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상담실의 운영과 실제

        천성문(Cheon Seong-Moon),박원모(Park Won-M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학논총 Vol.12 No.1

        본 연구는 학교상담실 운영의 실제를 제시함으로써 상담교사가 상담실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를 파악하여 상담교사로서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학교상담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 학교상담실을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상담교사가 학생, 교사, 학부모로부터 상담전문가로 인정을 받을 때 상담교사로서의 업무수행을 원활하게 해나갈 수 있으며, 학교상담실의 영역을 확대해 나갈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담교사는 학교상담실 운영과 관련된 사항들을 잘 숙지할 뿐 아니라 학생, 교사, 학부모로부터 상담전문가로서의 역량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management and practice of school counseling room and to give practical support required to counseling teachers understanding overview of management in counseling room. For this purpose, the func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school counseling room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methods to evaluate how efficiently managed school counseling room and the ethics that counseling teachers have to observed were examined. Counseling teachers are essential for the management of school counseling. When counseling teachers are regarded as an expert in school counseling from other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ir parernts, counseling teachers will playa leading part in their psychological health. So not counseling teachers have to know the matter of school counseling management, but they have to effort to be approved as an expert in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셀프리더십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천성문(Cheon, Seong-Moon),김미옥(Kim, Mi-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연구는 셀프리더십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감과 대인관계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셀프리더십프로그램은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10명으로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효능감척도, 대인관계능력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한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셀프리더십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 of program of self-leadership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gram consists of 8 sessions, 10 students for the experiment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No invention was taken with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examined by measuring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rogram of self-leadershi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ogram of self-leadership increase in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nding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집단상담에서 과도기 단계의 특징과 상담자의 역할

        천성문(Cheon Seong-moon),최명식(Choi Myung-si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인문학논총 Vol.4 No.-

        Before a group can begin doing productive work, it must typically go through a somewhat difficult transition phase. During this phase, groups are generally characterized by anxiety, defensiveness, resistance, the struggle for control, member conflicts, challenges to or conflicts with the leader, and various patterns of problem behaviors, for a group to move to a working stage, these problems must be recognized and dealt with effectively. A group's ability to move forward is dependent on the ability and willingness of both members and leader to face and work with various forms of resistance, leaders must fully understand the dynamics of a group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is paper focuses on a discussion of typical characteristics of a group during the transition stage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dealing with transitional group problems.

      • 발달장애에 관한 심리학적 치료와 평가

        천성문(Cheon Seong-Moon),김상희(Kim Sang-He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인문학논총 Vol.3 No.-

        This study is examining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as psychological approach, specific models to explain child psychopathology and problem behaviors and factors of developmental disorder and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programs for developmental disordered children. Personality development theory related to developmental disorder is focused on object relations theory and models accounting for developmental disorders are based on two different attitudes of developmental contextualism and developmental functionalism. Accounts for causes, diagnosis and assessment of developmental disorder are focused on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of major developmental disorders. Psychology emphasizes emergence and process of developmental disorders and improvement and measurement of test instrument for them, and recently therapy methods are studied with concerns. As developmental disordered children have individually unique characters and disordered behaviors caused by various factors, great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and apply programs for prevention, education and treatment for them in educational . medical . psychological terms.

      • 약물남용 비행청소년을 위한 약물남용 집단상담 프로그램간의 효과 비교

        천성문(Cheon Seong-moon),이영순(Lee Young-so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1 韓國敎育論壇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drug abuse preven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drug abusing delinguent adolesc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drug abuse training program on drug knowledge and attitude, problem solving assertiveness and self-esteem in drug abusing delinguent adolescent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ty probation adolescents were selected in B and C area who got high score in High Risk Group Adolescent Drug User Screening Test and Korea Adolescent Drug Addiction Screening Tes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life skill training group, information dissimilation group, affective approach group, and waiting list control group by each ten members. Members of control group didn't experience group counseling. On the other hand, Members of three other groups participated in ten-session group counseling three times a week. Drug knowledge and attitude scale, problem solving scale, assertiveness test and self-esteem test were used as Pre and Post-Tests. The data were analyzed by covariance (ANCOVA) and post private comparison to testify the treatment effect within each group condition.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rug knowledge and attitude in information dissimilation group and life skill training group were improved significant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ffective approach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ife skill training group suggest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lving problem, while the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dissimilation and affective approach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found. Thir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sertiveness in life skill training grou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dissimilation and affective approach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Forth,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lf-esteem in life skill training and affective approach grou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dissimil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xplanation and implication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 수치심 및 진로장벽 간의 관계

        천성문(Cheon Seong-Moon),전은주(Jeon Eun-Ju)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이 수치심과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과 성역할정체감 유형이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 K대학교 여자대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중다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인 남성성과 여성성은 수치심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인 남성성과 여성성은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치심은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역할 정체감 유형인 남성성은 진로장벽과의 관계에서 수치심이 부분매개하였고, 여성성은 진로장벽과의 관계에서 수치심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역할정체감이 수치심을 통해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진로상담 시 성역할정체감에 따라 진로장벽이 다를 수 있으며, 수치심을 고려해야 할 것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ex-role identity on shame and career barrie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hame on sex-role identity factors and career barri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80 female students of K university in Busan. A multipu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sculinity and femininity of sex-role identity had significantly effect on shame. Second, masculinity and femininity of sex-role identity were significantly effect on career barriers. Third, shame had significantly effect on career barriers. Finally, shame partially mediated between masculinity and career barriers, and completely mediated to femininity. We designed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sex-role identity on career barriers through the roles of shame as mediators. So, we should consider sex-role identity and shame of career barriers in career counseling.

      • KCI등재후보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창희(Moon Chang-Hee),박제일(Park Je-il),전정옥(Jeon Jeong-Aug),천성문(Cheon Seong-Mo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학논총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자아개념, 우울, 또래관계에 대한 인과적 모형을 설정하고 그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10개의 중학교 남?여학생 총 643명이며, 자료처리는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을 위해 t-test를, 변인 간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자아개념, 우울이 또래관계를 예측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성별에 따른 부부갈등과 우울의 경우 성별 간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자아개념은 또래관계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반면 부부갈등, 우울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우울과 정적상관을, 또래관계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우울은 또래관계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자아개념, 우울이 또래관계를 예측하는 상대적 영향력으로는 자아개념만 또래관계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졌다. 셋째, 각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고려한 결과, 부부갈등이 우울과 자아개념을 부분 매개하여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자아개념이 우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의 긍정적인 또래관계 및 자아개념의 형성을 위해 화목한 가정환경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stablish causal model about husband-and-wife conflicts which their young boys and girls recognize, self-perception, depression and peer-relationship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ur things. The method used for the study is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nd the model of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about the perception of the four variables. Second, this study has also identified that husband-and-wife conflicts which their young boys and girls recognize influence the peer-relationships of juveniles through the medium of self-perception and depression. Third, as a result of inter-relevancy among each variable, it is deduced that husband-and-wife conflicts have an influence on the peer-relationships through the partial medium of depression and self-perception. From this study, it is verified that husband-and-wife conflicts which their young boys and girls recognize influence the peer-relationships through the partial medium of their children's self-perception and depression.

      • KCI등재후보

        행동유형론에 근거한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창희(Moon Chang-Hee),이영옥(Lee Young-Ok),이은아(Lee Eun-A),천성문(Cheon Seong-Mo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1

        본 연구는 행동유형론에 근거한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 시내 A중학교 3학년 중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74명 중 37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37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1회기 당 90분씩, 총 10회기로 실시하였으며, 실험ㆍ통제집단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질적 분석으로 마지막 회기 후에 자유 형식으로 쓴 소감문과 프로그램 평가 설문지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대인관계 문제가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실험집단에 있어서 프로그램 평가 설문지와 소감문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자기이해와 타인이해, 대인관계 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및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in behavioral typology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n and interpersonal rel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74 students of 3rd grade of A middle school in Busan. Of 74 students, 37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37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executed totally by 10 times which were alloted each time 90 minutes and the post test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executed. The results of students' reports in the last period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s were also analyzed in order to estimate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elf-esteem test showed that the group counseling was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elf-esteem.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counseling was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And the analysis of program questionnaire and students' reports showed tha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strengthen their positive side to supplement their negative side. In the en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이혼 부부 관련 해외 연구동향

        김준성(Jun-Seong Kim),천성문(Seong-Moon Cheon)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2 부부가족상담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해외 이혼 부부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본 후, 이혼 부부 연구의 주요 특징 및 그 경향성을 파악하고 향후 이혼 부부 관련 연구 방향 및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8월까지 Web of Science(WOS)에서 이혼 부부 관련 연구물 중 총 11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기반 계량서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 첫째, 1993년 첫 연구를 시작으로 2000년 초반까지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부터 현재까지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많이 인용된 연구는 Heuveline와 Timberlake(2004)의 동거와 가족 형성에 관한 연구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인용된 저자는 Paul Amato로 나타났다. 셋째, 이혼을 제외하고 Children이 가장 높은 빈도의 키워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동인용, 공동단어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이혼 부부 관련 연구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divorced couples in Korea after examining overseas research trends related to divorced couples. To this end, big data-based bibliographic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19 papers among studies related to divorced couples at Web of Science (WOS) until August 2022. The number of studies by year, the most cited studies, and information on the author were provided, and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for joint citations, keywords, and joint words were visualized and presented.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related to divorced coupl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싸띠명상이 중학생의 마음챙김, 심리적 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안혜원 ( Hyeo Won Ahn ),천성문 ( Seong Moon Cheon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0 동서정신과학 Vol.13 No.1

        본 연구는 싸띠명상이 중학생들의 마음챙김, 심리적 수용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김해시 B선원에서 주최한 청소년 싸띠명상 캠프에 참여한 전국 남녀 중학생 40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대기자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무선할당 한 후 3박 4일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미얀마 마하시 선원에서의 수행법을 기본으로 B선원에서 청소년의 발달적 특징과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에게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양적 분석은 싸띠명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에 마음챙김 척도, 수용-행동 질문지, 심리적 안녕감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통제집단 사후검사 평균 차이 검증(t 검증)을 실시하였다. 질적분석은 명상체험일지를 중심으로 피험자가 보고한 내용을 질적 분석 준거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검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싸띠명상을 경험한 피험자들은 마음챙김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음챙김 하위요인 중 현재자각과 주의집중이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싸띠명상을 경험한 피험자들은 심리적 수용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 하였다. 셋째, 싸띠명상을 경험한 피험자들은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마음챙김 하위요인 중 긍정적 대인관계가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의 함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is intended to know how Sati medication affects the mind set,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ranqu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program that considers juvenile development and their psychological features was adopted based on medication that is used in temples in Maha city, Myanmar. Specifically, focused on sitting and walking meditation, the study was extended even to lying meditation and life meditation as increasing meditation time proper to middle schoolers. In a test process, out of 40 female and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Juvenile Sati Meditation Camp supported by B Temple in Gimhae city, Gyeongnam, 20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for each of a control group and a treatment group in a test for 3 nights and 4 days. To verify effects of the program, the mind set, acceptance-behavior relations, and psychological tranquility of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Data was processed with SPSS/WIN 15.0 statistics software and a t-test to measur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test.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Sati meditation on the mind set,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ranqu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reality recognition and concentration among sub-factors of the mind set and positive personal relations among sub-factors of psychological tranquility present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is perspective, students who showed a high level of reality recognition and concentration through Sati meditation also have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accordingly of psychological tranquility including positive personal relation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