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은과 아연을 코팅한 실리카입자의 항균과 화장품 방부효과

        이현상 ( Hyun Sang Lee ),천종우 ( Jong Woo Cheon ),변상요 ( Sang Yo Byun ),김순경 ( Soon Kyoung Kim ),김기영 ( Ki Young Kim ) 한국미용학회 2012 한국미용학회지 Vol.18 No.2

        Silver and zinc ion coated silica (ACTOSIL) was synthesized for using a preservative of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 Synthesized ACTOSIL has 0.12 μm of particle size (D50).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CTOSIL, MIC tests were performed against various microorganisms. The MIC values of ACTOSIL against various bacteria and fungi were from 12.5 to 100 ppm and from 100 to 500 ppm respectively. Challenge test were conducted to test the antimicrobial effect of ACTOSIL on various types of cosmetics. At the concentration of 200 ppm, ACTOSIL meets the recommendation of CTFA microbiological guideline. Furthermore, the result of MTT assay with ACTOSIL showed low cell cytotoxicity. ACTOSIL can be used as a safe preservative for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 KCI등재후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광나무 추출물의 항 노화 효과

        김윤정 ( Yun Jeong Kim ),이유리 ( Yu Ri Lee ),천종우 ( Jong Woo Cheon ),이현상 ( Hyun Sang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고자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그중 광나무 추출물을 선별하여 주름 개선 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주름 개선 효과로 잘 알려진 oleanolic acid 31.06 %와 ursolic acid 8.92 %를 확인하였다. 제조된 광나무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Ⅰ과 hyaluronan synthase-3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 MMP-2, cyclooxygenase-2의 발현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elast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광나무 추출물은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To develop wrinkle care cosmetic ingredients, various species of plant extracts were investigated. Accordingly, Ligustrum japonicum was selected as a candidate for developing cosmetic ingredient.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31.06 % of oleanolic acid and 8.92 % of ursolic acid which are well-known for anti-wrinkle effect were analyzed. The possibility of Ligustrum japonicum fruits extract (LJE) as a cosmetic ingredient was investigated using several biomarkers related to anti-aging, including anti-wrinkle, moisturizing and anti-inflammation. Procollagen type I and hyaluronan synthase-3 gene expression were increased by LJE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hereas elastase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 MMP-2 and cyclooxygenase- 2 gene expression were inhibited. As the results LJE is applicable for a potential cosmetic ingredient focused on anti-aging effect.

      • KCI등재후보

        금불초 종(種) 및 개화시기에 따른 금불초 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권순식 ( Soon Sik Kwon ),전소하 ( So Ha Jeon ),전지민 ( Ji Min Jeon ),천종우 ( Jong Woo Cheon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에서는 금불초(Inula britannica) 종(種) 및 개화시기에 따른 금불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았다. 이들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살펴본 결과, 만개한 금불초 꽃(I. britannica var. chinensis) 추출물의 경우 500 μg/mL의 농도에서 79.89%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금불초 유사종인 가는 금불초(I. britannica var. linariaefolia Regel), 가지 금불초(I. britannica var. ramosa) 및 버들 금불초(I. salicina var. asiatica)의 꽃 추출물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꽃이 만개하였을 경우 꽃 추출물 분획에서는 93.62%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봉우리 추출물 분획은 43.28%, 낙화추출물 분획은 14.11%를 나타냈다. 금불초의 종 및 개화시기를 선정 후, 추출용매, 온도, 시간을 조절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65 ℃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에서 세포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5 ~ 50 μg/mL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 μg/mL의 농도에서 τ50이 116.1 min으로 비교물질인 (+)-α-tocopherol에 비해 1.58배 더 큰 세포 보호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PLC로 금불초 꽃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flavonoid의 일종인 quercet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65 ℃ 에탄올로 추출한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의 경우 다량의 quercetin을 함유하며, 그로 인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extracts of different species and flowering periods of Inula britannica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The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extract (500 μg/mL) was measured in a 79.89%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t the flower extracts of similar species (I. britannica var. linariaefolia Regel, I. britannica var. ramosa, I. salicina var. asiatica) did not show any effect 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ffects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extracts were exhibited in the order of full bloom (93.68%), bud (43.28%), and fallen blossom (14.11%). Next, we established optimum condition of extract solvent, temperature, extraction time. The extract from ethanol at 60 ℃ showed the mos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other conditions and extraction time not relevant i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extract of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on the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by using rose bengal were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5 ∼ 50 μg/mL). In particular, the extract in 50 μg/mL concentration exhibited better protective activity (τ<sub>50</sub> = 116.1 min) than (+)-α-tocopherol (τ<sub>50</sub> = 73.44 min), which is a known lipophilic antioxidant. Principle component of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was identified as quercetin of flavonoid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 of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can function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by scavenging free radical and <sup>1</sup>O<sub>2</sub>,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It is concluded that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extract of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cosmetics.

      • KCI등재후보

        추출 온도에 따른 금불초 꽃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전지민 ( Ji Min Jeon ),유대성 ( Dae Sung Yoo ),천종우 ( Jong Woo Cheon ),권순식 ( Soon Sik Kwon ),전소하 ( So Ha Jeon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에서는 추출 온도에 따른 금불초 꽃(I. britannica var. chinensis)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을 알아 보았다. 추출 온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살펴본 결과, 상온, 45 ℃와 65 ℃ 추출물 모두 0.1%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0.1% 이하의 농도에서 항노화 효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0.1% 농도의 상온 추출물 경우에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24.5%로 45 ℃와 65 ℃ 추출물과 비교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0.1% 농도의 상온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관련 유전자 HAS-1, HAS-2 및 HAS-3의 발현율은 각각 123.3%, 137.8% 및 133.2%를 나타냈으며, 이는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 (115.6%, 121.0% 및 131.4%) 경우 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다. 금불초 꽃 45 ℃ 추출물의 경우, 0.1%의 농도에서 염증유발 유전자인 TNF-α, COX-2 및 IL-1α의 발현율이 대조군 대비 각각 30.3%, 12.8%, 25.7%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상온, 65 ℃ 추출물과 비교하여 염증유발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금불초 꽃 추출물은 추출 온도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 히알루론산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증가 효과, 염증유발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그로 인하여 피부에서 미백, 보습, 항염 효능을 통해 피부 항노화 효능을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금불초 추출물이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extracts of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I. britannica) flower were extract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room temperature, 45 ℃, and 65 ℃) and their anti-aging effects were studied. Before investigating anti-aging effects of the extracts, their cytotoxicity was tested on B16F10, Hs683, and HaCaT cells. All extracts showed no cytotoxicity at the concentration less than 0.1% (v/v).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activities in B16F10 cells and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in Hs683 and HaCaT cells were used to see their anti-aging effects. The room temperature extract at 0.1% showed 24.5%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which was better than the 45 ℃ and 65 ℃ extracts. In addition, expression rates of the room temperature extract at 0.1% on HAS-1, HAS-2, and HAS-3 related to hyaluronan synthase genes were 123.3%, 137.8%, 133.2%,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reference material of L-ascorbic acid. Expression rates of the 45 ℃ extract at 0.1% on TNF-α, COX-2, and IL-1α, which are inflammatory related genes, was suppressed to 30.3%, 12.8%, 25.7%, respectively. It was better in anti-in flammatory effect than the room temperature and 65 ℃ extracts. As results, we showed that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extarcts decreased melanin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inflammatory related genes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rate of hyaluronan synthase genes.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extracts affect anti-aging effects of skin through whitening, moisturizing, and anti-inflammatory processes and could be applicable to cosmetics as a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 KCI등재후보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전지민 ( Ji Min Jeon ),최성규 ( Sung Kyu Choi ),김윤정 ( Yun Jeong Kim ),장수진 ( Su Jin Jang ),천종우 ( Jong Woo Cheon ),이현상 ( Hyun Sang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분석 결과 유산균 발효에 의해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다.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1.00 %의 농도에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86.34, 76.82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고,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49.78, 40.80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어 유산균 발효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 0.50 %의 농도로 처리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I (COL1A1)은 828.13 % 증가하였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은 87.88 %, tumor necrosis factor (TNF)-α는 99.92 %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항산화, 주름, 항염에 효능을 보이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The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fermented ginseng berry extract (FGBE) on physiological activities was evaluated. The contents of ginsenosides Re, Rc, and Rb1 in ginseng berry extract (GBE) were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when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tioxidant activity of GBE and FGBE was also analyz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and SOD-like activity assay. FGBE showed a 86.34 % inhibition of DPPH radical and a 76.82 % inhibition by SOD-like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1.00 %. GBE showed a 49.78 % inhibition of DPPH radical and a 40.80 % inhibition by SOD-like activity at the same concentration. Furthermore, procollagen type I (COL1A1) gene expression increased by 823.13 %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gene expression decreased by 87.88 % and 99.92 %, respectively, in human fibroblast cultured with FGBE at a concentration of 0.50 %. These results suggest that FGBE could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for functional cosmetics.

      • KCI등재후보

        광나무의 주성분, Ursolic acid와 Oleanolic acid의 항노화 효능

        홍용덕 ( Yong Deog Hong ),유대성 ( Dae Sung Yoo ),남미희 ( Mi Hee Nam ),김현정 ( Hyeon Chung Kim ),박시준 ( Si Jun Park ),신송석 ( Song Seok Shin ),천종우 ( Jong Woo Cheon ),박영호 ( Young Ho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8 No.2

        광나무(L. lucidum)는 ursolic acid와 oleanolic acid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나무 열매, 줄기, 잎 세 부위 추출물의 항주름 효능을 평가하였다. 광나무 추출물은 human skin fibroblasts에서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MMP-1과 MMP-2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들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MMP-1과 MMP-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광나무 세 부위 추출물 가운데, 열매 부위에 가장 많은 양의 ursolic acid 와 oleanol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가장 강한 COL1A1 upregulating 효과와 MMP-1과 MMP-2 downregulating 효과를 나타냈다. 이처럼 항주름 효능을 보이는 광나무 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Ligustrum lucidum (L. lucidum) contains large quantities of ursolic acid and oleanolic acid.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ti-wrinkle effects of three parts of L. lucidum extracts. We found that L. lucidum extracts were not only innocuous to human skin fibroblasts but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oth MMP-1 and MMP-2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COL1A1. Among the three parts of L. lucidum extracts (i.e., fruit, cane, and leaf extracts), the fruit extract was found to contain the greatest amounts of ursolic acid and oleanolic acid. These three parts of L. lucidum extracts increased the expression of COL1A1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MP-1 and MMP-2 in a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the fruit extract of L. lucidum had the greatest upregulating effect on COL1A1 and the greatest downregulating effect on MMP-1 and MMP-2 in a non-toxic and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 lucidum, especially the fruit, could be used as active ingredients for functional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