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승기신론』에 나타난 발심과 수행의 교육적 의미

        천병영 ( Byung Young Cheon ),송도선 ( Do Seon Song ),이경자 ( Kyung Ja Lee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배움에 뜻을 둔 사람은 그 출발점이 중요하다. 학습자는 자기의 마음가짐의 여하에 따라 배움의 내용과 깊이가 다르며 그 결과 또한 다르다.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향한 발심을 강조한다. 학습자는 현실의 고통을 인식하고 발심이라는 깨달음의 마음을 내며 이를 통해 수행이라는 방법을 가지고 구체적이며 실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신론』에 나타난 발심과 수행을 살펴보고 그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신론』에 나타난 발심은 깨달음의 마음을 내는 것과 동시에 그것은 깨달음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단계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발심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자기결정성으로서의 내재적 동기를 의미하는 것이며 현대교육에 있어서 동기지속성 개념에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수행은 발심을 통해 깨달음을 성취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실천 노력이며 모든 이들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실천적 방법론이다. The one who aspires to learning needs to make an appropriate start. The content, depth and result of learning depend on the learner`s mind attitude. Buddhism puts great emphasis on inspiring mind toward enlightenment. The learner recognizes the agony of reality, makes heart for enlightenment through inspiring mind and through all this, he tries hard to make detailed and feasible effort through a means called practice.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inspiring mind and practice shown in 『The awakening of faith(in Mahayana)』 and examine its educational implication. The Inspiring mind shown in 『The awakening of faith(in Mahayana)』 seems to make heart for enlightenment and contains several steps in it which secure durability of enlightenment at the same time. Inspiring mind means intrinsic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learner`s level and it also offers following suggestions for notion of the durability of motivation in modern education. Practice is detailed effort to achieve enlightenment through inspiring mind and also a practical methodology as the learner tries to live harmoniously as a democratic citizen with other people.

      • KCI등재

        여래장의 존재와 여래장사상의 교육적 해석

        천병영(Cheon, Byung-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3

        교육은 인간 이해를 전제로 하면서 아울러 그것에 바탕을 둔 올바른 마음을 형성하기 위한 일체의 인간 행위이다. 그런데 교육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이런 점은 대승불교의 여래장사상에서 제시되고 있다. 󰡔보성론󰡕은 여래장사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가장 핵심적인 논서로 평가받고 있다. 이 논서는 삼보의 본성에 대한 분석을 7종금강구라는 주제를 통하여 구체화시키고 있다. 󰡔보성론󰡕은 한역, 티베트역본, 범본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한역은 전후부로 나누며 모두 11품으로 나누고 있다. 󰡔보성론󰡕은 불보를 낳게 하는 원인을 여래장이 존재함에 주목하면서 그 근거로서 등류, 일승 및 수기를 통해 그 존재 사실을 입증한다. 또한 여래장은 법신편만, 진여 무차별 및 여래성(불성)의 존재라는 세 가지 의미로 해석한다. 이와 같이 󰡔보성론󰡕에 나타난 여래장사상은 중생 자신이 객진번뇌에 쌓여 있지만 깨달음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선언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인간은 여래장이 각자에게 구유하고 있음을 신해함으로써 '사람됨'을 완성할 수 있는 상태로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여래성(불성)의 존재는 누구나 차별 없는 진여의 속성을 지닌 평등한 존재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여래장사상은 '여래'라는 이상적인 인간으로 인도하는 교육적 가능성의 토대를 마련해 주는데 그 의미가 있다. 』 『Ratnagotravibhāga』 is a key theory book in which the idea of 'tathāgatagarbha(the Tathāgata womb) is arraged systematically'. The theory book materializes the analysis of real nature of The Three Refuges through a theme of 7 kinds of Geumganggu. 『Ratnagotravibhāga』 varies according to Chinese version, Tibet version and Sanskrit version. The Chinese version is divided into 11 chapters in the former and latter half. 『Ratnagotravibhāga』 regards the reasons of having the Buddha as the existence of tathāgatagarbha, and it proves the existence through nisyanda, ekayāna and vyākaraṇa. In addition, tathāgatagarbha is interpreted into three meanings of Beopsinpyeonman(법신편만), indiscrimination of tathatā and the existence of buddhadhatu. As stated above, the idea of tathāgatagarbha presented in 『Ratnagotravibhāga』 is a manifesto about 'possibility' with which Sentient beings can get realization even though they are surrounded by mental functions which disturb the mind. Also it shows that human being can complete 'being or becoming human' by realizing that he possesses tathāgatagarbhain in himself. Lastly, the existence of buddhadhatu implies that everyone is equal being that has a feature of indiscriminate tathatā. Therefore, the idea of tathāgatagarbha is of vital significance to prepare the foundation for educational possibility leading to ideal men called tathāg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