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조선왕실 혼례용 백자의 구성과 특징

        최경화 ( Choi Kyunghwa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0 한국문화연구 Vol.39 No.-

        왕실 혼례는 대표적인 왕실 축제로 국가의 가장 큰 행사 중 하나이다. 그러나 중대한 왕실 혼례에 사용된 백자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체계적 연구 없이 현전하는 몇몇 유물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이들 백자는 점각명으로 인해 언제, 누구의 혼례에 사용되었는지와 외면에 문양 그리고 기술적 특징(질·굽깎음·굽받침) 정도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왕실 혼례용 백자에 대한 매우 단편적인 인식일 뿐 왕실 혼례용 백자를 예치(禮治)를 기반으로 한 조선왕실의 의례 가운데서 인식하고, 백자 기면에 나타난 문양·기술 이외의 다양한 사실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19세기 가례도감의궤를 분석한 결과 혼례용 백자의 사용 배경인 왕실 혼례의 절차가 유교 예에 입각하여 위계에 따라 차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기발기를 통해서는 혼례 소용 백자의 수량(규모)·종류·구성·명칭·문양·진상체제·수량단위·크기분류 뿐 아니라 외래자기 사용 및 선호양상 등 다양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어 왕실 혼례용 백자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왕실 혼례용 백자는 조선왕실 의례용 백자의 한 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royal wedding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Royal Festival, and was one of the biggest national events of Joseon era Korea. However, no systematic inquiry was made regarding the white porcelain used in the momentous royal wedding; researchers’attention was solely focused on a few of the more well-known white porcelains. One could understand the era, of whose wedding the porcelain was used, by looking at the Jeomgakmyeong (點刻銘, letters engraved in the white porcelain with dots). One could also grasp the design and the technical features by looking at the porcelain’s external appearance. However, this is just a fragmentary perception of the white porcelain used in the royal wedding.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orcelains used in the royal weddings based on the Joseon dynasty’s ritual, Rye (禮: Confucianism, based on courtesy), as well as by assimilating other various factors, excluding design and technique. Analyzing the 19th century’s Garyedogamuigwe (가례도감의궤, the book containing the record of the royal weddings), the white porcelain used in the royal wedding is based on Confucianism’s Rye, and distinguishes the status of each wedding by differentiating the procedures of each. Also, according to the Sagibalgi (사기발기, the book containing the list of the porcelains used in the Royal Festival), we can see the quantity, form, official name designation, design, and the sizing system of the porcelains, as well as how the king and royals were treated and viewed. Moreover, various and specific details such as the use of the imported porcelain and the preferred forms can be found in Sagibalgi, which became the method to analyze the white porcelain, we are able to see that Confucianism’s Rye, which is the basis of the royal ritual, is expressed through various aspects in ceramics. At the same time, it is meanigful to perceive on side of the white porcelains used in royal rituals in Joseon, and be able to find its significance.

      • KCI등재

        조선 후기 청화백자 문양과 민화와의 상관성 고찰

        최경화 ( Choi Kyunghwa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8 한국문화연구 Vol.34 No.-

        조선 후기 민화의 발전은 동시대 백자 문양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민화에 보이는 모란·연꽃·복숭아·산수·길상문자·기명절지·산신·胡獵·닭·개·해태·호랑이·용·봉황·거북·기린·躍鯉·금붕어·십장생 등 길상의 소재가 백자에도 새롭게 표현되었다. 이어 문양 소재의 형태·세부표현 등을 비롯하여 배경, 구도, 결합현상에서도 민화와의 연관성을 살펴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민화는 백자 문양에 표현된 색채감과 상형연적의 형태(복숭아·닭·개·해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민화류 문양은 표현에 있어서도 민화와 같이 개체 간에 비례가 무시되고 나열식이어서 원근·공간·입체감이 결여된 매우 평면적인 모습을 띤다. 표현방식 또한 과장되거나 일탈적이어서 민화 특유의 익살과 해학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민화는 동시대 백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지만, 문양으로 번안되는 과정에서는 기면의 한계로 민화의 일부 소재만 차용되거나 재구성되기도 하였다. 백자 문양과 민화와의 밀접한 상관성 외에도 민화류 문양이 왕실 백자에도 시문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민화류 문양이 민화에서와 같이 저변화된 수요층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용범위가 넓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 시기민화의 발전과 영향력을 반증해주고 있다. 한편 편년 가능한 백자 문양과 민화는 각각 연대를 알 수 없는 민화와 백자 문양의 편년 추정에 도움을 줄수 있음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조선 후기 백자의 특수한 한 측면을 이해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development of folk paintings greatly affected the designs appearing on contemporary white porcelain. Folk paintings at the time depicted various auspicious subjects including peonies, lotuses, and peaches;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including turtles, mountains and water; auspicious characters; and vessels decorated with combinations of flowers, fruits and writing implements. Other subjects included mountain spirits, nomadic hunters, chickens, dogs, haetae (mystical unicorn lions), tigers, dragons, phoenixes, kylins, jumping carp and goldfish, and they were also designs for white porcelain in new ways. At the same time, white porcelain took on various features of folk paintings, fromthe way the patterns were formed, including their detailed representation and arrangement, to the backgrounds, composition, and the practice of mixing various patterns, while still retaining its own identity. Aside from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patterns found on white porcelain and those appearing in folk painting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esigns on folk paintings were used on royal white porcelain as well.This suggests that the designs were enjoyed not only by a limited segment of the population but also by a wider audience, an indication of the great extent to which the development of folk paintings influenced the late Joseon. Meanwhile, this study also found that when designs from folk paintings are datable, they may serve as a guide to dating paintings through the use of white porcelain.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a distinct feature of the late Joseon white porcelain.

      • Smart Learning 환경에서 GBS 를 활용한 역사수업 설계 연구

        황윤자(YunJa Hwang),진영심(YoungSim Jin),심창현(ChangHyun Shim),최경화(KyungHwa Choi),김경진(Kyungjin Kim)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1 학습과학연구 Vol.5 No.1

        최근의 사회 환경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과거에 비해 그 속도와 발전방향을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빨리 변화하고 있으며, 더욱더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학습자 중심의 맥락적 상호작용적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Smart Learning 은 학습자들이 학교에서 벗어나 박물관, 과학관, 미술관 등 비형식적인 학습과 실제적 환경에서의 상황적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다양한 쓰이고 있는 스마트러닝의 개념과 특징을 규명하고 GBS 의 특징과 학습프로세스의 7 가지 핵심요소를 파악하여 초등학교 역사수업을 박물관과 교실수업을 병행한 실제적 맥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GBS 을 활용한 역사수업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설계연구는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은 물리적인 공간을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뿐만 아니라 이동하면서도 정보를 습득 및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며, GBS 를 통해서 학습자중심의 맥락적, 상황적, 경험적인 학습 환경을 잘 반영할 수 있게 될 것이다. In these days, social environm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are being developed faster than ever before in an unpredictable way.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pattern of study is also changing. Interactive way of learning so called smart learning which is led by the learner and which enables the learner to study anytime and anywhere is popular. Smart Learning provides the learner an opportunity to learn in untraditional places such as museums, science centers and art galleries as well as to conduct situated learning under practical environment.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learning and the features of GBS and seven core elements of the learning process and designed a history session for elementary students using GBS under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to apply such findings to sessions both in classrooms and museums. With smart learning,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abling learners to acquire and provide information anywhere anytime not being restricted by physical spaces and to fully utilizing GBS to create learner-centered environment based on context, situation and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