과 취향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개인 주거 공간에 활용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하지만, 모든 계층의 사람들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는 마감재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어 아파트 모델하우스와 같은 다중 상대 공간의 마감재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n consumer responses and preferences of the interior finishes of living spaces, especially decorative wallpapers. This study is trying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ior space and the consumer`s preference in perspective of human psychology by analyzing the consumer`s response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design of finishing material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element that the respondents consider when purchasing interior products are material and texture, and even for the same material and texture, they showed the most sensitive reaction to the colors. The public favors ivory beige color the most for the living room, and silk wallpaper for wallpaper finish. Thus, the assessment of design by consumers according to the shape of plane in the indoor space show us that the it significantly affects the consumer`s space preference and space friendliness. Accordingly, in space planning for space,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users in wallpaper design which affect the consumers in order to get more effective results. Based on the general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ous preferences research on interior finishes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Nevertheless, With the result of the study, while there is a limitation to apply this to personal living spaces for interior decorations,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applied to decorations for multiparty space such as apartment model house that people from all classes will adjust comfortably.

      • KCI등재

        조형요소의 시각적 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주경임 ( Kyung Im Choo ),박태욱 ( Tae Wook Park ),최명식 ( Myung Sik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인간의 인지 능력은 선천적이고 본능적으로 나타나며 경험과 학습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담론들에 대해 객관적 실험을 통해 밝혀진 사례를 찾아보기는 힘들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생물학적 특성인 성별과 심리적 특성인 가치관 기준에 따라 인지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경험적 특성의 차이 즉, 후천적 학습과 훈련에 의해 인지적 능력이 증가 될 수 있는가를 알아봄으로써 인간의 인지 과정이 환경적 영향과 경험에 의한 상호작용 결과의 적응 과정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을 통한 분석 결과 인간의 인지적 능력은 개인의 경험에 따라 변화하며, 인지 과정에서 남녀 성별 차이에 따라 우월적 요소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지각자의 경험적 특성인 가치관에 따른 정확도 실험 정답 여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 형태에 대해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중 심미적 집단이 더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적 언어에 대한 식별성이 심미적 집단에서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인간 삶의 장이 되고 있는 공간 환경적 준칙과 인간 내부의 인지적 특성의 구조적 상호관계의 연구를 통해서 보다 나은 환경의 디자인 방향을 찾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The recognition ability of human is inherent instinct and affected by experiences and learn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ases verified through objective tests on such arguments. Through the research, analyze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level by value standard which is psychological trait and gender which is biological trait and with that difference of experience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with investigation to whether recognition level can be increased by post learning and training to confirm recognition process of human is the adaptation process of interaction by environmental impact and experiences. As a result of analysis, recognition ability of human changes depend on the individual experiences and positively confirmed that superior elements depend on the gender difference appears differently in the recognition process. In the analysis result on the difference of accuracy test answering according to value which is experience trait of perceiver, on the form had meaningful differences and among them esthetic group had more accurate recognition. It is interpreted as a result that shows discernment on esthetic language can show high in esthetical group. It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research to find design direction of better environment through the research for structural mutual relationship of the regulation for environment of space which is becoming the chapter of human lives and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internal part of human.

      • KCI등재

        지각자 특성이 인테리어 색채인지와 마감재 컬러선택에 미치는 영향

        박태욱 ( Tae Wook Park ),최미영(교신저자) ( Mi Young Choi ),주경임 ( Kyung Im Ch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자 특성에 따라 인테리어 마감재로 제시된 컬러의 색채인지 차이와 컬러선택 행동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공간 사용자와의 색채 커뮤니케이션의 차별화를 강조하는 것이다. 지각자 특성변수로 컬러 관심도 수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3 종의 컬러차트를 이용하여 컬러계열별로 색채인지 차이를 측정하였다. 색채인지 영역구분은 컬러자극물의 실제 컬러 값을 중심으로 컬러계열별 비교를 위해 채도와 명도 변화정도를 고려여 4 단계로 조작화시켰다. 실증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컬러 관심도는 인테리어 관심도 및 인테리어 컬러영향력과 상관관계가 높고, 컬러 관심도에 따른 집단별 인테리어 컬러 선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색채인지 정확도와 색채인지 수렴도는 컬러 관심도와 관계없이 3D 입체 컬러 차트에서 가장 높게 나오고 2D 플레인 컬러차트와 2D 텍스쳐 컬러차트의 효과는 컬러계열과 컬러 관심도에 따라 다른 효과를 보였다. 3) 지각자 특성에 따라 컬러 사용에 대한 기대효과의 차이가 존재하여 컬러 저관심 집단은 공간의 기능성과 개인 선호색을 더 고려하며, 컬러 고관심집단의 경우 정서적 효과와 공간의 효용성 및 전체적인 디자인 요소에 대한 고려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color cognition and color choice behaviors of color perceivers over the suggested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reby emphasizing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lor communication with space users for interior design. For the variables for color perceiver``s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perceivers were grouped by the level of their color interest. For perceiver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subjects were grouped by the level of their color interest and the differences in color cognition by colors were measured using 3 kinds of color chart. With regard to the classification of color cognition areas, they were operationalized into 4 ranges taking account of the level of chroma and brightness variation to compare the actual color values of color stimuli.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 color interest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terior interest and interior color influence,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ior color preference of groups by color interest. 2)the color cognition accuracy and color cognition convergence is the highest in 3D color chart regardless of color interest, and the effect of 2D plain color chart and 2D textured color chart varies according to the colors and color interest. 3)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xpected benefits from color use by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ivers; more specifically, the lower color interest group consider space functionality and individual color preference more important whereas the high color interest group consider the emotional benefit, the space effectiveness and whole design element more important.

      • KCI등재

        인테리어 색채 계획을 위한 색채 제시방법이 색채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태욱 ( Tae Wok Park ),최미영 ( Mi Young Choi ),주경임 ( Kyung Im Ch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테리어 디자인 계획 과정에서 어떤 방법으로 컬러를 제시하여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 색채 인지에 가장 효과적인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가지 기본색(레드, 엘로우, 그린, 블루, 퍼플)과 무채색으로 제작된 컬러 자극물에 대해 3가지 다른 색채 제시방법을 보여주는 자극물을 제작하여 색채 인지실험을 진행하였다. 색채 인지 영역구분은 자극물의 실제 컬러 값을 중심으로 채도와 명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색채 단계를 조작화하여 구간별로 비교하였다. 색채 제시방법은 평면의 경우 단순 컬러 칩과 마감재 텍스쳐를 맵핑했을 때로 나누고 입체의 경우 실재감을 부여하기 위한 컬러 블록 이미지를 활용하여 컬러 값의 선택 비율을 비교하였다. 실증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자들은 선호하는 실내 인테리어 색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인테리어 색채 선택 시 디자인 조화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2) 평면 컬러차트의 경우 마감재 텍스쳐가 맵핑되지 않는 것보다는 맵핑되었을 때 좀 더 실제 컬러 값에 가깝게 수렴되었다. 3) 평면 컬러차트로 제시될 때 보다 입체감을 부여한 컬러 블록 이미지로 컬러가 제시될 때 좀 더 실제 컬러 값에 가깝게 수렴되었다. 4) 컬러계열별 실제 컬러 값을 중심으로 한 색채 인지 수렴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평면으로 제시할 때와 입체감 부여 시 효과차이는 레드 계열이 가장 크고, 다음은 블루 계열 순이며, 옐로우 계열의 경우 그 차이가 가장 적었다. 뉴트럴 계열은 실제 컬러 값을 중심으로 색채 인지 수렴도가 가장 높은 컬러계열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테리어 디자인 계획 시 공간 사용자와의 색채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효율적 색채 제시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lor 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ed during interior designing process that enables the most effective color cognition. In the empirical experiment, color recognition tests were performed using 6 color stimulants and 3 different color presentation types. For classification of color cognition areas, color gradations were operationalized and compared for each range considering variations in hue and brightness and based on the actual color value of the stimulants. Color presentation typ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imple plain color chips and texture mapping color chips of finishing materials. Also, in order to make it realistic, color block images were used to compare the selection rate of color valu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re was differences in interior color preferences and design balance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when choosing interior colors. 2) In the plain color chart, exact color values were more accurately realized when the texture of finishing materials were mapped compared to when it was not. 3) Actual color values were more accurately realized when colors were presented using multi-dimensioned color block images than simple plain color chips. 4) Color cognition convergencies around actual exact color values varied according to color groups.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insights on how to create effective interior color presentation in communicating colors with space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