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의 인용 방식에 따른 저작권법 위반 여부에 관한 고찰 - 국내 국책기관 연구원이 작성한 외국판례보고서를 각주로 표기하여 인용한 경우에 관하여 -

        최동배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4 동북아법연구 Vol.17 No.4

        As established by the Berne Convention, the copyright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are applied to the citation of court decrees from other countries within this article. According to such copyright laws, court decrees are not governed by copyright laws and therefore can be used freely without separate permission. Additionally, if the cited publications and their copyright are owned by public institutions, or if they fall under the category of a public document to be freely used as defined by th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and use of public documents, such publications can be used in the case that they adhere to the conditions set forth under “KOGL 4” (Type Four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which requires citation of the original source and prohibition of commercial use and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work. Recent supreme court rulings also suggest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individual creativity in works that inevitably use similar expressions because the authors have similar academic ideas. (As such, individual creativity cannot be recognized when the work can be easily translated by a person with similar language skills and legal expertise). It should also be considered that the core nature of this research itself, as it studies plagiarism and research misconduct and their precedents, can lead to similarity in expressions, content and topic. Given that this paper fulfills the citation guidelines of public works, this paper has great potential to be recognized as a valid editorial work that introduces a new topic based on reconstruction of prior research.

      • KCI등재

        직무발명보상금과 종업원의 공헌도와의 관계 - 최근 하급심판결을 중심으로 -

        최동배 대한변호사협회 201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14

        Proper and fair compensation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strong incentive for employees to create inventions. The recent court’s decision on the issue of degree of employee’s contribution to an invention has expanded the scope of proper compensation for employee’s invention. This decision seems to suggest a welcome trend towards recognizing the greater level of employee’s contribution. Som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assessing the employee’s contribution are as follows : who initiated and organized the research project for the particular invention, the amount of money invested, the nature of employee’s task, how the technology and facilities provided by the employer have been utilized, the process of completion of the invention as well as the value and outcomes of inventions. While assessing the proper amount of the outcomes of the invention is an inevitable factor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the employees, it does not seem to be an advisable solution, in particular, to mathematically calculate the employee’s contribution. According to Article 13, Paragraph 2 of the Invention Promotion Act, the amount of remuneration is computed by multiplying two variables, one of which is employee’s contribution and the other is amount of the outcom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amount of the outcome of the invention should, in fact,not alone considered as a factor to be calculated for the employee’s contribution. As the court continuously renders decisions on employee's contribution and relevant evaluation factors, the more reasonable and objective standard to assess a fair compensation would be available. 직무발명에 대한 정당한 보상은 발명의욕을 고취하는 데 강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종업원의공헌도에 대한 최근 법원의 결정을 보면 종업원의 직무발명에 대한 보상범위를 더 넓게 인정하려는 경향을 볼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한 경향으로 보인다. 법원이 종업원의 공헌도를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요소로서 보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직무발명의 계기가 되었던 연구 과제를 기획·주관하였던 주체가사용자인지 종업원인지 여부, 연구과제 수행을 위한 사용자의 인적·물적 투자, 그 투자기간 및 총 투자액수 직무발명 기술의 성격, 직무발명자의 담당직책 또는 지위 직무발명의 완성과정 사용자 회사의 성격 매출이익, 사용자 이익 확대에 대한 종업원의 공헌도 실시료의 크기 또는 매출액의 크기 등이다. 위 평가요소 중 사용자의 이익액의 크기는 종업원의 공헌도를 평가하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하여도 종업원의 공헌도의 산술적 평가요소가 되는 데 있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발명진흥법 제13조 제2항의 보상규정에 따라 종업원의 공헌도에 사용자의 이익을 곱한 것이 정당한 보상의 개념으로이해되는 것이 옳다고 본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익액은 정당한 보상금을 정하는 하나의 변수이지, 또하나의 변수인 종업원의 공헌도를 정하는 평가요소에 해당될 수 없다고 본다. 판례에서 나타난 종업원의 공헌도에 대한 평가·분석의 축적을 통하여 평가의 대상이 되는 객관적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엄정하고 공평한 분석이 가능하게 되고, 이는 정의에 합당한 정당한 직무발명보상금 판결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본 논문은 연구윤리의 문제로 게재가 철회되었음]중국 상표법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 중국의 판례를 중심으로 -

        최동배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2 동북아법연구 Vol.16 No.1

        우리나라는 최근에 상표법에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였다. 우리보다 훨씬 일찍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한 중국은 이에 관한 많은 판례가 있다. ‘샤오미(小米)’ 상표권 침해 사건은 피고들의 계쟁 상표 등록 당시 원고들의 등록상표가 ‘저명’ 한 상태였는지, 세 피고의 행위가 등록상표에 대한 침해 및 부정경쟁행위를 구성하는지, 침해가 성립된다면 이들의 민사적 책임 여부가 쟁점이었는데, 장쑤성 고급인민법원은 원고의 등록상표 저명성이 충분히 인정되므로, 피고 측 주장은 이유가 없다며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의 판결을 유지하였다. ‘FILA’ 상표권 침해 사건은 등록상표와의 유사 정도에 따른 상표권 침해 성립 여부가 쟁점이 되었는데, 베이징시 서성구 인민법원은 피고1, 2, 3의 상표권 침해를 인정하여, 피고1, 2, 3에게 손해배상액의 연대책임을 선고하는 한편 일간지에 침해 사실과 원고의 신용회복을 위한 성명을 게재하라고 명령하였다. ‘Adidas’ 상표권 침해 사건은 손해배상액 산정이 적절한지가 관건이었는데, 원저우시 중급인 민법원은 두 피고가 본 사건의 침해행위의 주체는 아니지만, 본 사안이 악의적 침해에 해당하며 침해의 정황이 엄중한 사례라는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여,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두 피고에게 징 벌적 손해배상액 1,078,016.34 위안을 선고하였다. ‘싱화춘 펀주(杏花村 汾酒)’ 상표권 침해 사건에서 산시성 고급인민법원은 두 피고의 계쟁 제 품의 생산⋅판매 행위가 상표권에 대한 악의적 침해에 해당하므로 배상액을 더 높여야 한다고 판시하면서, 위법소득 297,000 위안의 두 배에 해당하는 594,000 위안의 징벌적 손해배상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유지하였다. ‘ELEGANT LIVING BAROQUE’ 상표권 침해 사건은 침해행위를 지속해 온 정황이 매우 엄중하 므로 징벌적 손해배상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유지하였는데, 침해행위로 상표권자가 입은 손해를 징벌적 손해배상액의 산정 기준으로 정한 판결이다. ‘SCALEWATCHER’ 상표권 침해 사건은 부당한 경제적 이익을 꾀하고자 한 주관적 악의가 명백 하고, 해당 등록상표에 대한 영향이 크고 침해 정황이 엄중하므로 징벌적 손해배상을 선고한 판결로서, 고의침해를 인정하여 합법적 출처에 의한 항변을 배척하였다. The Xiaomi trademark infringement case was an issue whether the Plaintiffs’ registered trademarks were ‘famous’ at the time of registration, whether the three defendants’ actions constitute infringement and unfair competition, and if infringement is established, the defendant's appeal was dismissed. In the case of ‘FILA’ trademark infringement, the issue was whether or not trademark infringement was established due to the similarity to the registered trademark, and the People’s Court in Seoseong-gu, Beijing, recognized the infringement of the Defendant 1, 2, and 3, and ordered the Plaintiff to publish a statement for credit recovery. In the case of ‘Adidas’ trademark infringement, the key was whether it was appropriate to calculate the amount of damages, and the Wenzhou Intermediate People’s Court rejected the Plaintiff’s claim that the case was a malicious infringement and sentenced the two defendants to 1,078,016.34 yuan. In the case of trademark infringement of ‘Xinghua Chun Punju’, the Shaanxi High People’s Court upheld the judgment below that sentenced the two defendants to 594,000 yuan in punitive damages, double their illegal income of 297,000 yuan. In the case of trademark infringement of ELEGANT LIVING BAROQUE, the judgment below sentenced punitive damages was maintained a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punitive damages suffered by the trademark holder due to the severe circumstances of the infringement. The ‘SCALEWATCHER’ trademark infringement case was a ruling that sentenced punitive damages because the subjective malice to seek unfair economic benefits was clear and the infringement situation was great and severe.

      • KCI등재

        NFT 미술관의 가능성과 수반되는 법적 문제점

        최동배,김별다비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68 No.-

        In March, 2021,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 an NFT work by Beeple, was auctioned off at 82.8 billion won. This raises a need to examine what NFT art is and how it is different from the old digital art and predict the impacts of NFT art on future art museums. In the past, the values of artists and their works were determined by their admittance to a art museum, but the emergence of NFT art allows anyone to publish a work of art in NFT and thus generates the effects of power reorganization. The feasibility of an NFT art museum featuring collections of NFT artworks depends on whether NFT artworks are considered as works of art by concerned laws in the nation including the Act on the Promotion of Museums and Galleries, the Culture and Art Promotion Act, and the Art Promotion Act moved last year. When art museums have a margin in the transaction of an NFT artwork, the applicability of the 「Act on Reporting and Using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and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depends on whether it is a virtual asset or not. NFT artworks should be first recognized as virtual assets to be punishable especially when they are in cross trading on an NFT platform or misused in the laundry of illegal funds. In Criminal Codes, there is an issue whether P2E game NFTs violate the Game Industry Act or pass as gambling crimes. Their recognition also depends on their contingency and speculation as well as their nature as virtual assets mentioned above. There are four cases in which NFTs are involved in fraud crimes: (1) when purchased NFT service is over, it can be recognized as a fraud crime based on passive deception as well as the intangible nature of coin properties in a recent precedent; (2) There are NFTs based on intentional fraud coins and also rug pull as a type of investment fraud to deceive victims in fundraising to issue NFTs; (3) there are secured loan frauds committed by brokers of NFT security; and (4) the management of a corporation overestimates of NFTs whose values are uncertain in conspiracy with evaluation companies and use them to embezzle corporate funds. In the IP aspect, NFT transactions or NFT-based funds deny the licensing method to make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line and insist on the application of the copyright principle of law offline, but this is impossible in practical law. Consumers that are misguided about the IP concept of NFTs can suffer an unfathomable loss. NFT art is significant as a certificate for no forgery and alteration, but there is no guaranteeing completely that digital images guaranteed by a certificate are truly the objects to be obtained. If a virtual world ecosystem is inevitable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agencies supervising art museums and galleries need to support non-profit NFT art museums capable of curation rather than commercial NFT art firms to ensure the safe arrival of a sound NFT ecosystem. 21년 3월 비플의 NFT 작품 “모든날들- 첫 5000일” 우리돈 828억에 낙찰되었다. NFT 미술이란 무엇이고, 기존의 디지털 미술과 무슨 차이가 있으며, NFT 미술이 장래 미술관에는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예측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미술관에 입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작가와 작품의 가치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NFT 미술이 등장함으로써 누구나 NFT로 미술품을 발행할 수 있어 다시 권력이 재편성되는 효과를 가지고 온다. 이러한 NFT 미술품을 소장품으로 하는 NFT 미술관이 가능한지 여부는 기존에 국내법상 박물관미술관진흥법, 문화예술진흥법, 작년 발의된 미술진흥법상 NFT 미술품도 미술작품에 해당하는지가 문제된다. 또한 미술관이 이러한 NFT 미술품 거래 시 시세차익을 얻는 경우 특정금융정보법, 전자금융거래법의 적용을 받는지는 가상자산에 해당하는지가 문제시 된다. 특히 NFT 플랫폼이 자전거래를 하는 경우와 불법자금의 세탁 등에 악용되는 경우 처벌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전술한 가상자산으로 우선 인정되어야 한다는 선결문제가 있다. 형사적으로는 P2E 게임 NFT가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위반인지, 도박죄등에 해당할수 있는지가 문제되며, 상술한 가상자산성 여부 외에도 우연성, 사행성 인정에 따라 해당될 수 있다. 사기죄 관련, (1) 매수한 NFT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 최근 코인 관련 무형의 재산성이 인정된 판례(21도9855)와 더불어 소극적 기망(2017도20682)이 인정되는 경우 사기죄가 인정될 수 있고, (2) 의도적인 사기 코인에 기반한 NFT나, NFT 발행 투자금 모집을 기망한 투자사기 유형(Rug pull)도 있다. (3) 그리고 NFT 담보를 중개하는 업체를 중심으로 담보대출사기가 있다. (4) 마지막으로 기업의 운영진이 가치가 불분명한 NFT의 평가액을 평가업체와 공모하여 과대평가하여 기업의 자금을 횡령하는 도구로 사용하는 유형이 있다. IP 측면에서는 NFT 거래 또는 NFT기반 기금펀딩이 온라인에서의 지식재산권 활용방식인 라이선스방식을 부정하고, 오프라인에서의 저작권 법리 적용을 주장하지만, 실정법상 불가능하다. 이에 NFT의 IP개념을 오도당한 소비자에게 불측의 손해가 있을수 있다. 또한 NFT 미술은 위변조가 되지 않았다는 증명서로서 의의를 가지나, 증서가 보증하는 디지털 이미지 등이 실제 취득하려는 대상인지 완전히 보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상세계 생태계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필연적이라면, 박물관 미술관 관련 기구는 상업적 NFT미술 회사가 아닌 큐레이션이 가능한 비영리 NFT 미술관에 대하여도 지원함으로써 건전한 NFT 생태계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KCI등재

        표준특허 및 FRAND 규약과 관련한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기술 발전 도모 측면을 중심으로

        최동배,이승주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4 No.2

        ITC recently ruled a ban on all imports of Apple products. In opposition, President Barack Obama, in consideration of the American consumer as well as the significant consequences that such ruling brings, argued on the counter-side. Essential patent and FRAND terms , key issues in the current discourse of copyright in technology, are becoming ever-more important in the modern industry; however legal resolutions have largely been unable to offer clear guidelines. This article looks at this issue essential patent by considering specific cases and potential solutions that have been developed. More precisely, it looks at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FRAND has been effective in protecting ownership of technology and design. Legal resolutions in licensing contract can be expected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copyright in technology, by equally considering consumers and the corporate parties that are involved. 글로벌 거대기업인 삼성전자와 애플이 전세계 9개국에서 30여개의 특허를 두고 치열한 다툼을 벌이고 있으며 최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애플 제품 수입금지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에 대해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표준 특허의 특수성과 미국 경제의 여건, 소비자들에게 미칠 영향 등을 들어 거부권 행사를 한 바 있다. 이 사안의 핵심 쟁점인 표준 특허 및 FRAND 규약은 수많은 기술이 복잡하게 연결된 정보통신기술 분야에서 점점 더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그 규정이 의미하는 내용이 명확하지 않아 다양한 해석들이 공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글에서는 먼저 기술표준에 포함되는 표준특허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법적 쟁점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해결방안을 살펴보았다. 즉, FRAND의 적용에 있어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 설정이 가능한지와 표준특허권자의 특허권 남용 문제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소모적 분쟁의 예방을 위한 대안으로 표준화 기구의 탄력적 정책 운용에 따른 라이센스 계약의 의제, 표준특허권자와 실시자의 이익을 모두 고려한 형평성 있는 실시료의 설정 및 이유있는 차등적 실시권 부여를 통해 당해 기술분야의 발전과 소비자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 KCI등재

        현대미술 장르에서 표절이 저작권 침해가 되기 위한 요건에 관한 연구

        최동배(Choi, Dong Bae),김별다비(Kim, Byul Da Bi)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40 No.-

        본고는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대 미술 장르에서 표현만 보호하는 저작권법법리 상 아이디어의 복제인 표절의 경우 실질적으로 저작권을 침해받은 원고의 침해 입증을 어떠한 기준을 통하여 구성 할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 검토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표절이 저작권 침해가 되기 위한 기준을 잡는 가장 큰 난제는 이러한 표절과 저작권침해의 경계선이 모호하다는 데에 있다. 역시 어려운 개념인 아이디어/표현의 이분법 및 독창적 창작성의 존재라는 판단이 요구되기 때문에 더욱 어려워진다. 미술 저작물은 사례가 적고 모호한 판례의 표현만 있어서 사례를 만났을 때 객관적인 계측도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주관적인 방법으로는 일관적인 판단을 하기 어려워 국내외 미술 관련 판례들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저작권 침해를 구성하기 위하여 원고는 저작권의 보유, 피고의 권한 없는 복제를 입증해야 한다. 피고의 권한 없는 복제는 목격자의 증언 및 복제의 시인과 같은 직접 증거외에 의거하였음이라는 주관적 요건과 실질적 유사성이라는 객관적 요건으로써 간접증거로 입증할 수 있었다. 피고의 권한 없는 복제를 입증하는 기준 중 하나인 의거하였음은 접근과 현저한 유사성, 공통의 오류, 대상과의 합리적이고 현저한 실질적 유사성이 입증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실질적 유사성은 그림의 기본소재와 배치, 전체적 구도, 형태가 유사할 것이 요구되며, 아이디어가 아닌 보호받는 표현에 대한 유사성이어야 한다. 표현이란 예술에 관한 사상을 말, 문자, 색 등으로 구체적으로 외부에 표현하는 창작적 표현형식이다. 아이디어와 표현을 나누는 기준은 미술 저작물의 경우 저작물을 전체적으로 관찰하는 외관이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은 전문가가 아닌 문제 작품이 합리적으로 예상한 연령과 교육수준의 관람자의 반응을 기준으로 한 일반인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러한 원고의 공격에 대한 피고의 방어는 자신의 작품이 다루는 주제나 문제의식, 아이디어가 고유하다든가, 주제의 해석방식에 있어서의 독특함, 문제의식을 전개시키기 위한 착상이나 개념적 구상의 측면에서 상상력이 풍부하고 자생적인 완전히 새로운 독창성이 있음을 입증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식에는 풍자(패러디), 차용 등이 있다. 또한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중요하지 않은 부분의 적은 양을 사용한 공정이용이라고 항변할 수 있다. 이때는 이러한 저작물의 이용이 그 저작물의 현재 시장가치, 잠재적인 시장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법원에 의한 구체적인 판례가 더욱 자세하고 다양하게 제시되면서 학계의 연구를 토대로 하는 입법적 해결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concerns copyright issues concerning modern art, an industry and a genre that cherishes originality, by applying standards established by precedents in modern times. Defining originality in art remains a complicated issue because lines that separate one idea from another can be vague, creating obscurity when observing the intent of the artist and how it can be defined to be original in a legal context. Due to the scarcity in resources in finding appropriate precedents in relation to this genre, and the lack of an established legal standard or an established way of measuring originality, this article looks at cases that were deemed to be significant in legal settings outside of the Republic of Korea. To prove infringement of copyright, the plaintiff must prove his or her ownership of the idea and secondly the defendants violation of that ownership. The latter can be proved either by direct evidence, such as a witness testimony, or evidence that runs on subjective opinion and observation. Appropriate subjective evidence requires a major notion of applicability that characteriz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original work and the copied work, found in the overall topic and structure of the artwork, and the visual performance that makes the underlying idea come to surface. The emphasis in visual performance highlights a significant factor, where for plagiarism to be recognized, infringement in performance, the way the idea is implemented, must be proved, making insignificant the intent or the idea of the artist. Performance can further be defined as a way of communication, embedded in text, color, and other means that directly sends out messages to those in observation. One method of measuring performance can be found by applying critique and artistic analysis that is ample throughout this industry. Industry critiques, if brought into evidence, must also be clear in its meaning and direct in its applicability to those who have reasonable judgment. To defend an accusation of this kind, the defendant must be able to prove that his or her work runs on a different and performance and therefore is able to carry a uniqueness of its own kind - the genre of parody being the most apparent example. This act of borrowing must not bring harm to the market value and/or the underlying value of the original work. A legislative resolution based on close precedents and research is therefore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a specific method of measurement to bring more clarification when defining copyright infringement in art.

      • KCI등재

        형사사건 성공보수약정의 민법 제103조 위반에 대한 연구 - 대법원 2015. 07. 23. 선고, 2015다200111 전원합의체 판결 -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9. 7. 26. 선고 2018나36846 판결 -

        최동배(Choi, Dong-Bae)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63 No.-

        형사성공보수 약정이 무효라는 대법원 판결은 부당하다. 대중의 사법 불신을 없애기 위한 방편이라 하더라도 그 판결 이후의 사정은 달라진 것 없어 보인다. 계약자유의 원칙은 우리 헌법의 기본정신인데, 그 원칙을 무너뜨려야 할 특별한 사정을 발견하기 어렵다. 대중으로부터 주목받기 위하여, 대중이 형사성공보수약정을 비난한다고 하더라도 법원은 헌법의 기본정신을 망가뜨리는 판결을 해서는 안된다. 대법원 판결이 당해 사건을 포함하여 판결 이전의 형사성공보수 약정은 유효하다고 보지만, 장래 체결되는 형사성공보수약정은 금액의 다과에 관계없이 무조건 무효라고 보자, 그 이후 서울중앙지방법원 판결은 기계적으로 대법원 판결에 따라 개별 약정서상의 공서양속 위반성을 따지지 않고, 오히려 “사실상의 성공보수”라는 확대해석을 통하여 약정서 문언상 성공보수가 아닌 변호사의 보수에 대해서도 무효라고 판결하였다. 대법원 판결은 민주주의의 기본원리인 삼권분립, 권력분립의 원칙을 위배하여 국회가 가진 입법기능을 행사한 것과 같다. 변호사법에 강행규정으로 형사성공보수 수령을 금지하고, 이에 대한 처벌규정을 입법한 것과 똑같은 결과를 낳는 것이다. 변호사 이외의 전문가의 경우, 고객과 체결한 위임 계약이나 도급계약에서 계약자유의 원칙을 무시하고 민법 제2조 신의성실원칙이나 민법 제103조 공서양속에 위반되는 반사회질서 법률행위라고 하여 무효로 하거나 감액한 예는 없다. 변호사에 한해서 특별히 형사성공보수 약정을 무효화 시킬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것이다. 변호사가 사건의 성질과 난이도, 형사사건의 성공으로 피고인이 얻는 신분상, 경제적 이익, 변호사가 당해 변론활동에 들인 시간·노력·비용에 상응한 적정한 보수를 지급받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청년 변호사들이 갓 사회에 진출하여 전관예우를 받는 변호사처럼 착수금 수령단계에서 성공보수적 성격의 보수를 포함시켜 받을 수 없는 게 현실이다. 그들이 치열한 수임경쟁에서 사건을 수임하려면 수임단계에서는 적은 금액을 주어야 수임할 수 있고, 오로지 성실과 실력만으로 승부하여 일처리에 성공하고 그 성공의 대가를 따로 약정하여 받을 수 있어야 한다. In 2015, the Supreme Court of South Korea ruled that contingent fee agreements for criminal cases were void. In this article, the author argues that this judgment was unreasonable and action should be taken promptly to reverse the ruling. The author suggests that this ruling violates the basic principles of Korean democracy - namely the freedom of contract and the separation of legal,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owers. He argues that populism has infiltrated the judicial system and that this ruling resulted from an effort to meet the demands of the Korean public. The problematic result of this ruling, he argues, is that lawyers are forced to assume the success of a case, and include what would have been considered a contingent fee in their initial quotes. This affects young junior lawyers, who are unable to quote high fees in order to cut through the competition, who as a result, are not compensated fairly for their work. As no other professional has their contracts of work nullified on these same grounds, the author argues that there is no rational reason for contingent fee agreements to be invalidated exclusively for lawyers.

      • KCI등재

        중국 인민법원에서 치명상표의 보호 법리에 관한 연구

        최동배(Choi, Dong Bae)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40 No.-

        전 세계적으로 보호되는 주지·저명상표는 중국에서는 치명상표라는 이름으로 상표법 제13조, 제14조에 규정 보호되고 있다. 주지·저명상표의 보편적인 보호라는 국제적인 조류에 맞추어 중국의 상표국, 상표평심위원회, 인민법원 등에서도 점차 치명상표에 대한 보호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그런데 2001년 개정 상표법은 저명상표법의 보호범위를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결과 일부 기업의 부당한 이득취득 목적과 일부 지방 정부의 해당 지역 경제 발전 목적으로 인하여 치명 상표제도의 심각한 변질이 발생하고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그리하여 2013. 8. 30. 3차 상표법(2014년 5. 1. 시행) 개정이 이루어졌고 3차 개정 상표법이 그 시행을 앞두고 있는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치명상표에 관한 현행 상표법의 규정은 물론 2014. 5. 1.부터 시행될 3차개정 상표법의 내용 중 치명상표에 관한 부분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중국의 상표국, 상표평심위원회, 인민법원이 어떤 방식으로 치명상표를 인정하여 왔고 치명상표를 인정하는 기준이 어떠한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중국 인민법원이 치명상표에 관하여 판결한 최근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하여 주지·저명상표 보호에 관한 우리 법규 및 우리의 최근 사례와 어떻게 대별되는지를 검토·분석하고자 한다. 치명상표는 보호되어야 한다. 그러나 소비자나 일반 거래자들 사이에서 전혀 오인이나 혼동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치명상표의 식별력의 약화, 식별력의 손상을 가져오는 경우, 우리 법은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명백히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희석화의 법리를 중국에서는 어떻게 적용하여 치명상표를 보호하는지, 이에 대한 중국과 우리나라의 차이점 및 그에 대한 문제점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중국 법원은 현재까지 일관되게 미등록상표의 보호를 인정하지 않고 있는 걸로 보인다. Nestle, NIKE 사안에서 해외에서 아무리 유명한 상표일지라도 중국 법이 미치는 범위 내에서 상표로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중국 내에 다른 선 등록자가 있다면, 당해 상표권의 권리는 Nestle, NIKE가 아니라 선 등록자에게 귀속된다고 판시하고 있다. 영화월병사안에서 1심과 2심은 미등록 치명상표 또는 지명상품의 특유명칭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해외의 미등록 상표에 대한 보호를 시도하였으나, 최고인민법원은 이를 배척하고 중국 국경내의 상표 등록자에게 상표 사용의 권리를 귀속시키고 있는 것을 보았다. 다만, BMW사안에서 BMW사는 중국 국경 내에 BMW 및 그 도형상표를 법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등록하고, 치명상표로의 등록을 마쳤더니, 법원은 타인이 본 상표를 혼돈 또는 오인할 수 있는 경우까지도 사용금지를 명령하고 손해배상을 주문하였다. 치명상표로 등록되면 더욱 보호의 범위가 비(非)유사 영역으로 확대되어 상표권의 강력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Well-known marks that are protected around the globe under the name of “trademark” are currently identified as “Chi Myong” in China. Parallel to the growing awareness of trademarks and their economic importance, China and the country’s related institutions are increasing the level of copyright protection granted to the “well-known marks”. In 2001, however, it became clear that China’s protection of trademarks is not up to par with that of its trade partners, witnessed in unlawful profit margins achieved by several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s. This article concerns such weakness exposed in China’s current legislation regarding “well-known trademarks,” and how China’s trademark office, trademark committee, and People’ Court have set the legislative standards for ruling for or against protection of trademarks. In looking at China’s close precedents, this article draws comparisons to how we have dealt with the copyright issues in our institutions. Trademarks need to be protected, but recent times and recent rulings have witnessed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between brands and their embedded trademarks. Our current laws prioritize protecting trade secrets and maintaining equal rights in corporate competition. This article looks specifically at where China has put its emphasis in relation to “well-known trademarks,” and how we may learn from their legislative history. Recent history tells us China and its legislative institution does not protect unregistered trademarks ? brands that may be well known around the globe, but not registered as trademarks in China. As observed in recent rulings in the cases of Nike and Nestle, China’s current legislation favors the entity that first registers its trademark in its region, even in cases where it is apparent that the local brand may have breached copyright of an international brand. On the other hand, as seen in the case of BMW, as the German automaker quickly made the move to register its brand in China, Chinese court ruled in favor of the international automaker, acknowledging violation of copyright and calling for reimbursement of damages. As seen in the above case, if registered as Chi Myong trademark, international brands can expect to receive powerful protection of their br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